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성 판단

Search Result 2,93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arth Anchor 설치구조의 안전성 해석

  • 최경집;안세희;고상훈;김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57-162
    • /
    • 1999
  • 본 연구는 현장의 굴착공사에 따른 토류 구조물 설치공사의 수행에 있어서 토류 벽체의 지지 구조체률 형성하는 Earth Anchor에 대한 시공의 적정성 여부 및 설계목적에의 부합 여부를 판정하여 토류 벽체의 안정성 판단 및 Earth Anchor의 설계 목적에의 부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며 실험의 기준은 SIA. Standard Edition 1977 규정에 따르며, Earth Anchor의 설계, 정착장 및 자유장의 길이를 적절히 산출하고 정착력에 대한 신뢰도, 즉 인발력을 실험하여 정착장의 소요 안전율을 추정하며 더불어 지반에 대한 비교, 판단도 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략)

  • PDF

수압 터널의 해석 및 적용 사례

  • Jang, Seung-Jin;Lee, Seong-Suk;Kim, Ju-Beom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2 no.3
    • /
    • pp.165-173
    • /
    • 1996
  • 본 기술 자료에서는 수압 터널에서 침투 수압을 고려한 터널 주위 암반의 응력 상태에 대한 수치 해석 방법, 해석 결과의 이용에 대하여 실제 수압 터널의 예를 들어 소개한다. 수압 터널의 안전성은 터널 주위 암반의 안전성에 의해 좌우되며 암반의 안전성은 Mohr-Coulomb의 파괴론을 사용하여 암반의 응력에 대한 안전율을 산정하여 판단한다. 산정된 암반의 안전율과 실제 수압 터널의 거동을 비교하여 수치 해석의 적정성을 판단하며 수압 터널의 보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광양항 제품부두 접이안 안전성에 대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검토

  • Chae, Yang-Beom;Jeong, Jae-Hun;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91-93
    • /
    • 2010
  •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정예상 가능한 선형을 대상으로 항만시스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중 선형 증가에 따른 통항 및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는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광양항 제품부두의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를 위해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검토하였다.

  • PDF

A Method For Autonomous Determination Of Corrosion State Of Gas-pipeline Using RPM-based SOM (관계적시점지도로 구성된 SOM을 이용한 가스배관 부식상태의 자율적 판단 방법)

  • Sohn, Choong-Yeon;Yeo, Ji-Hye;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37-140
    • /
    • 2011
  • 시설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획일적인 자동 수행하는 안전관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달리 자율수행은 수집 된 상황 정보나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예측하고 사고 위험성을 경보하여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설물 중에서 가스배관의 부식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 신경망의 대표적 비지도학습인 자기조직화지도를 적용한다. SOM의 적용에서는 주변효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관계적관점지도로 맵을 구성한다. 학습 할 데이터는 가스배관의 방식전위이다. 배관의 부식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집 된 데이터인 방식전위에는 부식에 대한 위험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학습 후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각 상태 군집의 중심뉴런과 맵핑된 뉴런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배관의 부식상태를 결정한다. 제안 된 방법으로 판단 된 결과를 기존에 사람이 판단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한다. 이를 통해 배관의 부식상태를 자율적이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지능화 된 가스배관 관리로 활용한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 for Evaluating Safety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지방부 신호교차로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

  • Kim, Eung-Cheol;Lee, Dong-Min;Kim, Do-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4
    • /
    • pp.53-63
    • /
    • 2008
  • Even though accident frequencies in roadway segments have been decreasing since 2000,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vehicle crashes at intersections. Due to this increase, safety problems at intersection recently started to be regarded as significant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ad conditions, traffic operational conditions, and other influencing condition on intersection safety. Then a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to evaluate the safety at intersecti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vehicle crashes. In this research, cri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vehicle crashes at rural four-legs signalized intersection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Poisson regression was the best fit method to developing a accident frequency modeling using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exclusive left turn lane, crosswalk, posted speed, lighting, angle, and ADT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intersection safety.

  • PDF

Safety Activities on The Software Life-cycle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동안의 안전성 활동)

  • 성경배;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432-437
    • /
    • 1998
  • 컴퓨터 시스템들이 인간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어지면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가 가지는 특성이 다르므로 안전성 활동들도 그 활동 관점이나 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평가의 방법론,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한 결함분석 기법들에 대한 고찰을 본 연구의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동안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최선의 활동의 방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Small Scale Reservoir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Lee, Joo-Heon;Yang, Seung-Man;Kim, Seong-Jo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77-382
    • /
    • 2010
  • 국내에는 약 14,000개의 중 소규모의 저수지들이 있다. 최근에 이상기후로 인한 많은 강우가 발생하여 저수지들의 월류나 파이핑으로 인한 붕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월류로 인한 댐 붕괴 발생 시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본포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설계홍수량을 시급히 파악하여 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판단하고 설계홍수량이 작은 저수지의 경우 별도로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저수지의 안전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댐 붕괴 모의의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 되어 저수지의 안전여부를 보다 쉽고 빠르게 판단 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이 시급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쉽고 빠르게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할 수 있는 간편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방법은 HEC-HMS을 이용한 댐 붕괴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편법을 통하여 홍수량의 비교 검토 및 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를 하였다. HEC-HMS의 첨두홍수량은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가능최대홍수량(PMF)은 실제호우전이법으로 산정한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이용하였다. 간편법의 첨두홍수량은 합리식과 통합형 강우강도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가능최대홍수량(PMF)은 Creager공식을 이용하여 산1)정하였다. 댐 붕괴의 경우 HEC-HMS에서는 댐 붕괴 모듈을 실행하여 모의를 하였고, 간편법의 댐 붕괴는 여수로의 한계 유출을 파악할 수 있는 위어공식을 이용하여 댐 붕괴 모의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정된 첨두홍수량과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작성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표에 기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HEC-HMS로 산정한 빈도별 첨두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과 간편법으로 구한 빈도별 첨두 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의 차이는 약 편차가 50%정도로 간편법으로 구한 첨두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이 더 크게 산정되었다. 편차의 발생 이유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편법의 경우 안전율을 고려한 경험공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간편법을 통한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다른 대상지역의 소규모저수지에도 적용하여 보고 수문학적 평가방법이 올바르게 적용 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