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기능분석

Search Result 1,42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On the Use of Architectural Models Reflecting Functional Safety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of Rail Systems Safety Architecture (철도시스템 안전관리 체계개발에서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아키텍처 모델의 활용)

  • Jeong, Ho-Jeon;Lee,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615-623
    • /
    • 2013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전장품 및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기능안전이 안전분야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C 61508, ISO 26262, IEC 61511 등 기능안전관련 표준들이 제정되어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근 기존의 안전관리체계와 더불어 최근에 안전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 PD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Satellite Image Situation Board Linkage and Display System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요구사항 조사 및 분석)

  • Sang Min Lee;Eun Jeong Kim;Mi Ra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7-4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요구사항정의서와 시스템규격서를 도출하였다. 먼저, 위성영상 상황판 연계·표출시스템의 요구사항 조사를 위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수요) 조사를 수행하였다. 상황실 실무자별 요구사항을 취합한 설문 결과와 연구 1차년에 수행했던 상황실 근무자 인터뷰 결과, RFP, 연구단 내부협의 결과를 검토하여 정보제공 측면 및 위성영상 활용 측면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 요구사항을 정의한 결과, 시스템 기능은 54개의 기능과 9개의 비기능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시스템 구성요소별 요구기능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요구사항정의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 요구기능 분류는 사용자기능/관리자기능/사용자서비스/사용자인터페이스/시스템기능/시스템서비스 등으로 상세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단 협의를 통해 요구사항정의서를 기반의 시스템규격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규격서는 일반규격, 각 시스템별 성능규격, 인터페이스규격, 기능규격으로 구분하여 세부 정의하였다. 본 연구내용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설계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며, 향후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난안전 상황관리 대비/대응 체계 마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eapon system softwa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anual based on functional safety standards (기능 안전 표준 기반의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Kim, Taehyoun;Bak, Daun;Paek, Ockhyun
    •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Society
    • /
    • v.29 no.1
    • /
    • pp.7-12
    • /
    • 2020
  • As interest in functional safety has recently increased, application of functional safety standards has been requir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 functional safety standard is a document that defines functional safety-related activities required to prevent system malfunctions. All activities defined in this standard are requir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sults calculated through the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system. In the field of domestic weapon systems, there is a manual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weapon system software issued by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 This manual requires static and dynamic analysis of software for functional safety related activities. However, the manual does not specifically address the classification activity through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as required for the preceding activ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blems of the manual based on the representative functional safety standards,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An Improved Method of FTA and Associated Risk Analysis Reflecting Automotive Functional Safety Standard (자동차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하는 개선된 FTA 및 위험원 분석 기법)

  • Jung, Ho-Jeon;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9
    • /
    • pp.9-17
    • /
    • 2017
  • Ensuring the safety of automobiles and trains during system operation is regarded as indispensable due to the progress in unmanned operation. The automotive functional safety standard, ISO 26262, has been proposed to ensure the safe design of vehicles. This standard describes in detail the required risk analysis and evaluation procedure and safety measures, while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system design information. Therefore,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isk analysis procedure, wherein the design information is mostly extracted from physical components of similar systems already in operation, the information traced back to obtain constituent functions, and then methods of identifying risk sources are studied. This method allows the sources of risk to be identified quickly and easily, however if the design requirements are changed or systems are newly developed, others may be introduced which are not accounted for, thereby yielding mismatched design information.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top-down analysis in order to utilize the system design information appropriately. Specifically, a conceptual system is designed to obtain the functions, which are then analyzed. Then, a function-based fault tree analysis is conducted, followed by a risk source analysis. In this paper, a case study of automotive safety is presented, revealing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nalyze the risk sources with reduced possibility of omission by systematically reflecting the system design information.

A Survey on Safety Analysis Techniques for Safety-Critical Systems (안전 필수 시스템을 위한 안전성 분석 기법)

  • Kim, Eui-Sub;Yoon, Sanghyun;Yoo, Junbeom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2 no.1
    • /
    • pp.11-18
    • /
    • 2012
  • As scale of software has been expanded and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detect hazards which induce functional failure of software. Functional failure of safety-critical system (nuclear power plant, air traffic control systems, railway operating system) could result in a disaster (personal injury,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afety analysis for preventing functional failure and increasing safety of the software. However, there are some reasons (time and effort problem, low knowledge of various safety analysis techniques, selecting conventional technique in company, organization) which disturb selecting an apposite one. This paper presents some traditional safety analysis techniques, recently presented techniques and combined models. We expect that it helps stakeholders to choice adequate one for target system.

  • PDF

Development of Analysis Program for Geographical Separation of Radio Navigation Aids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지리적분리간격 분석 프로그램 개발)

  • Choi, Jae-Myeo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1 no.1
    • /
    • pp.30-35
    • /
    • 2017
  • Radio navigation aids are very important element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afe navigation using radio waves. Recently, the number of radio equipment using radio waves is increasing, and the air frequency interference by adjacent channels is very high. In addition, the use of irregular jamming that threatening radio navigation aids and satellite navigation system frequency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it is urgent to ensure the safety of air wav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the domestic navigation system. And we were analyzed the geographical separation standard for implementation of analysis program. Also, we implemented a program for the geographical separation distance analysis that applying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KALIMER MMIS 설계를 위한 발전소기능분석 및 기능할당 전략

  • 이현철;김장열;김창회;정철환;이정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15-220
    • /
    • 1998
  • 기능분석은 발전소의 안전성에 관련된 중요한 기능들을 계층적으로 규명하고 기능의 목적, 관련되는 발전소변수, 기능간의 연관관계 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며 과는 기능할당 운전원과 자동화시스템간의 역할부담을 결정하기 위해 활용된다. 기존의 발전소에 비하여 자동화시스템의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되는 KALIMER MMIS는 운전원과 자동화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ALIMER MMIS 설계시 수행하는 발전소기능분석 및 기능할당에 대한 수행전학을 제시하고, 기능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인 FAI(Function Analysis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 PDF

자동차 기능 안전, 자율주행자동차 그리고 LIDAR

  • Kim, Geon-Jeong;Eom, Jeong-Suk;Park, Yong-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5
    • /
    • pp.27-35
    • /
    • 2017
  • 자율 주행 자동차에 있어서 기능 안전을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고려 사항과 필수 센서인 모바일 라이다 센서에 대하여 분석한다. ISO 26262는 인간이 운전할 경우 기능적인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신뢰를 제공하는 기능 안전 표준으로서, 자율 주행 자동차가 운전자의 개입없이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고 인지한 후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하는 경우 정확하게 수행되었다는 것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주변 환경 센싱, 처리 및 판단, 동작 수행의 과정을 거쳐서 자율 주행을 수행한다. 이 중에서 주변 환경 센싱과 동작 수행의 경우 기존의 자동차 기능 안전을 개선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기능 안전의 상관성과 자율 주행 자동차가 주변 환경 센싱에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라이다가 사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자율운항선박 정성적 위험도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나성;이동준;백재하;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85-387
    • /
    • 2022
  • 근래에 들어,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비롯한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선박/해양 산업에서 운용되는 시스템들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첨단 시스템 운용의 증가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위험에 대한 불안과 함께 더욱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위험을 분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전된 위험도평가 방법론 적용의 필요성을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첨단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위험도평가 절차 및 방법론과 정성적 위험도평가(Qualitative Risk Assessment)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정성적 위험도평가를 위하여 자율운항 시스템들이 탑재된 자율화 등급 3 수준의 가상 자율운항선박을 선정하고, 기존 유인선박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과 자율운항선박 운용에 필요한 기능들을 식별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의 실패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시나리오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험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운용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추가 고려되어야 할 안전조치들을 식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후 연구 수행 계획인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평가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방법론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