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루미늄 수화 종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Cement Containing Zeolite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시멘트의 수화 특성)

  • Lee, Chang-Yong;Kim, Youn Cheol;Lee, Jong-Jib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2 no.4
    • /
    • pp.423-428
    • /
    • 2011
  •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cement containing zeolite mined at Daepo in Gyeongbuk province were studied for use as a mineral admixture. The cement paste containing zeolite was characterized by the measurement of heat evolution, XRD, EDS, nitrogen adsorption and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he cement paste containing zeolite exhibited tendencies toward acceleration of paste setting and promotion of cement hydration with the increase of zeolite content. The flow of mortar containing zeolite strongly reduced with increase of zeolite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ortar containing zeolite increased very rapidly at an early age in comparison with plain mortar. These results would be related to aluminum species escaped from zeolite particles during the alkali dealumination of zeolite by the hydration process of cement.

Effects of polymeric Al and hydrolysis products of PAC at different pH on performance of nanofiltration with PAC coagulation pretreatment (PAC 전처리 시 수소이온 농도에 따라 발생 가능한 알루미늄 종에 의한 나노여과막 성능 연구)

  • Choi, Yang-Hun;Kweon, Ji-Hy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4 no.1
    • /
    • pp.15-24
    • /
    • 2010
  • Coagulation can be used for pretreatment of NF membrane filtration. Foulants such as organic matter and particulate can be removed effectively with the process while high flux recovery is maintained. Recently various types of polyaluminium coagulants including polyaluminium chloride(PAC)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water treatment.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polymeric Al and hydrolysis products of PAC on nanofiltration membrane performance. Dominant hydrolysis products were polymeric Al, $Al(OH)_3$, and ${Al(OH)_4}^{-1}$ at acidic, neutral, and alkaline pH conditions, respectively. Under acidic pH condition, flux declin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AC concentrations, possibly due to polymeric Al adsorption on membrane pore and/or surfaces. For neutral and alkaline pH conditions, little flux decline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PAC concentrations except the highest ${Al(OH)_4}^{-1}$ concentration, with which rapid flux decline was shown. Removal of ionic matters was also varied with pH conditions in this study. Especially, conductivity removal was substantially low and $Ca^{2+}$ concentration in the permeate was quite high at neutral pH condition.

Development activator for physical properties of slag Cement (슬래그 시멘트의 물성제어를 위한 활성화제 개발)

  • Park, Nam-Kyu;Lee, Jong-Kyu;Chu, Yong-Sik;S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545-548
    • /
    • 2008
  • In this study aluminium sulfate, Ca(OH)$_2$, K-R Slag and $Na_2SO_4$ were used as active admixtures and their concentration 1, 3, 5, 7 weight percent in c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active admixtures cement mortar were investigated by flow test and compressive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resulting active admixtures exhibited th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OPC mortar up. From the test results, cement mortars added active admixture have a good fundamental property.

  • PDF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