• 제목/요약/키워드: 알코올대사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초

HFD 유도 C57BL/6J 비만 mice에서 AMPK/ACC/CPT-1 경로 촉진을 통한 산딸기 추출물의 비만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Rubus crataegifolius Extracts Against Obesity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via Promotion of AMPK/ACC/CPT-1 Pathway in HFD-induced C57BL/6J Obese Mice)

  • 이영익;이희진;표수진;박용현;이명민;손호용;조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967-977
    • /
    • 2023
  • Rubus crataegifolius (RC)는 장미과에 속하는 전통적인 아시아 약용 식물이다. RC 열매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C 열매 추출물(RCex)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 모델을 통해 평가하였다. 28마리의 수컷 C57BL/6J 마우스에 8주간 비만을 유도한 후, 추출물을 8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그룹 1은 일반 대조군으로 표준사료를 섭취하였다. 그룹 2는 HFD 대조군으로, 그룹 3에는 심바스타틴(6.5 mg/kg/일)을, 그룹 4에는 RCex (200 mg/kg)을 투여하였다. RCex투여는 실험 마우스의 체중, 지방 조직,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또한 지질 대사(ALT, AST, TC, TG, LDL, HDL)를 포함한 생화학적 바이오마커를 개선하였다. AMPK의 활성화는 지방생성 유전자(LXR, SREBP-1c, FAS, ACC1)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RCex에 의한 CPT 활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RCex는 또한 에너지 소비 및 신진대사와 관련된 호르몬(adiponectin 및 leptin)의 혈장 수준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RCex가 HFD로 유도된 비만 mice의 포도당 불내성을 개선했음을 확인 하였다. RCex는 AMPK의 인산화를 통해 지방산 산화 및 지방산 합성을 조절함으로써 항비만 및 항NAFLD 효과를 가짐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이는 R. crataegifolius가 비만 및 관련 NAFLD 예방에 좋은 보충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약재 조성물이 흰쥐의 알코올성 숙취 및 사염화탄소 유발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aek Union (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 양동식;홍성길;최선미;김복남;성현제;윤우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숙취제거 및 간기능 개선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구성된 조성물 JBU의 효능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숙취제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과 그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결과, 혈중 알코을 농도에서 JBU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특히 숙취의 원인물질로 지목되는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기능개선 효능의 확인을 위하여서는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GPT와 GOT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간손상 정도를 확인하였고,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하여 간의 병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는 확연하게 간손상을 유발시켰고, JBU 추출물은 GPT 및 GOT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조직학적으로도 간조직의 손상을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옻나무 (Rhus verniciflua Stokes) 추출물의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여향 (Effe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on the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유귀재;김소영;최아름;손민희;김동청;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101-105
    • /
    • 2009
  • Alcohol oxidation activities and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Rrhus verniciflua Stokes (RVS) extract were evaluated for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biomaterial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When alcohol oxidation activities of RVS was analyzed, the Rrhus verniciflua Stokes bark (RVSB) were higher than the Rrhus verniciflua Stokes heartwood (RVSH). Alcohol oxidation activity value of RVSB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ovenia dulcis Thunb (HOT) and Alnus japonica Steud (AJS) which was reported as a alcohol oxidation material, alcohol oxidation activity is much higher than the other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alcohol oxidation-active components production from RVSB. The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time, pH and particle size were performed. It was recommended to extract the alcohol oxidation-active components from RVSB by hot water (pH 7.0) at $85^{\circ}C$ for 8 hours.

한약재 추출물 함유 음료가 알코올 투여 흰쥐의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al Drink on Alcohol Metabolic Enzyme in Drunken Rats)

  • 황수정;최혜민;박현진;이진상;허담;김미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0-615
    • /
    • 2010
  • Alcohol is the most widely psychoactive drug and has known in almost all civilization since ancient time. Recently increase consuming alcoholic beverages, alcohol is on of the major public health problems in the world.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play important roles in the metabolism of alcohols and aldehydes. The drink consists of medicinal herbs, Puerariae Radix, Phyllostachyos Folium, Citri Pericarpium, Polygonati Rhizoma, Rehmanniae Rhizoma (Vinegar),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edicinal herbal drink (MHD) on alcohol metabolism in drunken SD rats subjects. In experiment, rats were treated to ethanol (EtOH, 3 g/kg, PO) at 60 min. after saline (CON) or MHD (1 ml/kg, PO) administratio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BALC) activities of ADH, ALDH, AST and AL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H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as a time-dependent manner. And drinking water volume in MHD group with duplicate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in C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HD intake could give an influence upon the reduction in BAC and BALC may alleviate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by altering alcohol metabolic enzyme activities.

천마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간 기능 및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on the Liver Function and Alcohol Metabolism in Alcohol Treated Rats)

  • 박순자;강주현;공현주;황수정;장정현;양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18-82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eze-dried Gastrodiae rhizoma powder (GR) on the liver function and alcohol metabolism in alcohol treated rats. Methods: The rats were administered various concentrations of GR (100 mg, 200 mg, 300 mg/kg B.W.) for 3 days 1 hour before 50% (v/v) ethanol (3 g/kg B.W.) administration. Two tests focusing on liver function and alcohol metabolism in acute alcohol treatment were carried out. Results: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lcohol treatment, and was decreased by 100 mg GR administration. Acute ethanol treatment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of serum and liver. However, 100 mg GR administration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increased alcohol level in the serum with decreased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and increased acetaldehyde level in liver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ree leve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 can be effective in enhancing liver function and alcohol metabolism in the alcohol-treated rats. Studies on the appropriate dosage of GR should further be developed to treat alcohol detoxification and stimulate liver function.

매실즙이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황자영;함재웅;남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9-332
    • /
    • 2004
  • 매실즙,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 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매실즙 및 GMT, 아스파르트산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흡광도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 효과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최대 흡광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매실즙, GMT(5, 10, 15%), 아스파르트산(0.5, 1.0%)의 값은 각각 137.9, 131.6, 153.0, 218.7, 111.8, 144.3으로 나타났다. 매실즙과 GMT 및 아스파르트산을 혼합하여 이들의 ADH 효소 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며 이중 매실즙과 10% GMT 혼합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ALDH 효소 활성도의 증가수준을 비교해보면 매실즙 첨가군이 가장 증가정도가 높았고 그 다음이 ALDH를 첨가한 경우 였으며 GMT, 아스파르트산의 순으로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매실즙의 경우 효소만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의 값을 100%로 보았을 때 매실즙 첨가군의 값은 976.4%로 나타나 ALDH의 활성이 10배 가까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매실즙의 숙취해소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한약재 혼합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on alcohol metabolism in Sprague Dawley rats)

  • 정미진;김소영;도은주;윤종국;김대익;한경수;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74
    • /
    • 2019
  • Objectives : Alcohol hangover is a common phenomenon which basically occurs after heavy drinking. Moreover, heavy alcohol consumption leads to acute and chronic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SJ) on alcohol metabolism in serum or/and liver. Methods : 5W-old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study. To overnight fasted rats, 0.9% saline or SJ extract was administrated per os before alcohol treatment. Then, 40% alcohol was orally administrated to all rats in 30 mins. Ethanol, acetaldehyde concentration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measured by assay kit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were measured by analyzer. Results :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lower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Especially, acetaldehyd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AST and ALT levels tended to increase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 group and SJ groups. ADH activity in serum was higher in SJ groups than CON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ALDH activity in both serum and liver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Conclusions : Treatment of SJ extract showed not only reducing concentr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but also increasing activities of ADH and ALDH. These results suggest SJ may influence in alcohol metabolism via control of me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metabolite. Therefore, SJ, herbal mixture, might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hangover after drinking alcohol.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진 제주도의 제주시와 서귀포시 거주민들간의 담낭용종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Gallbladder Polyps Among Residents of Jeju City and Seogwipo City on Jeju Island, Korea, Far from the Korean Peninsula)

  • 권오성;양진수;김영규;정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55-157
    • /
    • 2022
  • 담낭용종은 담낭암의 원인일 수 있다. 담낭용종의 잘 알려진 위험요소는 대사증후군, 젊은 나이, 이상지질혈증 등이다.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약 80km 떨어져 있으며 한라산을 중심으로 두 개의 행정구역(제주시와 서귀포시)으로 나뉘어 있다. 국제공항과 국제항구는 유일하게 제주시에만 위치해 있다. 또한 제주시에는 서귀포시보다 기업체와 학교의 수가 더 많다. 식이 및 알코올 소비는 두 지역 간에 다르며 이러한 요인이 담낭용종 유병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두 지역 거주민들의 담낭용종 유병률을 조사하고 담낭용종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제주대학교병원 단일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1,7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낭용종 유병률과 관련된 요인을 제주시 거주민과 서귀포시 거주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담낭용종 유병률은 제주시가 10.1%, 서귀포시가 9.2% (P = 0.039)였다. 평균 연령과 고위험 음주자의 비율은 서귀포시에서 더 높았다. 평균 체질량지수와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알칼리인산분해효소 수치는 제주시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담낭용종 유병률은 제주도의 두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과 알코올 소비는 이러한 차이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 PDF

제주도 도시지역 거주민의 담낭용종 유병률이 농촌지역 거주민보다 상당히 높았다. (The prevalence of gallbladder polyps among residents in the urban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rural area on Jeju Island)

  • 권오성;표지하;김영규;정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59-162
    • /
    • 2022
  • 담낭용종의 잘 알려진 위험요소는 대사증후군, 연령, 이상지질혈증 등이다.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한국의 본토에서 약 80km 떨어져 있으며 행정구역상 제주시와 서귀포시로 나뉘어 있지만 기업들과 편의시설들, 학교들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내와 시외로 더 나누어진다. 많은 이주민들과 젊은 성인들은 상업 활동이 활발한 시내 지역에 사는 경향이 있다. 고령 성인들은 어업이나 농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시외 지역에 사는 경향이 있다. 고령의 성인들은 전통적인 식이를 유지하고 있고, 그들 중 다수는 힘든 노동으로 인해서 고위험 알코올 음주자의 비율이 높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두 지역간의 담낭용종 유병률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두 지역간에 담낭용종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그 유병률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비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제주대학교병원 단일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21,7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내 지역과 시외 지역 거주민들의 담낭용종 유병률은 각각 10.1%와 8,7% (P = 0.006)로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 평균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시내 지역 거주민들에서 시외 지역 거주민들보다 높았고, 음주와 관련된 평균 알카라인 인산분해효소와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수치들과 평균연령은 시외 지역 거주민들이 시내 지역 거주민들보다 더 높았다. 나이, 알코올 섭취와 평균 콜레스테롤 수치가 이러한 두 지역 간에 담낭용종 유병률의 차이를 만들었을 것이다.

  • PDF

알코올로 유도된 간손상 모델 HepG2/2E1 세포에서 오리나무 잎 추출물의 간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s of Alnus japonica Leaf on Alcohol-Induced Liver Damage in HepG2/2E1 Cells)

  • 김보람;김태수;성수희;한세희;김진호;서찬;이하늘;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도윤;최경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9
    • /
    • 2024
  • 활성산소종은 미토콘드리아 대사활동을 통해 생성되는 반응성이 강한 산소 함유 분자로서 특히 간에서 복잡한 세포 분자와 반응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질이다(Choi et al., 2012). 에탄올 대사 과정에서는 ROS가 생성되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과도한 에탄올은 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시스템을 억제함으로써 지방, 단백질 또는 DNA와 같은 생체 분자에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세포를 손상시킨다(Albano, 2006; Koch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오리나무 잎 추출물(AJL)에서 알코올(EtOH)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epG2/2E1 세포에서 EtOH와 AJL 및 대조군silymarin을 각각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범위를 설정하여 활성산소종 생성량, 항산화 관련 지표(DPPH, ABTS, MDA, GSH) 및 간 손상 지표(AST 및 ALT)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53.8%로 감소하였으나 AJL을 함께 처리 군에서 세포생존율이 85.1%의 유의적인 증가로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AJL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시 정상군 수준으로 ROS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DA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JL 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GSH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군 모두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GSH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간손상 지표로 활용되는 AST 및 ALT 활성 변화 확인 시, 에탄올 처리에 따른 간세포 손상군에 비하여 AJL 처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대조군silymarin과 비교하여 유사한 감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종합해 볼때AJL은 간손상에 대한 보호 및 간손상 억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건강기능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