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루미나 세라믹

Search Result 4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actors Influencing the Strength of Alumina Ceramic shell Molds Bound with Colloidal Silica (콜로이달 실리카로 결합된 알루미나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에 미치는 요인)

  • Gang, Jong-Bong;Mun, Jong-Su;Jo, Beom-Rae;Choe, Seung-Ju;Kim, Hak-Ha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12
    • /
    • pp.1179-1185
    • /
    • 1996
  • 고온용 세라믹 쉘 몰드를 용융 알루미나와 콜로이달 실리카를 사용하여 제조한 후,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는 바인더의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며 또한 실리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이며 저온에서의 강도 발현은 콜로이달 실리카의 필름 형성에 의한 입자들의 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세라믹 쉘 몰드의 소성 강도는 부착 스타코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며 소성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였다. 고온에서의 강도 발현은 알루미나 입자와 콜로이달 실리카 바인더의 결합뿐만 아니라 알루미나 입자사이의 결합도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쉘 몰드의 결정상은 130$0^{\circ}C$이하에서 소성한 경우 $\alpha$-알루미나만 존재함을 보여 실리카는 비정질로 계속 남아 있음을 알 수 있고 140$0^{\circ}C$ 이상에서 소성한 경우 뮬라이트가 생성됨을 보였다.

  • PDF

Fabrication of Water-based Ceramic Tapes Using PVP As Binder (PVP 결합제를 이용한 수계용 세라믹테이프의 제조)

  • 박일석;조유정;이명현;최세영;이득용;김대준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11
    • /
    • pp.1060-1066
    • /
    • 2001
  • Water-based alumina tapes for application of all-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using PVP as binder that is biocompatible, highly soluble in solvents, and no residue leftafter firing. Tensile strength of alumina tapes was governed by binder/(binder+plasticizer)ratio. On the other hand, linear shrinkage and density were determined by alumina/(alumina+organic) ratio. Composite for all-ceramic crowns, prepared by infiltration of a glass into sintered porous alumina, showed high flexural strength which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ed density.

  • PDF

Influence of Alumina-dispers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Fracture Toughness of Y-TZP Ceramics (알루미나 분산이 지르코니아 복합체의 미세구조와 파괴인성에 미치는 영향)

  • 김민정;이종국;이은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2
    • /
    • pp.166-172
    • /
    • 2001
  • 고 인성의 Y-TZP 세라믹스에 0.5$\mu\textrm{m}$, 1$\mu\textrm{m}$, 3$\mu\textrm{m}$ 알루미나를 20 vol% 분산시킨 후 입자크기에 따른 미세구조와 파괴인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알루미나 분산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는 98% 이상의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알루미나 입자가 균질하게 분산된 치말한 미세구조를 나타내었다. 알루미나를 분산시킨 시편에서는 순수 지르코니아에 비하면 파괴인성이 증가하였고, 분산시킨 알루미나 입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인성이 증가하였다. 파괴인성은 분산된 알루미나 입자크기가 3$\mu\textrm{m}$일 때 3Y-TZP는 8.6 MPa.m$^{1}$2/에서 12.5 MPa.m$^{1}$2/로, 2Y-TZP는 13.5 MPa.m$^{1}$2/에서 18.9 MPa.m$^{1}$2/로 각각 증가하였는데, 이는 파괴시 알루미나 입자에 의한 균열편향 효과로 인하여 균열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이었다.

  • PDF

Grain Growth Behavior in Alumina during Sinter-HIP Process (Sinter-HIP 소결에 의한 알루미나의 입자성장 거동)

  • Park, Hoon;Park, Sang-Yeup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1
    • /
    • pp.1033-1038
    • /
    • 2000
  • 알루미나의 소결시 외부압력이 알루미나의 입자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sinter-HIP을 통해 고찰하였다. 알루미나 입자는 HIP 초기에 일정하게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으나 HIP 처리시간이 30분을 경과한 이후에는 완만한 속도로 성장하였다. 상압소결된 알루미나를 HIP 처리시 입자성장 속도지수는 상압소결시와 동일한 n=3을 나타내었으나 알루미나의 입자성장속도는 HIP 처리시의 외부 압력으로 인해 감소하였다. Sinter-HIP 소결시 순수 알루미나와 M햬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경우 계산된 속도상수 k는 대략적으로 각각 9.2×10/sup -20/ ㎥/s, 2.6×10/sup -21/ ㎥/s 이었다.

  • PDF

Microstructure Orientation of Alumina Laminate Composites (알루미나 적층복합체의 미세구조 배향)

  • 박상엽;송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4
    • /
    • pp.351-359
    • /
    • 2001
  • 배향 입자층과 비배향 입자층이 상호적층된 알루미나 적층복합체를 연속 테입캐스팅 및 상압소결에 의해 제조하였다. 알루미나의 미세구조 배향을 위하여 알루미나 판상입자를 배향물질(template)로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나의 입자배향 거동에 미치는 액상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northite(CaAl$_2$Si$_4$O$_{8}$)를 첨가하였다. 적층체 내의 알루미나 입자배향을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한 결과 (006)면과 (1010)면으로 배향되어 있었다. 액상조성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시 anorthite를 첨가한 경우 입자배향층 내에는 액상으로 인한 큰 기공이 생성되었으며 배향도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액상조성으로 anorthite가 첨가되어 입자배향이 이루어진 적층체 계면에서는 입자배향으로 인한 효과적인 균열전파 제어 거동이 관찰되었다.

  • PDF

저순도 알루미나 예비소결체 절삭시의 공구 수명

  • 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7-247
    • /
    • 2004
  • 세라믹의 완전 소결체는 높은 경도와 취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삭과 같은 입자가공이 행해지게 되어, 가공능률이 매우 낮고, 복잡한 형상 창성이 어렵다. 완전소결된 세라믹의 절삭가공에서는, 공구수명이 짧고, 가공속도가 매우 늦어 일반의 부품가공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소결이 전혀 행해지지 않은 성형체의 절삭가공은 공작물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가공속도, 가공능률, 부품의 척킹 및 치수 정밀도 등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엔지니어링 세라믹의 고능률, 고품위 절삭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중략)

  • PDF

Effect of Mullite on High Alumina Refractory (I) (고 알루미나질 내화물에 미치는 Mullite의 영향(I))

  • 김인섭;김세훈;박주석;강지연;이경희;이병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2
    • /
    • pp.128-13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kaolin을 이용하여 반기상법, gel coating법, seed 첨가법으로 mullite를 합성하였으며 mullite 15 wt%를 고 알루미나질 내화물 원료에 첨가하여 내화물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분석한 결과 seed 첨가법으로 제조된 mullite를 첨가한 시편의 물성이 338.60 MPa의 꺾임강도와 9,427 kgf/$\textrm{cm}^2$의 압축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시편의 내화도 및 잔존선팽창수축률을 측정한 결과 나머지 두가지 방법으로 합성한 mullite나 일반적인 고 알루미나질 내화물에 비하여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