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성능

Search Result 4,43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 Jee, Ju-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SN을 위한 노드 감지기 설계 및 성능 분석

  • Gang, Chang-Su;Baek, Ju-Gi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6 no.12
    • /
    • pp.31-3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USN 시스템 구현을 하기 위한 노드 감지기를 설계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온도 응답특성에서 USN 노드는 100ms 이후에 안정된 특성을 보였고, ZF5585는 50ms 이후 안정되나 이후 출력이 안정되지 않고 빠른 출력을 내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개선되었다. 온도시간의 측정결과 USN 노드는 PT100에 비해 온도 측정시간이 균일하게 나타났고 측정시간도 짧았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and Tolerance Design of the Stabilized Mirror (안정거울 장치의 민감도 해석 및 공차설계)

  • 정호섭;손석만;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87-291
    • /
    • 1995
  • 다구찌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거울 시스템의 민감도 해석, 강건설계 및 공차설계를 행하였다. 민감도 해석을 통해 안정거울 시스템의 안정화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7개의 중요한 설계변수를 도출하였다. $m_{M}$이 안정화 성능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므로 공차범위를 줄여야 한다. $m_{M}$, $m_{B}$, $K_{MB}$ , $p_{3}$, $b_{3}$는 공차범위가 크게 안정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기타의 변수들은 각각 하한공차 및 상한공차로 주어진다.

  • PDF

A Performance Analysis of NCTUns by Comparison of Ad Hoc Network Routing Protocols (Ad Hoc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들의 성능분석을 통한 NCTUns 시뮬레이터의 성능분석)

  • 이종혁;석정봉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c
    • /
    • pp.239-242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 활동에 쓰이는 NS-2 시뮬레이터와 최근 대만의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에서 개발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NCTUns에서 On-Demand 방식의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 중 AODV와 DSR의 성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논하였다. NCTUns의 경우 작은 규모의 실험에서는 원할 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노드수가 증가하면 불안정한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NS-2의 경우 NCTUns가 보여준 문제점 없이 원할 한 통신을 보여준다. 이에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Ad Hoc 관련 실험에서 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는 NS-2의 프로토콜 모듈을 NCTUns에 보강하면 보다 안정적인 시뮬레이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지막의 특성에 의한 복합막의 성능 변화에 대한 연구

  • 곽상효;오종열;신세종;민병렬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3-74
    • /
    • 1996
  • 역삼투막은 높은 투과율과 배제율,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성형성,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복합막을 통한 역삼투막의 제조는 위의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역삼투막을 제조할 수 있는 훌륭한 제조 방법인데 지지막과 표면의 활성층을 여러 가지로 조합하여 다양한 성능의 막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막은 다공질의 고분자막으로 기계적 강도, 화학적.열적 안정성 등이 있어야 하는데 역삼투막이 가혹한 운전 조건에서 조작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지막은 활성층과 안정된 결합을 할 수 있는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지녀야 한다. 활성층은 분리가 일어나는 곳으로 막의 배제율과 투과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복합막의 제조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지지막과 활성층의 재질의 선택, 지지막의 특성, 지지막 위에 얇고 안정된 활성층의 도포 방법, 성능향상과 활성층의 안정화를 위한 제조된 복합막의 후처리 방법 등이다. 지지막 위에 활성층을 도포시키는 방법은 계면중합법, 박층분산법, 침지코팅법, 기상증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계면중합법을 이용한 복합막의 제조가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고 현재 실용화되어 있다.

  • PDF

Analysis of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for Optical Equipment During In-flight Vibration (항공기 진동에 대한 광학 탑재 장비 구조 안정성 및 광학 성능 분석)

  • Jo, Mun Shin;Kim, Sang 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9
    • /
    • pp.897-904
    • /
    • 2017
  • Optical equipment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and a detector is mounted and operated on aircraft, tanks, and warships for targe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of aeronautical optical equipment operated at several kilometers of altitude are degraded owing to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requirements of the equipment in vibration environment conditions during the design phase. In this study, vibration environment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a test standard and the measurements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aircraft. The conditions were classified as endurance and operating vibration conditions for structural stability and optical performance verification, respectively. The structural stability was verified according to natural frequency analysis, response analysis for the endurance vibration condition, and static analysis. The optical performance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vibration response analysis results to the optical design/analysis program.

A Study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lling Fluid Dependingon the Mix Water (배합수에 따른 안정액의 공학적 특성 분석)

  • Choi, Jung-Hyuk;Yoo, Chung-Sik;Han, Yun-Su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5 no.4
    • /
    • pp.43-52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engineering characteristic to the effect of drilling fluid with different mix designs for use in bore hole collapse prevention. The bore hole collapse prevention mechanism for the bentonite based drilling fluid was first discussed together with the effect of conditioning with different additives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bentonite based drilling fluid. As result, bentonite with polymer have a outstanding characteristics as compared to CMC Properties thickening effect In the case of sea water with attatulgite be superior to bentonite. Therefore, in this paper presented qualitative result on the performance of the drilling fluid depending on the water.

대구경 광학탑재체 광구조부의 길이 안정성 측정장치

  • Yeon, Jeong-Heum;Lee, Eung-Sik;Jang, Su-Yeong;Lee, Deok-G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27.2-227.2
    • /
    • 2012
  • 대구경 고해상도 광학탑재체의 광구조부는 주반사경과 부반사경 등을 포함한 주요 광학부품들과 검출기를 포함한 초점면 조립부 등을 고정 지지해주는 부분으로, 발사시 전달되는 진동 및 우주 열환경하에서의 길이 안정성을 광학성능 범위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광학탑재체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의 광축방향의 길이 안정성으로, 광학탑재체의 작동 온도범위 내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내외로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의 간격은 열 및 흡습에 둔감한 탄소섬유 강화수지 복합재로 되어 있는 경통 구조물로 설계, 제작된다. 제작된 경통구조물의 길이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밀 측정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길이 안정성 측정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온도에 대해 변화가 거의 없는 (CTE<0.1ppm/K) Zerodur 소재의 막대 구조물을 기준 스케일로 삼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Invar 소재의 구조물을 사용 하였다. 주반사경의 베젤부위와 부반사경의 접속부위의 변위 변화를 세점에서 측정하여 길이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Robust Control of a Manipulator Contacting the Uncertain Environment (不確實한 環境에 接觸하는 매니퓰레이터의 强靭制御)

  • Lee, Sang-Moo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2
    • /
    • pp.175-185
    • /
    • 1995
  • 본 논문은 불확실한 환경에 접촉하는 매니플레이터의 강인 제어법을 제시하였다. 이 제어법은 고차수 보상기를 응용한 표적특성에 $H_{\infty}$ 강인제어 설계법을 적용하여 얻어졌다. 접촉중의 위치와 힘에 대한 강인 안정성과 강인 성능 조건을 유도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위치제어기는 강인 안정성과 강인 성능 조건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나, 힘 제어기는 그 둘 사이에 최적화가 요구되었다. 강인 성능 제어기를 얻기 위한 최적화 설계기법은 변형 해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예에서는 힘제어기의 강인 성능이 설계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