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장치

Search Result 3,03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건설현장 둥근톱 안전특성 조사연구

  • 문종호;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3-208
    • /
    • 2001
  • 목재가공용 둥근톱은 노동부 법률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 유해위험 기계기구로 명시되어 있어 날접촉예방장치인 덮개를 설치한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둥근톱에 의한 사고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그 원인의 대부분은 덮개를 설치하지 않은 채 목재를 가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현장에서 목수들이 덮개를 설치하지 않은 채 목재를 가공하는 원인을 고찰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간구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며 또한 안전장치의 잘못된 사용과 안전장치의 결함으로 사고 발생시에는 근로자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대단함은 물론 왜곡되어 전파되는 특성이 있어 사고의 원인이 마치 안전장치의 사용 때문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면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안전장치의 부착과 착용을 기피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과 적합한 안전장치 및 올바른 사용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Structural Analysis of Door Safety Device (도어 안전장치의 구조해석)

  • Lee, Jong-s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9
    • /
    • pp.173-177
    • /
    • 2019
  • This study is door safety device for the structural analysis are described. Recently emerged as a key point of the door safety and increase the need of a door safety device. In order to improvement this inconvenience, the door safety device was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CATIA. CATIA utilizes door safety device element model for displacement, stress and strain energy were obtained. Consideration of door open angles were $95^{\circ}$, $100^{\circ}$, $105^{\circ}$, $110^{\circ}$, $115^{\circ}$, $120^{\circ}$.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to develop new concepts of door safety device as initial data.

Development of Arm Fire Device for Solid Rocket (고체 추진기관 점화안전장치 개발)

  • Jang Seung-Gyo;Jung Jin-Suk;Kim I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9-172
    • /
    • 2005
  • The performance test result of the Arm Fire Device(Ignition Safety Device) for solid rocket which prevents accidental ignition was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closed bomb test and the igniter test of the classical mechanical arm fire device and the advanced electro-mechanical arm fire device were presented, and according to the igniter test result it was realized that the electro-mechanical arm fire device has an advantage in aspect of the action time.

  • PDF

철도 신호보안장치 안전성 규격의 발전동향

  • 김종기;이종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5 no.4
    • /
    • pp.25-30
    • /
    • 2002
  • 신호보안장치는 안전성을 기본 개념으로 탄생했으며, 열차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하여 고안된 설비이다. 안전성, 정확성, 신속성, 대량 수송, 환경친화성, 에너지 효율성 등은 다른 교통수단과 구별되는 철도의 장점이며 이의 달성에는 신호보안장치가 긴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신호보안장치는 Fail-Safe 원칙을 근간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신호보안장치가 전자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철도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전세계적인 무역자유화 및 개방화, 국제화 추세 속에서 좀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안전성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면서 철도신호보안장치의 안전성 규격이 유럽과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 한국은 2000년대 초부터 발표되기 시작했다. 이들 안전성 규격은 재래식 시스템보다는 새로 개발되고 있는 전자화 및 컴퓨터화된 신호보안장치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중략)

Design of Safety and Arming Device of the Fuze using Solenoid for Improving Safety (안전성 증대를 위해 솔레노이드를 적용한 신관 안전장전장치 설계)

  • An, Ji Yeon;Jung, Myung Suk;Kim, Ki Lyu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197-203
    • /
    • 2014
  • The safety and arming device(SAD),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fuzes, shall provide safety that is consistent with handling, storage, transportation, use, and disposal. In this paper, we describes the design of the SAD which includes the solenoid assembly and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fuzes. The solenoid assembly consists of a coil assembly, a restoring spring, and a core. The solenoid assembly is added in the SAD as an additional safety device. In case of the normal circumstances, the core of the solenoid assembly restrains the $1^{st}$ and $2^{nd}$ safety devices of the SAD for those devices not to operate at all, so that the SAD can secure safety for storage, transportation, and use. In contrast, when the battery power is provided to the solenoid driving circuit just before the flight, the core confirms the power level and starts removing the restraint from the $1^{st}$ and $2^{nd}$ safety devices of the SAD, and then the SAD is able to change its mode from safety mode to armed mode. After firing, once the SAD's operations complete, the turned-on arming switch stops providing the power to the solenoid assembly automatically. I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t solenoid assembly. Therefore, the proposed solenoid driving circuit for the solenoid assembly not only unlocks the restrained solenoid assembly from the safety devices, but also saves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flight.

A Study on the Function Maintenance of the Protection Guard Interlock System (방호가드 인터록장치 성능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LEE, K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39-140
    • /
    • 2023
  • 기계·기구, 설비 등(이하 "기계설비")의 주요 위험장소에는 작업자를 통제, 격리하기 위해 방호가드를 고정·설치하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다만 방호가드가 개폐가 용이한 구조일 경우 기계설비 등의 작동 중 작업자 임의 개방에 의한 사고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우려가 있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의 방호가드에는 기계설비 가동조건과 연동회로가 구성된 인터록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인터록장치는 대부분 기계설비의 가동조건과 하드와이어드(hard-wired)로 결선된 단순 구조가 아닌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터치판넬, 통신장치 등과 다양하게 다소 복잡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인터록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도 구조, 기능, 사용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화되어 방호도어에 설치되는 안전센서의 사양 선정이 잘 못되거나 설치 후 관리가 미흡할 경우 오작동, 기능해지 등으로 인해 또 다른 사고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방호가드에 설치된 인터록장치의 기능해지, 관리소홀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사례, 아차사고 등을 통해 인터록장치 성능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 사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sign of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Using Incandescent Light Bulb (백열전구를 이용한 단락보호장치 응용 설계 연구)

  • Yang, Kwan-Jin;Kim, H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63-264
    • /
    • 2023
  • 본 논문은 백열전구를 이용하여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학습 교구로 활용하는 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안전과 에너지 절약을 동시에 고려한 이 연구는 교육과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백열전구를 활용한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는 기존의 전원공급 장치와 비교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학습 교구로 학습자들에게 전기 안전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전기 안전 지식을 습득하는데 기여한다. 백열전구를 사용하여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를 개발하고 개발된 장치의 성능 평가 및 안전성 확인을 통해 학습 교구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원공급장치를 제작 한다. 백열전구를 활용한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의 개발과 학습 교구로의 응용 가능성을 탐구한 연구이다.

  • PDF

Technology Trends in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자동차 전자제어 장치용 소프트웨어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Han, T.M.;Cho,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4
    • /
    • pp.69-82
    • /
    • 2010
  • 과거 단순한 이동 수단이 목적이었던 자동차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 지향 자동차로 거듭나고 있다. 점차 편리와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제어 장치의 장착이 확대되고 전자제어 장치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개발이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 빛 안전성 이슈가 최근에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동차 응용 서비스의 개발에서 IT 기술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전자장치용 소프트웨어의 표준 플랫폼인 AUTOSAR의 동향과 차량 전자제어 장치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ISO 26262 표준 동향 및 이슈를 살펴본다.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for Fixed CO2 Extinguishing Systems Under Ship Motion (선박모션에 따른 고정식 CO2소화 장치 구조안전성 평가)

  • Kim, Seung Chan;Kang, Sang Hoon;Choi, Joo Hyoung;Kim, Jeong-Hwan;Park, Young Chul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4 no.2
    • /
    • pp.75-83
    • /
    • 2016
  • Since fire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threats to the safety of the ship, from the safety device is installed on the vessel the digestive apparatus can b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safety device. The fire-extinguishing device to be mounted to the vessel structure affected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blue of the sea. In particular, the Rack part of the basic safety of a 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the absence of a $CO_2$ container. In this paper, by utilizing simul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pressure data being ejected in each direction by ship motion and $CO_2$ containers Rack perform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was part of the digestive system accordingly.

Proposal of Road Traffic Safety Facilities Equipment and Devic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관제 시스템 제안)

  • JeongHo Kho;Eum Han;Lee Eun Jin;Lee Bo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73-674
    • /
    • 2023
  • 도로교통의 안전 확보와 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찰청에서 규격 또는 지침으로 제정하여 노변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 장치는 교통신호정보를 받기 위한 통신선과 함께 장치 구동을 위한 전원선을 개별로 시공해야 하기에 시공 비용의 절감과 함께 다종·다형의 장치에 대하여 통합적인 관제, 확장성, 유연성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통신을 기반으로 전원 공급이 하나의 케이블로 가능한 이더넷 전원장치(PoE) 기술과 IoT 프로토콜인 MQTT를 이용하여 다종·다형의 교통안전시설 장치를 통합관제하고, 확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