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도

Search Result 37,371, Processing Time 0.074 seconds

Establishment of nanometer length standardization using the monolithic x-ray interferometer (일체식 엑스선 간섭계를 이용한 나노미터 표준확립)

  • 김원경;정용환;박진원;김재완;엄천일;권대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35
    • /
    • 2002
  • 나노미터 표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일체식 엑스선 간섭계에 광간섭계를 결합시킨 복합간섭계를 구성하였다. 복합간섭계는 광간섭계의 Zero crossing 지점부터 표준시편이 올려진 미소이동대의 이동거리를 변화된 위상값으로 읽고 그 변화량을 고분해능 변위 측정기인 엑스선 간섭계로 읽어들이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소이동대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광간섭계의 위상 안정도, 엑스선 간섭계 및 미소이동대의 위치 안정도 등이 나노미터 영역의 길이 측정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미소이동대의 위치 변화시 정지상태에서의 위상 잠김 (phase locking)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마이켈슨 레이저간섭계의 한쪽 팔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 팔은 미소이동대 위에 반사거울을 설치하여 미소이동대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보다 안정된 위상잠김 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PID feedback loop controller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위상 변동폭이 0.022 degree 이하의 높은 위상잠김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길이단위로 환산하면 정지상태에서 약 0.02 nm 이하의 위치 안정도를 나타낸다.

  • PDF

신규항암제 DA-125의 액상 안정화

  • 박양환;박광신;권종원;차봉진;정비환;정기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09-309
    • /
    • 1994
  • DA-125에 당류로서 Inositol, Dextrose, Iactose, Mannitol 및 Sorbitol을 첨가하여 DA-125 단독으로 용해한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을 때 DA-125의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아미노산 중 L-lysine첨가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컷으로 나타났다. 염류를 사용하였을 때는 NaCl, MgSO$_4$첨가시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NaCl의 첨가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DA-125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안정화제로 Sodium Bisulfite 첨가시 안정성이 증가되었다. 안정성 시험 중 pH및 용액상태는 변화하지 않았다.

  • PDF

A Stability Estimation Method of HVDC System Using Reduced Model (축약모델을 이용한 HVDC시스템의 안정도 평가)

  • Kim Chan-Ki;Ryu Byeong-Woo;Jung Gil-Jo;Joe S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07a
    • /
    • pp.456-460
    • /
    • 2004
  • 본 논문은 HVDC시스템의 안정도와 제어 게인과의 상관관계를 다루고 있다. HVDC와 같은 시스템은 비선형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학적인 알고리즘으로 안정도를 판별하고, 제어게인을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축약된 모델링을 이용하여 제어 게인을 구하였고, 안정도를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Real time Transient stability assessment on the Power System (실시간 안정도 평가의 전력개통 적용에 관한 연구)

  • Jang S. I.;Park S. K.;Lee J. J.;Shin M. 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32-134
    • /
    • 2004
  • 전력계통의 대형화된 규모와 복잡 고도화된 운영에 따라 전력계통이 높은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및 운용될 것이 요구되어, 안정도는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공급을 하기 위한 필수 여건이다. 특히 과도 안정도는 계통운용 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계통운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실 계통 과도안정도 평가를 통한 계통제어로 계통의 안정운영을 기대를 하게 된다.

  • PDF

Stability Improvement of Magnet Power Supply for Accelerator (전자석 전원장치의 안정도 개선)

  • Park, Ki-Hyeon;Jeong, Seong-Hun;Choi, Won-Shik;Kim, Min-Jae;Jeong, Il-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994-995
    • /
    • 2015
  • 이 논문은 전자석용 전원장치의 안정도 개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 전원장치는 4세대 가속기에 설치될 예정이며,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10ppm-rms 이하의 출력 전류 안정도를 가진다. 여기서는 전원장치에서 입력 정류기의 리플 성분이 출력 전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였다. 또한 출력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원장치 전체의 접지 설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A Position control of Ball-Beam using CDM (CDM을 이용한 Ball-Beam 위치제어)

  • 정지연;추연규;임영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39-142
    • /
    • 2002
  •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에는 기존 PID 설계 기법인 Ziegler-Nichols와 Jung, R. C. Dorf 방법들이 있다. 본 논문은 Shunji Manabe의 계수도법(CDM Coefficient Diagram Method)을 이용하여 Ball-Beam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PID 제어기를 설계한다. PID 제어기의 각 파라메터인 P, I, D 계수는 시스템의 속도와 안정성에 기인하는 표준 안정도 지수$(\gamma)$와 등가시정수$(\tau)$ 로부터 얻 어진다. 등가시정수$(\tau)$와 안정도 지수$(\gamma)$는 제어기 파라메터의 대수적 형태와 절대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설계된 제어기로부터 빠른 상승시간과 안정된 정상상태 응답을 얻을 수 있다. Ball-Beam 시스템에 CDM 제어기를 적용한 결과 시스템의 안정도, 정확성 그리고 강인성에 있어서 퍼지 제어기나 PID 제어기에 비해 뛰어난 응답 특성을 확인하였다

Determination of Passive Damping Resistor for Stability Improvement of Grid-Connected Inverter using an LCL Filter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안정도 향상을 위한 수동댐핑 저항 산정)

  • Jo, Jongmin;Shin, Chang-hoo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4-35
    • /
    • 2017
  • 본 논문은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전류제어 안정도 향상을 위해 수동댐핑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안정도 해석기법을 기반으로 댐핑저항을 산정하였다. 전류제어기는 동기좌표계 PI 제어를 적용하였고, 인버터 $1.5T_s$ 시지연 특성을 고려한 전류제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개루프 함수의 이득특성을 통해 필터공진을 0dB로 저감하는 최소 댐핑저항을 도출하였으며, 보드선도와 근궤적법을 기반으로 전류제어 안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적용 가능한 댐핑저항을 산정하였다. 댐핑저항을 적용한 7kW 인버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안정도 향상 및 댐핑저항 산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인간 동력 항공기의 2차원 익형을 이용한 정적 안정성 및 동적 안정성 해석

  • Go, Dong-Jae;An, Yeong-M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93-597
    • /
    • 2016
  •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정적(static)안정성과 동적(dynamic)안정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EDISON_CFD의 KFLOW_EDISON_2D3DOF, 2D_Com_P해석자를 이용해 2차원익형의 정적(static)계수와 동적(dynamic)계수를 구해 항공기 전체형상의 정적 안정성 및 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중 2015년도 인간 동력 항공기대회 건국대학교 참가 기체를 예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익 익형 SG6043과 미익 익형 NACA0012을 EDISON_CFD를 이용하여 각 익형의 모멘트계수를 구하고 그 결과값을 이용하여 기체의 무게중심에 대한 각 익형의 감쇠계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주익과 미익의 면적비율과 코드길이의 비율을 고려해 전체 항공기형상의 안정성과 비행 형태를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Current Control Stability for Grid-connected Inverter with LCL Filter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전류제어 안정도 해석 및 검증)

  • Jo, Jongmin;Shin, Chang-hoo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1-12
    • /
    • 2015
  • 본 논문은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안정적인 전류제어를 위한 공진주파수와 샘플링주파수의 관계 분석을 통해 주파수 및 이산시간영역에서 전류제어 안정도를 해석,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능동댐핑을 포함하지 않는 계통전류 제어의 경우, 공진주파수가 샘플링주파수의 1/6이 되는 $f_{base}$보다 높은 영역에 위치하면 안정, 낮은 영역에 위치하면 불안정한 특성을 분석하였고, 공진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류제어루프의 안정도 해석을 기반으로 7kW 계통연계형 인버터 Psim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주파수간의 관계 분석 및 안정도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Power System Stability by Deployment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재생에너지원 보급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도 분석)

  • Kwak, Eun-Sup;Moon, Chae-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4
    • /
    • pp.633-642
    • /
    • 2021
  • Growing demand for electricity, when combined with the need to limit carbon emissions, drives a huge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industry. In the electric power system, electricity supply always needs to be balanced with electricity demand and network losses to maintain safe, dependable, and stable system operation. There are three broad challenges when it comes to a power system with a high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transient stability, small signal stability, and frequency stability. Transient stability analyze the system response to disturbances such as the loss of generation, line-switching operations, faults, and sudden load changes in the first several seconds following the disturbance. Small signal stability refers to the system's ability to maintain synchronization between generators and steady voltages when it is subjected to small perturbations such as incremental changes in system load. Frequency st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of a power system to maintain steady frequency following a severe system upset resulting in significant imbalance between generation and load. In this paper, we discusses these stability using system simulation by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lan, and also analyses the influence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to the grid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