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인식

Search Result 2,7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Construction Officials' Perception of Risk on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건설관계자의 위험인식이 작업환경과 안전문화에 미치는영향)

  • Kim, Yeon-Gun;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7-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위험인식이 작업환경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안전관리활동과 공사기간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인식은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작업환경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안전관리 활동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넷째, 공사기간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안전관리 활동과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r=.61로, 위험인식과 공사기간은 r=.71로 안전관리 활동과 공사기간의 상관관계는 r=.59로 관계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 of Regular Safety Training Programs on Flight Attendant Safety Recognition and Behavior of Airlines (항공사 정기안전교육이 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3-144
    • /
    • 2023
  • 항공사가 매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기 안전 교육 프로그램(Safety Training Programs)을 통한 객실승무원의 안전인식(Safe Recognition) 변화와 직접적인 사고 발생 시 즉시 행동으로 연계되는 안전행동(Safety Behavior)을 연구하여 항공안전의 목표를 달성하고, 사고를 방지하여 항공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다른산업에서 직원안전교육을 수행할 경우 안전교육의 내용,절차, 횟수등을 제시하는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안전 교육 프로그램이 객실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전인식이 정기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안전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mediating effect)가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 PDF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fety Consciousness upon Risk Recognition of Accidental Type (초등학생들의 안전의식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Sub;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217-1220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안전의식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2009년 6월 25일부터 7월 15일까지 J도 소재 J시 K시 4개교에 재학하는 초등학생 378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5로 설정하였다. 안전실태의 특성의 변수들과 안전의식, 사고유형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안전의식은 외상사고 위험인식(r=.179, p<.01)과 환경사고 위험인식(r=.104, p<.05)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고유형 위험인식 전체에 대해서 살펴보면 1년 내 안전 교육($\beta$=.139, t=2.654, p<.01)과 교통안전의식($\beta$=.172, t=2.714, p<.01)이 사고유형 위험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Facility Type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 Shin, Hyo-Jin;Kong, Ha-S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5
    • /
    • pp.89-97
    • /
    • 2014
  • At a time of growing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y by the increa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nalysed safety perceptions about facility management, facility conditions,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This study sample consisted of 204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users in 12 social welfare facilitie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find the group differences among facility typ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afety perceptions of the service provi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ervice users in terms of facility management,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Secondly, in terms of facility types, the respondents in the family service center had lower safety perceptions than the respondents in other service in all three areas. Thirdly, facilities that are of 10 years or older had higher safety perceptions than the respondents of facilities that are 6 to 10 years old in the area of facility management,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Fourthly, in regard to building heights, the respondents in 3 to 4 story facilities had statistically higher safety perceptions than respondents in 1 story facilities. Finall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r area and safety perceptions, safety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of less than $400m^2$ facilities or $600m^2$ and more fac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400m^2{\sim}$ less than $600m^2$ facilities.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 Comparison of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연령별 안전에 대한 인식 차이: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 Chung, Soon-Dool;Oh, Eun-Chan;Kim, Go-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75-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mong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and to seek for countermeasures to overcome the risk.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2008 Social Survey conducted by Administration on Statistics, Korea.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fety level of the society, safety perception of others and oneself, current social safety level compared to 10 years ago, social safety level after 10years, awareness of safety among different social fields, and the rank among the list of factors that lead to social insecurity appear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age groups. The awareness of safety for the elderly group was not higher than babyboomer and pre-elderly groups.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reflected the times and experiences the same age cohort went through. Countermeasures for security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Survey and analysi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by gender (성별 차이에 따른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3-483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사회문화적 관습이나 신체조건 등의 차이로 남성보다 여성의 피해가 크다는 사실들이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고, 개발도상국은 여성의 피해가 큰 반면에 선진국은 여성들의 재난 안전 및 교육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전반적인 대응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빈번하게 자연 재난이 발생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성별 분석을 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거주지 주변 발생 가능한 재난을 인지하고 있는지, 대피소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는지, 안전 관리 교육 경험이 있는지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다.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 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Survey for Awareness for Disaster Safety in South Korean (한국의 재난안전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1-191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태풍, 지진, 홍수 등의 재해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고,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한 AI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재해 전반을 예측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될 정도로 과학적으로 발전 되어진 반면에,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 수를 저감 시키는 방향을 도모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국민들의 재난피해의식도 심각 하지 않은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고,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FID Technique for Improving Small Vessel Safety Management System (소형선박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무선인식 (RFID)기술적용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Jeong, Yong-Geun;Choi, Kyong-Il;Lee, Hee-Jo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8
    • /
    • pp.19-3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톤 미만 소형선박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의 실제 해양환경에서의 도입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선박을 중심으로 목선과 알루미늄선에 태그를 부착하고 이동형 Reader를 활용하여 태그정보를 확인하는 실제 해양환경 인식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양환경 인식실험을 위하여 4종의 태그를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인식률 및 인식거리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박에 설치된 무선설비로 인한 전파장애, 염분, 수분, 온도 등 열악한 해양환경에서 무선인식(RFID)기술의 기술적 환경적 문제점 유무를 분석하였으며, 2톤 미만 소형선박 소유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하여 유관기관과의 관련정보 공유를 통한 연계방안으로 무선인식(RFID)기술을 적용한 효율적인 선박안전관리체계 구축방안을 강구하여 선박등록 및 검사업무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wareness about Convergent Patient Safety Culture of Health Professional Working in Tertiary Hospital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Choi, Seon-Wook;Jeon, Min-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
    • /
    • pp.103-109
    • /
    • 2018
  •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medical workers in various occupations working in hospitals and tried to be used as useful data. As a result of evaluating department (ward), hospital, immediate supervisor/manager, communication & procedures and frequency of accident reports, the patient safety accidents considered to be the most dangerous, technicians showed high results in the department(ward), nurses showed high results in the immediate supervisor/manager area.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s recognized falls and clinical pathologists and nurses recognized before during after the test as the most dangerous patient safety accidents. To rai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executives and practitioners shoul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practitioners can prioritize patient safety, gain and manage appropriate personnel, manage cooperative systems between workers or departments.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Police Law Enforcement Authority on Crime Safety Awareness (경찰공권력에 대한 인식수준이 범죄 안전감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7-12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권력에 대한 인식수준이 범죄안전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에 있는데 범죄에 대한 인식을 범죄 두려움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경향성을 탈피하여 연구안전감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며 분석결과 경찰의 범죄대응만족도와 국민의 기초법질서준수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공권력침해수준이 낮을수록 범죄로부터의 안전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