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칼로이드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35초

한국산 개비자 나무 [Cephalotaxus Koreana]의 알칼로이드 함량분석: 지역 및 계절에 따른 변화 (Analysis of Alkaloid Contents in Korean Plumyew [Cephalotaxus Koreana]: Variation with Location and Season)

  • 김상익;최형균;송재영;김진현;이현수;홍승서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34-437
    • /
    • 2000
  • 국내에 자생하는 개비자 나무 (Cephaloti$\alpha$rus korealUl)에서의 알칼로이드 (homoharringtonine, harringtonine와 cephalotaxine)의 함량과 조성을 분석하였다. 알칼로이드의 함량은 지역과 개체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건중량의 11.8 mg/g에서 195.2 mg/g의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알칼로이드의 함량은 남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수목에서 더 높게 존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칼로이드의 성분 조성은 homoharringtonine이 총 알칼로이드의 4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harringtonine (32%), cephaJotaxine (28%) 순이었다. 개비자 나무의 잎에서의 총 알칼로이드와 homoharringtonine 함량은 줄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존재하였다. 계절에 따라 알칼로이드의 함량이 차이를 보였는데 겨울에 가장 높고, 여름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다른 Cephalotax따 종과 비교한 결과 C. koreana는 C. harringtonia 등과 달리 비 교적 높은 homo­h harringtonine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 결과로 볼 때 C. koreana는 homoharringtorune의 생산에 적합한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conitine 류 알칼로이드의 검출에 의한 부자류 생약의 확인 (Identification of Buza by Detecting Aconitine-type Alkaloids)

  • 엄동옥;반태환
    • 분석과학
    • /
    • 제12권3호
    • /
    • pp.243-247
    • /
    • 1999
  • HCl 산성에서 aconitine류 알칼로이드는 Reineke 시액으로 백색의 침전을, 그리고 TCR 시액으로 청색의 침전을 형성하였다. 백색의 침전은 $NH_4OH$ 알칼리성의 물에 녹아 aconitine류 알칼로이드를 유리시키며, 유리된 aconitine류 알칼로이드는 DCE층으로 쉽게 전용되었다. 전용된 DCE층을 분취하여 UV흡광파장을 측정하고 TLC로 분리하였다. 청색의 침전은 DCE층에 전용되므로 전용된 DCE층을 분취하여 UV/Vis.흡광파장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aconitine류 알칼로이드를 검출하여 생약이나 제제에서 aconitine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부자류 생약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용규에서 추출된 수용성 알칼로이드성분의 항히스타민 효과 (The anti-histamine effect of water soluble alkaloids extracted from solanum nigrum L.)

  • 신장철;박정근;김철구;천현자;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29권4호
    • /
    • pp.186-193
    • /
    • 2016
  • 본 연구는 용규전초로부터 열수추출방법(SNL-W)으로 1차 추출하고 부틸알코올을 이용하여 분별추출을 통해 유기용매분획(SNL-W/B)과 수상분획(SNL-W/W)을 각각 획득하였다. 각 분획의 총 알칼로이드함량과 사포닌함량을 측정하였고 수상분획의 메탄올 용출물은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꿀벌봉독을 쥐의 복막 비만세포에 처리하여 알러지 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을 분비시키고, 용규의 알칼로이드성분으로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저해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용규의 수용성 알칼로이드성분(SNL-W/W/M)은 꿀벌봉독으로 유발된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에 대하여 강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inchona 알칼로이드를 키랄 리간드로 이용한 비대칭 Reformatsky 반응 (Enantioselective Reformatsky Reaction Using Cinchona Alkaloids as Chiral Ligands)

  • 박두한;최호진;이상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97-600
    • /
    • 2003
  • Cinchona 알칼로이드(1-4)들을 비대칭 Reformatsky 반응에 키랄 리간드로 사용하였다. 알데히드, 리간드, Reformatsky 시약의 적가 순서에 따라 반응의 수율이 달라지며, Reformatsky 시약과 알데히드, 리간드와의 비율도 수율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황칠나무의 용매 분획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비교 (Antioxidant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us)

  • 유지민;문형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5
    • /
    • 2018
  • 황칠나무 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각각 methanol 추출하여, 계통분획상법에 따라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하였다. 분획물로 실시한 TLC에서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분리되는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잎과 줄기 모두 ethyl acetate분획물은 $IC_{50}$ $30{\mu}g/m{\ell}$으로 높게 측정 되었으며,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butanol분획물 순으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tyl cholinesterase inhibition assay를 실시한 결과 황칠나무 잎과 줄기 모두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 순으로 저해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황칠나무 줄기와 잎의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알칼로이드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알칼로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유추 할 수 있으므로, 알칼로이드 성분의 동정 및 성분구조의 규명을 통하여 AChE저해 활성을 이용한 신경관련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물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카카오 추출물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함유된 겔제형의 개발 (Development of Gel Formulation Containing Alkaloid of Cacao Extract)

  • 강선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35-5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 추출물의 알칼로이드계 성분의 함량을 관찰하고 항산화, 항균,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CAEt, CAMe추출물 함유 Gel을 제조하여 물리적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카카오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관찰하기 위해 DPPH, SOD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세포독성 및 LPS로 유발시킨 일산화질소의 소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알칼로이드계 퓨린 구조를 가진 카카오 추출물을 첨가시킨 Gel을 제조하여 60일 동안 상온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카카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증에서는 CAEt 추출물에서 $IC_{50}$ 값은 $43.14{\mu}g/m{\ell}$, CAMe 추출물의 $IC_{50}$ 값은 $35.42{\mu}g/m{\ell}$로 관찰되었다. SOD 측정에서도 CAEt 추출물에서 $IC_{50}$ 값은 $90.9{\mu}g/m{\ell}$, CAMe 추출물의 $IC_{50}$ 값은 $52.6{\mu}g/m{\ell}$로 관찰되었다. MeOH 조건에서 추출한 CAMe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 3%가 함유된 gel (CAEt-Gel, CAMe-Gel)을 제조하였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CAMe 추출물이 함유된 gel 제형이 더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로 관찰한 세포독성은 80%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발생을 관찰한 결과 CAMe-Gel을 처리한 군에서 NO 생성량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카카오 추출물의 알칼로이드계 성분을 인체내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한 Gel은 화장품 및 의료용 소재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구등 중의 알칼로이드 분석 (Analysis of Alkaloids in Uncaria Hooks)

  • 박만기;박정일;김종문;한상범;한방희;강종성
    • 분석과학
    • /
    • 제6권4호
    • /
    • pp.395-399
    • /
    • 1993
  • 혈압 강하제로 쓰이는 생약인 조구등(Uncaria hooks)으로부터 네 가지 알칼로이드(corynoxeine, rhyncophylline, isocorynoxeine, isorhynchophylline)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조구등내 함량은 isocorynoxeine 0.21%, isorhynchophylline 0.16%, corynoxeine 0.28%, rhynchophylline 0.23%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rynoxeine과 isocorynoxeine, rhynchophylline과 isorhynchophylline은 열처리에 의하여 상호 변환하였으며 물로 열처리하여 추출하였을 때 corynoxeine과 rhynchophylline의 상대적인 양이 증가하였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녹차의 카테킨류, 테아닌의 변화 (The Change of Catechin and Theanine Content in Green Tea during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이승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7-276
    • /
    • 2016
  • 본 연구는 시판 녹차를 5가지 저장 온도($30^{\circ}C$, $15^{\circ}C$, $4^{\circ}C$, $-15^{\circ}C$, $-40^{\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하면서 카테킨류, 알칼로이드류 및 테아닌의 함량에 대하여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카테킨류의 변화는 저장 기간 6개월의 녹차를 비교하였을 때 $30^{\circ}C$ > $15^{\circ}C$ > $4^{\circ}C$ > $-15^{\circ}C$ > $-40^{\circ}C$의 순서였다. 총 알칼로이드류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총량은 감소하여, TB와 TP는 저장 온도 $30^{\circ}C$에서는 감소의 폭이 많았으나, $-15^{\circ}C$, $-40^{\circ}C$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테아닌의 함량은 $30^{\circ}C$에서보다 $4^{\circ}C$ 이하에서 저장할 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장 온도와 저장기간이 녹차의 품질에 매우 중요하며, 냉장이나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녹차의 품질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