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성평가

Search Result 8,044,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the System Design of Chemical Process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정량적 위험성평가기법을 이용한 화학공정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Byun, Yoon Su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8 no.6
    • /
    • pp.32-39
    • /
    • 2014
  •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so that handing large quantities of hazardous materials in chemical plant is considered basic information in chemical process design.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ion system may be reduced when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emphasized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chemical process.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reliability of the safety.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by selecting the furnace process,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hemical plant in order to suggest a way to ensure the safety and productivity of chemical process, based on the quantitative dat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have been used directed graph analysis methodology.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and the produc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optimum system design requirement to improve the safet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furnace is two-out-of-three logic for TT and PT.

HAZOP-Based Safety Analysis of Operating System for Safety-Grad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HAZOP을 이용한 안전등급 제어기기 운영체제의 안전성분석)

  • 이영준;권기춘;이장수;김장열;차경호;천세우;손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55-657
    • /
    • 2004
  • 본 논문은 안전등급 제어 기 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에서 동작하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안전성을 요구사항 단계에서 평가할 수 있는 검토항목을 개발하고 HAZOP(Hazard and Operability) 을 이용하여 현재 개발중인 PLC 운영체제에 적용한 경험 을 기술한다. HAZOP은 화학공장과 같은 산업에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했던 방법론이다. 원자력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갖추어야 할 안전성 요건은 NUREG-0800의 BTP-14(Branch Technical Position)의 소프트웨어 기능특성 및 공정특성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특성을 정확도, 신뢰성, 타이밍/사이징, 기능성, 강인성, 보안성 항목으로 나누고 세부적인 검토리스트를 만들어 HAZOP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Suggestion of Evaluation Elements Based on ODD for Automated Vehicles Safety Verification : Case of K-City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검증을 위한 ODD 기반 평가요소 제시 : K-City를 중심으로)

  • Kim, Inyoung;Ko, Hangeom;Yun, Jae-Woong;Lee, Yoseph;Yun, Il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5
    • /
    • pp.197-217
    • /
    • 2022
  • As automated vehicle(AV) accidents continue to occur, the importance of safety verification to en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automated driving system(ADS)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encure safety and reliability, it is necessary to define an operational design domain(ODD) of the ADS and verify the safety of the ADS while evaluating its ability to respond in situations outside of the ODD. To this, international associations such as SAE, BSI, NHTSA, ISO, etc. stipulate ODD standards.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ODD, so automated vehicles's ODD expression method and safety verification and evaluation are not proper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overseas ODD standards and selected suitable ODD for safety verification and evaluation, and presented evaluation elements for ADS safety verification and evaluation. In particular, evaluation element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evaluation environment of the automated driving experimental city (K-City)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DS technology.

기계안전의 위험성평가와 안전대책

  • 김태구;김건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6-51
    • /
    • 2000
  • 세베소지침이 제정된 후 1989년 유럽통합규격(European standard)이 만들어지고 기계지침(The machinery directive)도 완성되었다 이 기계지침은 1993년까지 수정, 보완되어 이중 기계류의 안전성(Safety of machinery)을 초안으로 하는 기계안전의 국제규격제정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ISO(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1991년 기술위원회 ISO/TC(Technical Committee)가 설치하고 기계안전에 관한 유럽통합규격인 EN292(현재는 EN292-1)를 ISO12100(현재는 ISO/CD12100-1)으로,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에서는 EN1050을 ISO14121로, 제어시스템의 안전관련부분에서는 EN954를 ISO13849로 국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중략)

  • PDF

가연성물질의 폭발 안전 특성치 예측

  • 하동명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 /
    • v.1 no.1
    • /
    • pp.40-48
    • /
    • 2001
  • 화학 공정 설계의 요지 가운데 하나는 공정모사 프로그램이다. 최근에는 공정모사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해 화재·폭발 특성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공장을 건설하기 전에 안전성평가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전성평가에 관한 관심은 더 정확한 자료뿐만 아니라 더 많은 성분에 대한 자료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공정에서 가연성물질을 취급에 있어 밸브의 조작실수, 배관접합부파손 등으로 인해 주위에 공기와 혼합되어 착화원에 의해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경우도 있다. 산업현장에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정의 안전과 최적화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 작업 조건 하에서 취급물질의 연소 특성치 파악이 필요하다.(중략)

  • PDF

암호제품 평가체계 분석

  • 이성재;김영백;홍시환;김승주
    • Review of KIISC
    • /
    • v.12 no.3
    • /
    • pp.67-76
    • /
    • 2002
  • 인터넷의 발달로 사회의 기반구조가 종이사회에서 사이버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정보보호제품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보호제품의 안전한 선택 및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선택기준은 신뢰 기관의 안전성 평가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는 현재 세계적으로 공통 평가를 위한 체계를 준비중에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CC(Common Criteria)기반의 정보보호제품 평가이다. 그러나 CC기반의 평가기준에서는 정보보호분야의 핵심기술인 암호알고리즘에 대한 평가는 수행하지 않고 각 국이 독자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한 암호모듈에 대한 평가 또한 독자적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암호모듈에 대한 안전성 평가로 가장 널리 참조되는 것은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가 수행하는 CMVP(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이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되고 있는 정보보호제품에 탑재된 암호모듈의 평가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정리 하고자 한다.

Allergenicity assessment of novel proteins expressed i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알레르기성 평가와 이해)

  • Lee, Sang-Gu;Oh, Seon-Woo;Park, Soo-Yun;Park, Hyoun-Min;Kim, Eun-Ha;Jin, So-Ra;Ryu, Tae-H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48 no.4
    • /
    • pp.201-206
    • /
    • 2021
  • To ensure the safety of developing or import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Korea has enacted the "LMO Act." Accordingly, the safety of using GMOs as food or feed is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substantial equivalence" proposed by OECD. The allergenicity of GMOs is assessed as a part of their safety evaluation. The methods of allergenicity assessment have been discussed by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OECD, FAO, and WHO. The main methods used for the allergenicity assessment of proteins newly expressed in GMOs include assessment of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these proteins, evaluation of their amino acid homology with existing allergenic proteins, and serum screening. In this study, we describe guidelines and related studies for the allergenicity assessment of GM crops.

IWRAP을 이용한 울산항 해역 위험성 평가 연구

  • Kim, Dae-Won;Park, Jin-Su;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8-220
    • /
    • 2010
  • 우리나라 연안 해역은 빈번한 선박조우로 인하여 해양사고 발생 잠재 위험이 높은 해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해상교통의 정량적인 평가의 미흡으로 맞춤형 안전대책이 제대로 수립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 안전성 평가모델 중 하나인 IWRAP(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와 함께, 울산항을 대상으로 한 평가 사례 소개, 기존 유사한 연구와의 비교를 하고자 한다.

  • PDF

On the Improvement of the Test and Evaluation Process in the Weapon Systems Development with Systems Safety Considered (무기체계 개발에서 시스템 안전성을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스의 개선에 관한 연구)

  • Sim, Sang Hyu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271-284
    • /
    • 2013
  •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최첨단 기술로 인한 무기체계 개발 속도 증가와 획득환경의 다변화와 더불어 이에 대한 위험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방부는 무기체계의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시험평가를 지속 적용토록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의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체계 개발의 핵심 활동에 해당하는 체계개발 단계는 양산에 들어가기 전의 최종 활동으로서 제대로 수행되어야만 초기에 의도한 무기체계 개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안전성 요소를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험평가 기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과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무기체계 개발 후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부유체식 Container Yard 접안선박의 계류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eung-Yeon;Park, Seong-Hyeon;Kim, Cheol-Seung;Lee, Sa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7-49
    • /
    • 2013
  • 항만 확장 시 기존의 매립 방식은 건설비용 및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부유체식 구조물을 이용한 해상 부두의 활용이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계류안전성평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부유체식 Container Yard에 적용하기 위한 자연환경, 선박 및 부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토대로 향후 부유체식 Container Yard에 접안한 선박의 환경외력 및 계류삭의 장력 평가, 방충재와 계선주에 작용하는 반력 및 견인력 평가, 부두의 운동에 따른 안전성을 파악하고, 해상 부두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안전한 부두의 설계 기준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