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기능분석

Search Result 1,42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Analysis of Large-Scale Domestic Data Centers (국내 대규모 데이터센터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분석 )

  • Kim, Dong-Min;Go, Eun-Seong;Park, Hyeong-Gyoon;Gwak,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47-34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실제 규모 데이터센터의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대상 공간별 화재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DS와 Pathfinder는 full coupling 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semi coupling의 경우 가시화에는 도움이 되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재실자의 피난 상황 시 경로에 대한 안전성과 화재 위험 노출 정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 semi coupling과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 분석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전산실의 경우 서버의 기능상실 한계 온도가 32도이기 때문에 서버 기능 정지 상황에 도달하는 시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산실은 업무 및 고객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항시 기동 되어야 하는데 전산실 내 화재가 발생할 경우 1~2분 이내 서버 기능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서버가 안전하게 계속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력 계측 및 제어 케이블 열화, 서버 장치의 건전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초기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여 진압하여야 한다. 피난 시뮬레이션의 경우 가시도를 상실하게 되는 시간이 약 195초(5m 미만) 인근으로 인원이 해당 층을 완전히 벗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약 125.6초였던 것을 보면 대피하기에 충분한 허용 피난시간(ASET)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and Function of Food Safetey Application (식품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 분석 연구)

  • Son, Jeong-Eun;Jung, Eui-Tay;Paik, Ji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4
    • /
    • pp.91-101
    • /
    • 2019
  • With about 600 officially licensed food additives now living in modern people's lives, consumers' interest in the additives, food safety and harmfulness in food products is also increasing, and mobile services for consumers who want to properly recognize and purchase the safety of food they want to consume are being implemented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six major applications that provide food safety information were analyzed for functions and designs, evaluated by design experts and evaluated for usability to actual users. Through the function and design analysis results, three similar domestic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 design experts were evaluated for UI and usability, and two of the most similar applications were selected for usability testing.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two applications were similar in usability, but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trictest available food safety application. After this study, we propose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food safety applications and existing designs and functions to help improve the convenience of food application developers and users, and thus to ensure the safe and correct eating habits of the people.

Optimization and Applicability Verification of Simultaneou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Analysis in Health Functional Foods using HPLC-UVD (HPLC-UVD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에서 클로로겐산과 카페인 동시분석법 최적화 및 적용성 검증)

  • Hee-Sun Jeong;Se-Yun Lee;Kyu-Heon Kim;Mi-Young Lee;Jung-Ho Choi;Jeong-Sun Ahn;Jae-Myoung Oh;Kwang-Il Kwon;Hye-Young Lee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9 no.2
    • /
    • pp.61-71
    • /
    • 2024
  • In this study, we analyzed chlorogenic acid indicator components in preparation for the additional listing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and optimized caffeine for simultaneous analysis. We extracted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using 30% methanol, phosphoric acid solution, and acetonitrile-containing phosphoric acid and analyzed them at 330 and 280 nm, respectively, using liquid chromatography. Our analysis validation results yielded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revealing a significance level of at least 0.999 within the linear quantitative range. The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limits were 0.5 and 0.2 ㎍/mL and 1.4, and 0.4 ㎍/mL, respectively. We confirmed that the precision and accuracy results were suitable using the AOAC validation guidelines. Finally, we developed a simultaneou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analysis approach.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our analysis approach could simultaneously quantify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by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each formulation through prototypes and distribution produc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andardized analysis would expectably increase chlorogenic acidcontaining health functional food quality control reliability.

Improvement of Analysis Methods for Fatty Acids in Infant Formula by Gas Chromatography Flame-Ionization Detector (GC-FID를 이용한 조제유류 중 지방산 분석법 개선 연구)

  • Hwang, Keum Hee;Choi, Won Hee;Hu, Soo Jung;Lee, Hye young;Hwang, Kyung Mi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6 no.1
    • /
    • pp.34-4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analysis methods of determining the contents of fatty acids in infant formulas and follow-up formulas. A gas chromatography (GC) method was performed on a GC system coupled to flame ionization detector, with a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SP2560, 100 m×0.25 mm, 0.20 ㎛). The method was validated using 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 NIST 1849a). Performance parameters for method validation such as specificity, linearit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accuracy and precision were examined. The linearity of standard solu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0.999 in the range of 0.1-5 mg/mL. The LOD and LOQ were 0.01-0.06 mg/mL and 0.03-0.2 mg/mL, respectively. The recovery using standard reference material was confirmed and the precision was found to be between 0.8% and 2.9%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ptimized methods were applied in sample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ll the tested products had acceptable contents of fatty acids compared with component specification for nutrition label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efficient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nutrients in infant formula and follow-up formula.

The Reasonable SIL Determination by LOPA for HIPS Design of Flare Stack (LOPA분석에 의한 Flare Stack용 HIPS의 합리적 SIL결정)

  • Park, Jinhyung;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1-221
    • /
    • 2023
  • 1969년에 발간된 API521 1st edition에서는 Flare Load 저감용으로 적용되는 HIPS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는 모두 Pressure Safety Valve의 고장확률보다 낮은 SIL 3 (Safety Integrity Level)등급을 적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Flare Stack 저감용 HIPS는 주로 압축기 출력압력상승, Reboiler Steam 과다주입, 전력공급중단냉각펌프고장 등에 의한 Flare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SIF (Safety Instrumented Function)로 구성된다. 하지만 2007년도 발간된 API521 5th edition에서는 LOPA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분석을 통해 Target SIL을 도출하는 것으로 요구사항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Flare Load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나리오 중 대표적인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과 LOPA분석을 실시해서 Target SIL이 어떻게 도출되는지를 연구했다. Flare Stack에서 Flare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시나리오들에 대해 LOPA분석을 실시한 결과 압축기 출력압력상승은 SIL 2, Reboiler Steam 과다주입은 SIL 3, 전력공급중단은 SIL 0, 냉각펌프고장은 SIL 0로 모두가 SIL 3 가 나오지는 않았다. SIF 설계 시 Target SIL을 만족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전 시 SIL 등급이 계속 유지되게 하지 위해 인적오류, 시스템적 고장, 하드웨어고장 등에 의해 SIF 기능불능화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안전관리시스템 (FSMS)를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 PDF

Evaluation and Determination of System Design Alternatives Utilizing a SysML-Based M&S Method for Achieving Functional Safety (SysML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기능안전 설계 대안들의 평가 및 결정 방법)

  • Jung, Ho-Jeon;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574-582
    • /
    • 2018
  • In systems such as railways, automobiles, and airplanes, system malfunctions may lead to accidents, which often cause serious personal injury and economic loss. In previous studies, failur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and safety measures derived using the component level information to reduce damage when a failure occurs. However, in functional safety concept, a focus is placed on lower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failures by performing risks analysis, setting up safety goals, and designing safety fun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determine the required safety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failure frequency to the acceptable level. To achieve this, we first studied a failure modeling method using SysML. It was then presented how several alternatives can be assessed to determine the desired safety function by simulating the generated SysML failure models and calculating the ability to reduce the failure frequency. A case study of a railway signaling system was done,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oach. We assessed whether the safety objectives were met for the alternative design of the railway signaling system through M & S. The results can be useful in that it can be applied from the early design phase and allow to choose the appropriate safety function that satisfies safety objectives among various design alternatives.

Hydraulic Stable Analysis of Passive River (자연형 소하천의 수리적 안정성 해석)

  • Rhee Kyoung Hoon;Yim Sang Ju;Oh Chang Ju;Kim Tae 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44-1248
    • /
    • 2005
  • 최근 몇 년 사이에 자연친화적인 하천복원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연형 하천공법의 적용 초기단계를 걷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생태계 복원과 더불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자연형 하천 공법의 개발을 위해 수리적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수리적 및 치수 방재적 측면에서 자연형 하천공법의 안전성에 대한 표준화되고 일관된 분석체계가 아직 구성되지 못하여 자연형 하천정비 공법의 실무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소하천 유역은 지역적 특성이 두드러지고 계절에 따른 유량변화가 심하여 하천의 수리적 안전에 대한 분석체계가 적절하게 갖추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공법에 따른 소하천의 수리적 안전성과 하천정비 전$\cdot$후의 치수기능의 변화를 Hec-Ras(river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적용대상 유역의 수리$\cdot$수문학적. 기하학적, 기상학적 자료들 기본으로 대상유역에 모의해 보았으며 그 결과로부터 자연형 하천정비 전$\cdot$후의 수리적 안전성을 해석하고 하천의 치수기능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Hec-Ras를 이용한 연구의 결과 값들은 국내에서의 자연형 하천공법 적용에 따른 하천의 수리적 안전성을 판단하는 표준화된 분석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자연형 하천정비의 기준과 적용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afety Evaluation on Real Time Operating Systems for Safety-Critical Systems (안전필수(Safety-Critical) 시스템의 실시간 운영체제에 대한 안전성 평가)

  • Kang, Young-Doo;Chong, Kil-T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0
    • /
    • pp.3885-3892
    • /
    • 2010
  • Safety-Critical systems, such as Plant Protection Systems in nuclear power plant, plays a key role that the facilities can be operated without undue risk to the health and safety of public and environment, and those systems shall be designed, fabricated, installed, and tested to quality standards commensurate with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s to be performed. Computer-based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to perform the safety-critical function have Real Time Operating Systems to control and monitoring the sub-system and executing the application software. The safety-critical Real Time Operating Systems shall be designed, analyzed, tested and evaluated to have capability to maintain a high integrity and quality. However, local nuclear power plants have applied the real time operating systems on safety critical systems through 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 method, and this is the reason of lack of detailed methodology on assessing the safety of real time operating systems, expecially to the new developed one.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ology and experiences of safety evaluation on safety-critical Real Time Operating Systems based upon design requirements. This paper may useful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afety-critical Real Time Operating Systems in other industry to ensure the safety of public and environment.

HAZOP-Based Safety Analysis of Operating System for Safety-Grad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HAZOP을 이용한 안전등급 제어기기 운영체제의 안전성분석)

  • 이영준;권기춘;이장수;김장열;차경호;천세우;손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55-657
    • /
    • 2004
  • 본 논문은 안전등급 제어 기 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에서 동작하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안전성을 요구사항 단계에서 평가할 수 있는 검토항목을 개발하고 HAZOP(Hazard and Operability) 을 이용하여 현재 개발중인 PLC 운영체제에 적용한 경험 을 기술한다. HAZOP은 화학공장과 같은 산업에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했던 방법론이다. 원자력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갖추어야 할 안전성 요건은 NUREG-0800의 BTP-14(Branch Technical Position)의 소프트웨어 기능특성 및 공정특성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특성을 정확도, 신뢰성, 타이밍/사이징, 기능성, 강인성, 보안성 항목으로 나누고 세부적인 검토리스트를 만들어 HAZOP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Road Safety Service based on 5G Smart City Convergence Service Platform (5G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플랫폼 기반 도로 안전 서비스 지원 기능 개발)

  • Ko, Eun-Jin;Han, Mi-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669-670
    • /
    • 2020
  • 기존 유선망 중심의 스마트시티 플랫폼과 달리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정보 수집 장치들과 연동할 수 있는 5G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플랫폼은 도시내 설치된 다양한 무선 정보 수집 장치들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각종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이다. 도시 정보 수집 장치들 중에는 5G 지능형 CCTV 가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벤트 수집/필터링/대응 기능을 통하여 도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도시내 도로 안전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능 모듈 구성에 대해 기술하고 해당 모듈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도로 안전 서비스 실증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