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도

Search Result 37,356,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Stability Analysis for Fuzzy PWM System (퍼지 PWM 시스템에 대한 안정도 분석)

  • Seong, Hwa-Chang;Ju, Yeong-Hun;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373-376
    • /
    • 2008
  • 본 논문은 퍼지 펄스 폭 변조 (Pulse-width-modulation: PWM) 시스템의 안정도에 대해 다루게 된다. 복잡성을 가진 비선형 시스템은 Takagi-Sugeno (T-S) 퍼지 모델에 의해 효율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LTI 시스템에서 논의 되었던 PWM 제어기 설계 문제를 퍼지 시스템으로 확장시킴으로써 PWM 제어기에 대한 논의의 저변을 확대시키고자 한다. 또한, 리아푸노프 (Lyapunov) 안정도에 기반 한 안정도 증명을 통해 퍼지 PWM 시스템의 안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the Improvement in Power Systems Stability with Real-time transient stabilizing algorithm (실시간 과도안정도 알고리즘을 적용한 전력계통 안정도 향상방안)

  • Jang, Sung-Ik;Cho, Si-Hyung;Min, By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91-92
    • /
    • 2006
  • 전력계통의 안정도는 계통에 외란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이겨내고 새로운 안정운전 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전력계통의 중요한 특성을 의미한다. 향후 전력부하 성장은 필연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수송하는 전력계통 송전망을 복잡화시키며, 이는 송전망에 중대고장이 초래될 개연성이 과거보다 높아짐을 의미하고 그에 따른 과도안정도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중대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정도 관련 보호계전기들이 안정도 측면보다는 설비보호 측면에서의 검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적안정도 기법을 실 계통에 응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다기계통 적용 알고리즘 보호계전기를 이용하여 안정도 측면도 함께 고려하였다.

  • PDF

An Evaluation on Change in Power System Stability Analysis Result due to Difference in Load Model (부하 모델 차이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도 해석 결과 변화에 대한 평가)

  • Kim,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a
    • /
    • pp.313-31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프랜트 설계 단계에서 안정도 해석을 행함에 있어 부하모델의 차이가 안정도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플랜트 부하의 대부분인 유도전동기 모델을 달리 적용함에 따라 안정도 해석 시 최대 허용 고장제거시간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유도전동기의 모델 표현을 달리함에 따라 고장제거 후 모선의 전압회복 특성과 전동기 속도 회복 특성이 매우 달라짐을 보여 주면서 산업플랜트 보호계전 시스템 설계를 위한 안정도 해석 시 유도전동기 모델 적용방법에 있어 유의하여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of Wind Turbine Generator Connected to a Weak Grid (약한 계통에 연계된 풍력발전기의 과도안정도 해석)

  • Seo, Gyu-Seok;Park, Ji-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7
    • /
    • pp.4494-4499
    • /
    • 2014
  • The margin of transient stability of a weak grid system is very low because of the small short-circuit ratio and large impedance. If the fault of the weak grid is cleared by the protection system, one of the major lines is disconnected after the fault is cleared. This further reduces the system streng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a new generation system be added to the weak grid to enhance the transient stability margin. A conventional synchronous generat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were added to a base grid system. The results of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with additional generators using PSSE were compared. The simulations showed that wind turbine generators provide good damping performance and enhance the transient stability margin based on CCT up to 5 times.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Habitat Sui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able Channel Design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서식처 특성 분석)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의 변동과 그에 따른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구간별 안정경사관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현재 하도의 구간별 경사와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을 판단하였다. 원주천 대상구간은 총 20개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한 하상경사로 나타났으며, 하류부 2개 지점과 상류부 1개 지점에서 불안정 경사로 나타났다. 불안정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하상변동의 유도로 안정경사를 설계하는 방법과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경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개의 구간에서 추가적인 안정하도의 설계로 총 19개 구간이 안정하도로 설계되었으며,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0개 구간 전부에서 안정경사로 설계되었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와 물리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대상으로 평수량에 대한 서식적합도 (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 (WUA, weighted usable are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상태와 5년의 하상변동 모의 후의 평가 분석결과를 하천시설물 도입과 하도의 준설에 따른 5년경과 후의 예측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현재상태보다 소폭 개선되었으며,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 보다는 감소하나, 현재의 5년경과 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도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5년경과 후 보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및 물리서식처 분석을 통한 하천의 안정성과 건강성 증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퍼지이론을 이용한 위험절개면 평가법 및 대척공법 결정기법 개발 연구

  • Baek, Yong;Koo, Ho-Bon;Jang, H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10a
    • /
    • pp.83-90
    • /
    • 2001
  •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와 더불어 낙석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와 대책 마련은 도로의 신설과 유지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절개면의 안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위험등급을 분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는 절개면 안정도 평가시 조사인자의 선정에서 전문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절개면의 안정도 평가법 개발을 위하여 절개면의 조사인자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자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한 퍼지 이론으로 안정도를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정량화 값만으로 평가된 절개면 안정도에 따른 대책공법의 설정은 현장성과 적용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여건을 최대한으로 고려하여 도로 관리자뿐만 아니라 지반 전문가가 대책공법을 선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법과 시스템은 효율적인 정보관리화가 이루어지도록 전산시스템화 되어 있으며 도로절개면 유지관리시스템에 병합하여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 PDF

Update of Stability Evaluation Program for Levee Revetment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의 개선)

  • Kim, Ki-Tae;Jeon, Jae-Ryung;Yoon, Moon-Sang;Kim, Sang-Mun;Choi,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6-416
    • /
    • 2011
  • 최근 하천의 생태성이 강조된 식생, 사석, 목재 등의 자연 재료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호안이 고안되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호안들은 홍수시 유실에 따른 안정성의 확보와 생태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어진 돌망태호안, 식생호안 및 식생블록호안의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개발한 사석안정성 산정식을 이용하여 사석호안공에 대한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였다. 각각 호안에서의 밑다짐공의 최대세굴심과 폭의 산정으로 밑다짐공의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여 호안 안정성평가에 대해 폭 넓은 평가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사석호안공과 밑다짐공의 안정성을 추가하여 김상문, 최흥식(2008)에 의해 Data-Base를 기반으로 개발된 Menu-Driven방식의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을 통하여 호안의 축조는 물론 생태성이 강조된 호안설계에 의한 자연형 하천복원 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나이퀴스트 선도 및 보우드 선도를 이용한 폐루프 제어시스템의 안정도 판별

  • Gang, Tae-Sam
    • ICROS
    • /
    • v.16 no.4
    • /
    • pp.35-41
    • /
    • 2010
  • 나이퀴스트 선도와 보우드 선도는 주파수 영역에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본 소고에서는 나이퀴스트 판별법의 근간이 되는 편각의 원리, 그리고 이에 기초한 나이퀴스트 판별법, 이를 활용한 안정도 및 안정도 여유 판별법, 그리고 나이퀴스트 선도와 보우드 선도와의 관계 및 활용시의 장단점을 비교함으로써, 제어기 설계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The Incapacition Method of Power System Assessing Transient Stability Index and Voltage Drop/Rise Duration Index (계통 안정도 모의를 통한 전력계통의 무력화 방안)

  • Lim, Jae-Sung;Kang, Hyun-Koo;Kim, Taek-Won;Moon, Seung-Il;Lim, Wan-K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4
    • /
    • pp.532-539
    • /
    • 2009
  • When assailing some a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argeting power system. This paper describes effective method that power networks are incapacitated based on assessing TSI and VDI. For this, we compose realistic scenario and analyze the simulation results in a view of stabilit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destruction effects when occur the contingency in the specified area. To perform this process, the simulation tool PSS/E and DSAT are used.

폴리펩타이드의 가능한 이차 구조에 대한 계산화학적 연구

  • Im, Hae-Ri;Hong, Ju-Yeon;Ham, Si-Hy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263-274
    • /
    • 2014
  • 펩타이드 중합체의 이차 구조는 화학적,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 단백질 삼차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단백질의 이차구조에 대한 정보는 치매, 광우병과 같은 단백질 응집관련 질병에서 응집유발 단백질의 형성과정 및 안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는 폴리알라닌을 모델 펩타이드로 선택하여, 이들의 가능한 7가지 이차구조들에 대한 구조적, 열역학적 특성을 계산화학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기체상에서 7가지 구조들의 구조최적화를 통해 상대적 안정도를 비교하였고, 나아가 EDISON의 용매화 자유 에너지의 열역학적 계산방법을 통해 수용액상에서의 상대적인 안정도와 그 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기체상에서와 수용액상애서 폴리알라닌 이차구조들의 상대적 안정도가 바뀌는 원인에 대해, 폴리알라닌의 구조적 특징과 수소결합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단백질 이차 구조의 상대적 안정도 및 물과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구조적, 열역학적 원인은 응집 유발 단백질에서 제시된 특정 이차 구조의 선택적 안정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그 기작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