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규격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4초

가동중원전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 구축 방안 (An Establishment of 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 Implementing System for Operating NPPs in Korea)

  • 염동운;장희승;송태영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183-190
    • /
    • 2014
  • 국내 가동중원전은 2012년 이후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 구축을 위해 정책 수립 및 기술 개발,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전문기관 양성, 국내 원전 공급사들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프로그램 보유 추진 및 원자력 산업계의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아울러 미국 전력연구소(EPRI)의 관련 기술기준을 기반으로 일반규격품 품질검증프로그램 도입 초기에 개발된 안전성(Q) 등급 품목 품질검증 프로세스를 개선하였고, 국내 원전 고유의 원자력 품질등급 체계인 안전성영향(A) 등급 품목을 위해 안전성등급 품목과 차별화시킨 별도의 검증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노력을 통해 국내 가동중원전의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이행 체계가 구축될 경우, 원전에서 사용하는 기자재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EMI 국제 규격 기술 동향

  • 양기곤
    • 전기의세계
    • /
    • 제38권9호
    • /
    • pp.11-17
    • /
    • 1989
  • 본고에서는 국제 규격에 있어 국제기구인 CISPR와 국가규격으로는 미국, 서독, 영국, 캐나다, 일본 그리고 특수한 규격으로 MIL-STD와 TEMPEST 규격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EMI에 대한 국제규격은 초기에는 국제 무선 항행, 통신 및 서비스의 보호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여 최근 정보기기의 범람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능성에 대한 안전보장과, 본고에서는 언급되지 않으나 때로는 인체의 위해(Hazard)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또 특별한 분야로써 중요 정보의 누출 보호(TEMPEST)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 PDF

전기철도 안전관리를 위한 인적신뢰성분석기법에 관한 일 고찰 (A Study on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 for Electric Railway Safety Management)

  • 이동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영호남 합동 학술대회 및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센서 박막 기술교육
    • /
    • pp.99-100
    • /
    • 2006
  • 철도안전법의 제정 및 시행에 즈음하여 철도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적요소를 고려한 전기철도안전관리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적신뢰성분석이 필요하나 현재로서는 세계적으로도 이에 관한 규격이 정비되어 가고 있는 실정으로서 국내에서는 규격 적합성 인증 제도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못하고 따라서 규격 정비의 진행에 따라 위험성정보교환에 관련된 대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안전성의 확률론적 정량적평가가 보다 중요시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시스템 위험도분석을 통한 안전공학적 절차를 준수함으로써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된 위험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함으로써 철도시스템 안전관리체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적신뢰성분석기법과 위험도정보교환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제시한다.

  • PDF

DMS 구축 방향(IEC 60300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pendability Management Systems)

  • 김종걸;김진국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2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309-319
    • /
    • 2002
  • IEC60300의 국제 규격은 시간종속성 경영 시스템의 규격으로써 제 1부는 시간종속성 경영 프로그램, 제 2부는 시간종속성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업무, 제 3부는 응용지침 표준의 13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규격은 제품의 초기 단계서부터 폐기단계까지 수명주기 전 단계에 걸쳐 운영의 효율성, 시간, 비용의 제약 하에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업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영모델인 ISO 9000시스템과 안전 설계를 위한 신뢰성 분야의 IEC 60300시스템의 통합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의 동향 (The Tendency of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IEC 60601-2-54: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 노영훈;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31-336
    • /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이 IEC 60601-1 [3판] 따라 개정되었고 IEC-60601-1의 개별규격인 IEC 60601-2-54 또한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으로 고시화 될 예정이다. 따라서 개별 규격의 도입에 앞서 주요 요건을 소개하고자 이 기술보고서를 작성하였다. IEC 60601-2-54의 목적은 촬영 및 투시를 위한 의료용 전기기기(이하 ME 기기) 및 ME 시스템에 요구되는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 요구사항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IEC 60601-2-54는 방사선 촬영 및 투시장치의 X선 고전압장치, X선 기계장치, 방사선 방어 등에 관한 내용이다.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전자파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방사선안전에 관한 보조기준 규격이 본 규격에 적용되었다. IEC-60601-2-54가 고시화될 경우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국제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저압 기증차단기의 규격 및 성능평가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testing technique and standard for low voltage air circuit breaker)

  • 안상필;류재남;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17-718
    • /
    • 2006
  • 최근 저압 기중차단기(ACB, Air Circuit Breaker)는 고압중전기 공인시험제도 및 저압전기기기 안전인증제도와 같은 강제인중 대상에서 제외되어 해당 성능에 대한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ACB관련 규격 및 성능평가기술을 분석하고, 국제규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제규격에 준하는 성능평가기술 및 규격을 제시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내년에 제정이 논의되고 있는 ACB관련 KS 규격의 제정 방향 및 KS 심사기준에 대한 진행방향 설정과 연구되어야할 성능평가기술을 제품성능 특성별로 제시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성능평가기술 및 제안 방향이 KS규격 제정 및 활용에 중요한 근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철도 신호보안장치 안전성 규격의 발전동향

  • 김종기;이종우
    • 한국철도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30
    • /
    • 2002
  • 신호보안장치는 안전성을 기본 개념으로 탄생했으며, 열차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하여 고안된 설비이다. 안전성, 정확성, 신속성, 대량 수송, 환경친화성, 에너지 효율성 등은 다른 교통수단과 구별되는 철도의 장점이며 이의 달성에는 신호보안장치가 긴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신호보안장치는 Fail-Safe 원칙을 근간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신호보안장치가 전자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철도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전세계적인 무역자유화 및 개방화, 국제화 추세 속에서 좀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안전성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면서 철도신호보안장치의 안전성 규격이 유럽과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 한국은 2000년대 초부터 발표되기 시작했다. 이들 안전성 규격은 재래식 시스템보다는 새로 개발되고 있는 전자화 및 컴퓨터화된 신호보안장치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중략)

포장과 법률 -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12호
    • /
    • pp.112-129
    • /
    • 2010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제기준과의 조화를 통한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기구 및 용기 포장 제조 시에 사용되는 원료유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기준 신설 및 불순물로 혼입될 우려가 있는 유해 중금속에 대한 재질규격을 신설했다. 이번 개정 내용은 ${\triangle}$ 합성수지제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 ${\triangle}$ 고무제, 셀로판, 종이제 및 전분제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 ${\triangle}$ 일부 합성수지제의 시험방법 및 셀로판 등의 정의 개정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