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기능분석

Search Result 1,4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위험도 정보 활용을 위한 화재사건 분석 방법론 개선 연구 현황

  • 이윤환;양준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0-87
    • /
    • 2003
  •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건은 원자로 정지를 유발함과 동시에 안전정지 또는 사고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손상시킬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에서 화재사고의 중요성은 실제 경험뿐만 아니라 국내외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화재사건 분석을 통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화재사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각 발전소에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보다 강화된 화재방호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준해양사고 데이터분석을 통한 VTS중심의 해양안전관리체제

  • Hong, Seok-In;Gang, Gwon-Hong;Lee, Yong-Eun;Kim, Jin-Hui;Park, J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85-387
    • /
    • 2013
  • 기존의 해양사고 데이터에 기반한 해양안전관리체제에서 준해양사고 중심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보다 선제적인 해양사고 예방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고찰하는 한편, 인천VTS의 사례로 준해양사고 데이터 기반의 해양안전관리체제를 살펴보고, 그 중심에서 VTS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연구함

  • PDF

Methodology of Fire Probabilistic Safety Analysis in Nuclear Power Plants (원전 화재 확률론적 안전성분석 방법론)

  • Bae, Young-Bum;Keum, 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27-230
    • /
    • 2011
  • 원전 화재 안전정지 기능 확보를 위해 내화성능이 있는 방화벽을 설치, 관련 기기 이설 혹은 보호체 시공을 통하여 해결해 왔으며, 부분적으로 성능기반적인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충분히 화재격리 할 수 있음을 입증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으로 적용되었던 성능기반적인 분석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화재 확률론적 안전성분석방법론을 소개하고 국내외 적용 현황 및 향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The Effect of Three-Dimensional and Smart Education (건설안전교육 실태분석과 체험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Jang, Ung-Bur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7-148
    • /
    • 2023
  • 최근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현장 사용 기계, 기구 등의 작업시설 기계화, 안전장치, 시설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의 재해율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형태 및 원인, 법정안전보건교육의 내용과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건설 현장의 관리감독자와 근로자 대상으로 건설안전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주요 개선방안으로 근로자에게 기능적, 지식적 안전교육 내용이 인지될 수 있도록 현장 규모에 맞는 실질적 체험교육, 영상교육 및 VR(가상현실)등의 입체적 사례교육이 필요하고 지속적 연구와 교육자료 제작 필요 등이 제시되었다.

  • PDF

A Study on Validation Plan for A-SMGCS Control Function (A-SMGCS 통제기능 검증방안에 대한 연구)

  • Gang, Bong-Seo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86-190
    • /
    • 2015
  • 국내에서 개발중인 항공기 지상이동유도 및 통제시스템(A-SMGCS)의 핵심 기능인 경로, 감시, 안내, 통제기능 중 통제기능은 충돌상황을 예측하고 관제사에게 이를 알려주어 충돌상황을 해결하는 매우 중요한 핵심기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A-SMGCS 충돌기능에 대해 소개하고 해외 검증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개발중인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검증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항공기의 안전한 지상이동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제기능의 실제 운용시험평가를 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성공적인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위한 제언

  • Jang, Gyeong-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29-35
    • /
    • 2016
  • 현재 국내에서는 세계 최초로 3GPP PS-LTE 규격을 준용한 전국 단위의 자가망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범사업이 정해진 기간 내에, 주어진 기능을, 요구 성능 이상으로 구축하여 확산 및 완료사업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인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될 수 있도록 예상되는 위기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해양안전 정보의 효율적 제공방안

  • Seong, Dong-Gwon;An, Jang-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6
    • /
    • pp.73-79
    • /
    • 2017
  •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피서철 해수욕장 안전사고 및 비선박 사고의 감소를 위해 본고에서는 연안해역정밀조사 자료를 활용한 해양안전지도의 제작 및 체감형서비스를 구축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해양안전에 관련한 각종 자료를 수집, 현장조사, GPS측량, 전문가 및 현지주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취득하였다. 서비스에 이용될 기본 배경지도로는 5m급 육상 지형기복도와 국립해양조사원의 수심자료를 사용한 해저지형기복도를 융합하여 제작, 이용하였다. 각종 해양안전관련 정보들은 해양영토(구역), 어촌양식, 항로, 각종사고이력, 시설, 위험요소 등 해양안전과 관련한 총 26종의 다양한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수집, 구축된 기본 해양공간정보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달성을 고려하여 국민이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형태의 사이트(해수욕장 등)별 도면 형태의 해양안전지도를 제작하고, 개방형 대국민 해양공간정보 웹서비스인 '개방해(海)', 해양전문 공공기관용 웹서비스인 '공유해(海)' 대국민 해야안전정보 앱서비스 안전해(海)'와 시스템들을 구축하여 서비스 방안을 구축하였다. 각 서비스에는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안전 및 위험정보 콘텐츠들을 수록하였고, 목적에 따라 이용가능한 분석 기능들을 제공하였으며, 위험구역에 노출될 경우 사용자간 위험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되고 조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현재 각종 기관에서 해양공간정보의 이용을 확대하고자 연계신청 증가와 더불어, 대국민 서비스 이용자수가 증가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안전사고, 안전대응, 안전관리 등의 분야에서 대책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High School in Korea (국내 고등학교 재난안전교육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Kwon,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1-112
    • /
    • 2023
  • 세월호 참사 후, 전 사회적으로 안전이 강조되면서 정부 부처로서 국민안전처, 그후 행정안전부로 명칭이 변경되고 관련 법규가 제정 및 정비, 시행되면서 교육측면에서도 전보다 강력한 재난안전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정부는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6년 5월 「국민안전교육 진흥기본법」을 제정하여 대국민 안전교육 관련 제도, 정책 수립 및 집행 기능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러나 국민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 국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2015년 이후 재난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은 국내 안전교육이 일회성이나 단기간의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지양하고, 생활 속에서 계획적으로 실시되어 지식적 측면·행동적 측면·태도적 측면의 유기적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요구하고 있고, 이를 통해 안전교육 효과가 증진됨을 알려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교육의 목표를 재확인하고 2023년 초까지 진행되었던 안전교육의 실태를 2014년 이후 안전교육을 가장 체계적·지속적으로 받아온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재난 안전 인식 설문을 통한 통계 분석의 과정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주기별로 지속적·체계적·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그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효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WH형 원전 노심운전분석 지원 시스템 개발

  • 신호철;김용배;이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29-3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WH형 원전에서 노심운전분석 코드를 각 원전의 인접한 전산소의 주전산기에 설치하고, 단말기를 이용한 on-line 작업으로 수행하는 현행 노심분석 업무를 개선하기 위하여 PC용 INCORE 코드를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 윈도우 통합환경에서 INCORE 코드 운영에 필요한 모든 기능과 노내 출력분포 분석을 위한 발전소 운영절차 기능을 통합한 WINCORE(Windows program for INCORE)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측정 현장에서 직접적인 자료처리, 분석계산 및 기술지침서 안전제한치 만족여부 결정을 통하여 노심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