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 통항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최봉권;박영수;김니은;김소라;박현구;신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45-146
    • /
    • 2022
  • 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부산신항에는 극초대형 컨테이너 선박들이 입항하고 있으며 서컨테이너 부두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다양한 조우 상황 발생으로 충돌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하여 부산신항 내 항만 입출항 현황과 해상교통흐름을 살펴보았으며, AHP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 식별로 도출된 안전대책을 기반으로 환경 스트레스 모델을 활용하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각 안전대책의 교통 위험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나리오 평가 결과, 선박운항자는 일방통행을 위한 진입금지 해역 설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는 위험도 경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신항을 입출항 하는 선박들의 통항 안전성 제고를 위한 안전대책 마련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afe Navigation Plan for Dredging Operations to build Sunken Tunnel for Access Road between Busan-Geoje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침매터널공사의 준설작업에 따른 안전통항방안)

  • Kim, Jung-Hoon;Gug, Seung-Gi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0 no.10 s.116
    • /
    • pp.825-831
    • /
    • 2006
  • This research does by purpose that present safe navigation plan for ships during doing dredging construction with dredger crossing waterway of Gadeok Dredging operations need to build sunken tunnel that cross the bottom of the sea under waterway of Gadeok for access road construction between Busan- Geoje. Accordingly, dredger must cross and dredge waterway of Gadeok fatally. There is possibility of marine accident of collision for latent danger situation of ships to navigate waterway of Gadeok relatively. Therefore, safe navigation plan of ship is groped in reply and its countermeasure is presented. Firstly, navigating traffic in daytime was forecasted less than 20% of its maximum capacity through estimating the traffic volume and traffic congestion The proposal was presented to execute dredging operations in three-step and to establish temporary waterway after reviewing waterway design principles. The role of VTS center was emphasized in the new Busan Port, lastly.

IWRAP에 의한 해상교통안전성 평가 실효성 분석

  • Kim, Gwang-Il;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43-145
    • /
    • 2012
  • 해상교통안전성평가는 크게 해양 안전 및 환경측면에서, 세부적으로는 해당해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항로수립, 해상교통안전진단 및 해상교통영향평가 등을 수행 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IWRAP은 IALA Waterway Risk Assessment라는 평가도구로 항만수로의 위험도(선박의 충돌 및 좌초확률)를 분석하는 정량적인 평가모델이다. 정량적인 해상안전 평가방법은 통항량, 선속, 길이, 선박의 통항분포로부터 해상에서 통항의 위험도를 평가하므로 인적, 지리적, 환경적 등 주관적인 요소들이 많은 정성적인 평가방법에 비해 적용이 간단하다. 본 연구에서는 IWRAP을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로의 활용을 위해 목포항 진입수로를 대상으로 IWRAP분석을 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 PDF

국내 해상교량 주요 제원 분석

  • Song, Jae-Uk;Lee, Yun-Seok;Jeong, Min;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66-268
    • /
    • 2007
  • 최근 국내의 각 주요 항만 내 ${\cdot}$ 외에 대형 해상교량이 건설되었거나 건설 진행 중이다. 해상교량 중 주로 선박통항이 빈번한 항로부근에 설치되어 선박통항안전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량이나, 항내의 접안시설과 항만 기반 시설에 근접하여 설치된 교량은 선박의 통항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항만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해상교량에 대한 현황 및 주요 제원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선박 통항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인 주경간장, 형하고 등의 주요제원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Traffic Safety of Ship under Bridge (선박의 교량 통항 만전성에 관한 연구)

  • Yoon Myung Ou;Kim Hyun Jong;Keum Jong Soo;Seong Yu-Cha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3.11a
    • /
    • pp.67-73
    • /
    • 2003
  • In these days, several bridges have been built or under construction over navigational channel in Korea In these cases there must be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marine safety of vessels to be passed by below the bridg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maritime traffic safety and to figure out ample width of main span of these kinds of bridges through the reference study and FMSS.

  • PDF

관제구역 내 교통안전특정해역 통항선박의 안전운항 방안

  • Kim, Jae-Jin;Kim, Jae-Su;Kim, J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2-324
    • /
    • 2016
  • 교통안전특정해역 내 통항선박과 어로에 종사하는 선박간의 충돌 위험성이 높아, 해상교통관제사 및 항해사에게 많은 위험부담이 있으므로, 인명 및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해사안전법상 교통안전특정해역 안에서의 항로지정제도를 시행하는 구역에서 지방해양수산청과 지방해경서 간의 어로행위 단속 주체를 관련법령을 통해 명확히 하고자 한다.

  • PDF

경인아라뱃길 영종대교 및 접근항로 해상교통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 Park, Yeong-Su;Lee, Yun-Seok;Yun, Gwi-Ho;Mun, Seong-Bae;Kim, S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35-337
    • /
    • 2012
  • 경인아라뱃길 인천터미널 및 서해갑문 접근항로와 영종대교 부근 통항안전성 검증과 보완을 위하여 북측 만곡부 수역의 확장 필요성을 위하여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위주로 한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상교통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ated Domestic Traffic Separation Scheme(TSS) -Focused on the Marine Casualty & the Marine Traffic Flow- (국내 통항분리수역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해양사고 및 해상교통흐름을 중심으로-)

  • Kim, Chol-Seong;Jeong, Jae-Yong;Lee, 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1
    • /
    • pp.61-68
    • /
    • 2011
  • The "ship's routeing" system was adopted by IMO and has been operated on the major sea routes of all over the world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casualty and the improvement of marine traffic flow. Thereupon, also in Korea, the "Hong-do" and "Bogil-do" sea routes on southern coast were designated to mandatory sea area by traffic separation scheme(TSS) in 2003, and the "Geomun-do" sea route on southern coast was designated in 2005. But there were few or no studies on the effect of designated traffic separation scheme in Korea.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contribution of traffic separation scheme to the prevention of marine casualty and the improvement of marine traffic flow after designation of domestic traffic separation scheme using data of the marine casualties and ship's tracks from AIS information.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ed that on the contrary, the cases of marine casualties were increased on some sea routes and regular traffic flows were disturbed by some vessels after designation of traffic separation scheme. For the safer and better sea routes, alternative ideas such as reposition of ship's routing on "Hong-do" and "Bogil-do" sea areas were suggested.

울산 현대중공업 해양2공장 H-Dock Gate확장에 따른 해상교통안전진단

  • Mun, Seong-Bae;Kim, Se-Won;Lee, Yun-Seok;Park, Yeong-Su;Kim, Jong-Seong;Yun, Gw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14-316
    • /
    • 2012
  • 울산 현대중공업 해양2공장 H-Dock에서 건조중인 Goliath FPSO의 원활한 입출거를 위하여 기존의 폭 90m인 Dock Gate를 115m로 확장하고, Gate 북측의 기존안벽을 25m 철거하여 신설안벽을 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Dock 전면수역을 이용하는 선박의 통항 안전성을 검증하고, 해상교통현황 조사, 해상교통현황 측정, 해상 이용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울산항 제1항로를 횡단하여 현대중공업을 입출하는 선박 Block 운반 예부선들의 교통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설안벽의 전면수역인 M정박지에 입출하는 선박들의 통항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