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성 검토

Search Result 2,48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Stability of Slings and Lugs of Mobile Cranes (이동식 크레인의 슬링.러그 선정 및 안정성 검토 연구)

  • Kim, Sun-Kuk;Seo, Jong-Min;Ho, Jong-Kw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6
    • /
    • pp.164-174
    • /
    • 2008
  • As buildings become larger, higher and more complex in most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projects have to deal with transportation of more materials, labor and equipment, necessitating more use of construction equipment. Notably, in the high-rise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projects mobile cranes are adopted more frequently among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machinery, which also results in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relating to the use of crane. To reduc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involving cranes, researches on its stability is in need. The research herein aims to study how to select sling and lug of mobile crane and review its stability. The research outcomes herein will make considerable contributions to selecting mobile cranes efficiently and ensuring their stability.

Gauses of slope Failure and Slope Stabilization Methods (사면 파괴 원인과 안정화 대책)

  • 이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15
    • /
    • 2002
  • 사면은 인공적 또는 자연적인 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경사진 지반을 말하며, 그 안정성은 작용외력과 지반상태 및 지하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사면의 파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일어날 수 있으나 대체로 강성 활동 파괴체가 소성화된 국부적인 지반을 따라서 발생되고, 사면의 파괴형상은 경계조건과 지반상태가 단순할 경우에만 쉽게 예측할 수 있으며, 복잡한 지반상태에서는 많은 노력과 비용을 들여서 정밀하게 조사해야만 어느 정도 실제와 근사하게 예측할 수 있다. 자연 또는 인공사면에서 지질 및 지반상태, 지하수 상태, 사면의 형상, 사면의 규모, 외력의 작용상태 등의 조건을 분석하여 사면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들을 찾아내어 적합한 안정화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사면을 성토사면, 절토사면, 암절사면, 대절토사면으로 구분하여 사면파괴 원인과 안정화대책에 대해서 심도 있게 검토한다. 사면의 설계 및 안정검토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사면안정 검토 방법들에 대해서 이론전개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과 이들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언급한다. 그리고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적용하는 대책공법들의 적용성을 사면파괴 원인과 연계해서 판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Slope according to the Bedding of the Sedimentary Rocks (퇴적암지대의 층리 경사에 따른 비탈면 안정성 검토)

  • Seonggi Yu;Chanmook Chung;Dongwon L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4 no.2
    • /
    • pp.193-206
    • /
    • 2024
  • A standard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undertaken for new railway sections, based on the slope of sedimentary rock layers and filling material (san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cut-off slope in the section passing through a zone of sedimentary rock. The stability analysis was undertaken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accounting for earthquake occurrence, based on slope design criteria. It was found that if the slope of the sedimentary rock formation was <10°, the effect on the safety rate of the cut-off slope was insignificant. Furthermore, a slope relief of 1:1.0 or more should be applied with slopes of 10~20°, and 1:1.2 or more with >20°.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reference for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when railway and road construction is undertaken in areas of sedimentary rock.

Experimental Study for Toe Stability of Composite Structure under Oblique Incident Waves Conditions(Head of Breakwater) (경사입사파 조건에서 혼성제 근고부 안정성 실험(제두부))

  • Lim, Ho Seok;Kim, Yeon Il;Lee, Jong 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3-303
    • /
    • 2020
  • 국내의 주요 외곽시설은 대수심화 및 설계외력의 증대 등으로 경제성 및 안정성 등의 확보를 위해 혼성제 형식의 구조물을 적용하는 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혼성제 근고부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설계파에 대한 안정적인 피복재 중량을 구하는 것이 설계상 중요하다. 기존의 직각 입사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경사 입사파 조건에 대한 검토 사례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직각입사 뿐만 아니라 경사 입사파에 대한 근고부 중량산정식으로 확장된 Tanimoto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수리실험과 중량산정식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고 있어 수리실험을 통해 기존의 산정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사입사파 조건에 따른 혼성제 제두부 구간의 피복재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설치수심은 0.3m 수심으로 고정하고, 입사각도를 0°, 30°, 45°, 60° 및 75°로 변화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연장 10m의 모형에서 종점부 1m 구간을 실험구간으로 설정하고, 피복재의 종류는 피복석(50g), 콘크리트 피복블록(Tetrapod, Tripod)를 사용하였으며, 파랑조건은 불규칙파를 적용하였다. 주기 및 파고를 변화시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제두부 구간에 피복된 피복재의 구간별 피해율을 분석하기 위해 구역분할도 적용하였으며, 확장된 Tanimoto식과 비교분석하여 중량산정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of rock slopes with discontinuities (절리암반 사면의 안정성 해석 사례)

  • Song, Won-Gyeong;Shin, Hui-Sun;Seon, Woo-Chun;Park,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10a
    • /
    • pp.69-82
    • /
    • 2001
  • 본 연구는 절리가 발달한 고속도로 절취 사면들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물성시험을 바탕으로 한 지질 강도지수(GSI)를 이용하여 절리가 발달한 암반에 대한 최적의 물성을 구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안정성 검토를 위해 FLAC에 의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모델은 절리 발달 상태가 균일하게 분포하였으므로 Ubiquitous Joint Model을 선정하였다. 해석은 건기와 우기의 경우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조건에 따라 절리면의 강도를 달리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굴착 사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절리암반 환경에서 최적의 물성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정성을 분석할 패 하나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 김도형;박준경;김영근;오세준;이두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3.03a
    • /
    • pp.51-66
    • /
    • 2003
  • 최근 용지매입의 제한과 자연환경훼손의 최소화를 도모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대단면 근접병설터널 계획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중앙벽체부의 지지기능을 활용한 2Arch터널의 형태로 도심지 지하철의 정거장이나 고속도로의 일부구간에 계획되고 있으나,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 대한 시공실적 및 설계사례가 부족한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역학적 거동과 합리적 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 대한 국내·외의 설계 및 시공사례를 정리·분석하므로서 차후 제한된 구간에서의 터널계획시 합리적인 설계 및 시공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도심지 구간에 계획중인 터널의안정성 검토 사례를 중심으로 터널 및 인접구조물, 중앙필러부 및 콘크리트 라이닝에 대한 상세 안정성 검토방법을 고찰함으로써 기존 병설터널의 거동특성과는 구별되는 대단면 근접 병설터널의 안정성 평가기법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개별요소법에 의한 터널의 안정성 해석에 있어 설계정수의 결정

  • 김치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0 no.3
    • /
    • pp.278-290
    • /
    • 2000
  • 불연속면이 발달한 암반 내에서 터널을 굴착하는 경우 불연속면을 고려한 터널의 역학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연속 암반 내에 터널을 굴착하게 되면 대부분의 거동은 불연속면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는 암반블록보다 암반 내 불연속면의 강성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이다. 불연속면을 고려한 터널의 안정성 해석은 암반을 연속체로 가정할 때 필요한 입력변수 외에 여러 종류의 입력변수가 추가로 필요하다.(중략)

  • PDF

Hydraulic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s Using Hydraulic Model Test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 Lee, Jong-Pil;Park, Eui-Jung;Choi, Kyoung-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7-1873
    • /
    • 2008
  • 호안은 제방 및 저수로 하안을 강수와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작용에 대하여 직접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연형.생태하천 등 하천의 친수성.경관.생태계의 보전.재생 등이 중요시 되면서 이런 기능을 가진 많은 호안공법들이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안공법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등의 기술적인 검토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호안공법이 적용된 호안에 대해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호안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시공사례가 있는 콘크리트 식생블록에 대해서 개수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실제 하천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H형 식생블록을 1/10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호안경사 1:2에 대해 식생이 없는 경우, 식생이 0.08m, 0.04m 간격으로 있는 경우에 대해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식생밀도에 따른 유속 저감 및 소류력 저감 효과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안경사 및 식생밀도는 호안부에서 흐름의 에너지 및 유속을 감소시키며, 식생이 없는 호안에 비해 식생이 있는 호안에서는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류력이 최대 62.24%까지 감소하였다. 호안부에서의 식생의 발달은 유속 및 소류력을 감소시켜 호안부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tability of High Flow Revetment by Prototype Experiments (원형실험을 통한 고수호안 안정성에 관한 연구)

  • Han, Eun-Jin;Kim, Jung-Min;Kim, Young-Do;Park,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6-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수호안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수리학적 안정성 검토를 위해 수리실험과 원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치모형도 병행 하였다. 수리 실험에 실험수로 제원은 총 길이가 14 m(정류부 3 m, 안정화 구간 3 m, 세굴측정구간 6 m, 하류부 2 m)로서 폭은 1.2 m이고, 높이는 0.6 m이다. 하류부에는 수위 조절을 위한 수문이 설치되어져 있는 곳에서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 등을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실율 산정은 사면측정기를 활용하여 2 cm 간격으로 통수전 후의 세굴심을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유속분포에 관한 측정은 통수 시 3차원 VECTRINO MICRO ADV(N-778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원형실험은 안동에 위치한 하천 종합실험센터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용한 A1 수로는 총연장 594.0m, 상류단과 하류단의 표고차는 4.50m이며, 단단면 하도로 구성되어져 있고, 실험 수로 연장은 434.0m이며, 상류단과 하류단의 표고차는 3.70m이며, 흐름안정구간, 호안공 검 인증 구간, 조도계수 연구구간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곳에서 다양한 유량조건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실율 산정은 세굴봉을 활용하여 5 cm 간격으로 통수전 후의 세굴심을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유속분포에 관한 측정은 통수 시 흐름을 감안하여 프라이스컵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리학적 안정성은 각 실험에 측정한 유속분포와 유속을 이용한 소류력 산정 그리고 유실율 산정 등을 통해 수리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분석하였다.

  • PDF

Review of hydraulic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of revetment technology using biopolymer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호안 조성 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및 환경성 검토)

  • Dong Jin Lee;Hong Kyu Ahn;Joon Gu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5-485
    • /
    • 2023
  • 지금까지 하천에 적용된 호안 조성 기술은 급격한 홍수로 인해 쉽게 유실 및 파괴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리적으로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환경적으로 무해한 호안 조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개발기술은 무독성 소재인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자연 친화적인 호안 조성 기술로써 본 연구에서는 수리적 안정성과 환경성을 검토해 보았다. 개발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한계유속 및 허용소류력 실험 결과 유속 8.0 m/s, 최대 허용 소류력 67.25 kgf/m2 (659.05 N/m2)에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하천에 적용한 기술보다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생이탈 실험 결과 유속 8.0 m/s에서 식생 피복 전체 면적의 75~85%에서 식생 이탈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기술의 환경성 검증을 위하여 시범사업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수질이 양호하고 점차 식생이 이입, 정착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수서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개발 기술의 환경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