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Proper Rate of safety Management Expenses under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건설기술진흥법상 안전관리비의 적정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

  • Na, Sa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1-182
    • /
    • 2022
  • 건설재난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기술진흥법의 안전관리비가 실제 현장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따라서 건설사고 예방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책으로 삼을 수 있는 안전관리비의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합리적인 안전 관리 비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관리비 실행계획에 따른 공사비 및 유형별로 적정 안전관리비율을 제시하였으며, 그 비율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10분의 1로 분석된다. 본 연구결과는 적정 공정등급제 개선 및 시범사업 추진에 대한 지침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ost Using the Survey of Construction Safety Experts (건설안전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한 현장중심의 안전관리비 제도 개선 연구)

  • Ko, Ja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331-34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ncerns the cost of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disabil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e Chapter is to draw up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se safety management costs. Method: A detail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20 construction safety managers for the research. This questionnaire was analyzed and implemented by the Expert Group Interview (FGI) analysis method. Resul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fety management cost system, alternatives such as preparing a standard manual, implementing regular on-site training, and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for the safety management cost were deriv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nsure autonomy in the execution of flexible costs so that they can be deployed immediately in case of emergency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necessity of the safety negligence system'. And it was analyzed as items that should be improved due to excessive demand for documenta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problems should be recogniz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st system. And it will have to come up with policy-based and institutional-improvement measures for experts.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osts (OSHMC) by Project Size and Activity Type with the Consideration of Accident Rates (공사규모 및 공종별 위험도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차등 분배 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Hoyun;Chae, Jeonghyeun;Kang, Youngcheo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4
    • /
    • pp.44-51
    • /
    • 2023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ost (OSHMC) is helpful for managing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OSHMC has been criticized for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fact that OSHMC cannot reflect features of individual constructions when counting up and executing OSHMC. This study proposes the approach to distribute OSHMC by project size and activity type with the consideration of accident rates for various activities. Using 1,046 data obtained from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CSI), this study calculated the relative risk factors for each activity. The distribution of OSHMC is proposed based on the risk factors. The results were validated by industry expert interviews. The distribu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help construction managers establish and execute OSHMC usage plan effectively.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K. (한국과 영국의 재난관리 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Yoon, Jong-Han;Park, Sung j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0-580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및 자연재해가 증가하면서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법체계 및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관리의 법과 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공학 및 기술적 연구에 비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재난관리에 대해 많은 경험을 축적해온 선진국가의 재난관리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의 재난관리체제를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영국의 재난관리 체제는 지방정부가 재난대응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중앙정부는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지원 및 조정업무를 수행하는 분산적 재난대응체제라 할 수 있다. 중앙정부에는 재해를 전담하는 조직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지방행정조직이 지역특정에 맞게 위기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한다. 지역별로는 지방정부, 기업, 시민단체로 구성된 민관협력체인 위기관리포럼을 형성하여 재난에 대처한다. 반면 한국의 재난대응체제는 중앙집권적이며 국민안전처가 재해전담조직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영국과 같은 민관협력체는 발달하지 않았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영국과 한국의 재난관리체제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법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분산되어 있는 재난관리 기본법을 하나로 통폐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권한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인력과 예산이 재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세째, 지방수준에서 재난대응 관련 기관들간 조정 및 협력을 할 수 있는 체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네째, 민간단체를 재난대응체제에 조직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단위의 방재조직이 공공부분과 효과적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필요하다. 다섯째, 재난대응단계 설정에 있어 예방에 앞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예방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진단하는 평가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dweller's Expressions of Apartment Facili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Built Year (준공연수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에 대한 주민인식 비교분석)

  • Choi, Yeol;Ha, Kyu Yang;Kim, Jong-Gy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1D
    • /
    • pp.149-155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rasp how the dwellers of apartment cognize the re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such as general control of janitor office or management of maintenance, environment, account and imposing price of management. The analysed results of recognition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dwellers judged that the janitors are incapable to control dispute among the households, it need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demand of control dispute by various curriculum. There should be more strict management of parking lot for the handicapped. Second, it needs to establish the plan to improve maintenance of the rest facility. Third, as dwellers thought the management expenses not to be made public clearly, it needs to use various way, not only by neighborhood meeting but also information system such as establishing web page or E-mail notice for better announcement of the settled matters such as management expenses. Forth, the audit result of management expenses and the measures conducted after audit should be reported widely, contract of construction work services needs to be publicized by neighborhood meeting or other information system.

중국 공기청정 현황 -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

  •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
    • Air Cleaning Technology
    • /
    • v.28 no.1
    • /
    • pp.29-40
    • /
    • 2015
  •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대기, 수질, 폐기물 등 환경오염문제가 심화, 고착화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환경규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투자유치로 제조업 육성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둠에 따라 외국인 투자 유치와 제조업 경영활동에 있어 환경 이슈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어 신규 및 사업확장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중국은 신규법인수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해외직접투자국이며, 제조업종에 대한 투자금액이 전체 투자금액의 88.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중소기업이 전체 진출기업의 약 90%로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 중소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분야별 환경목표를 강화하고 오염물질배출 업체를 퇴출시키는 등 강력한 조치를 전개하고 있으며, 중앙 정부의 환경목표 강화 기조와 더불어 해당 지역민의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짐에 따라, 각 지방정부는 환경 관련 지역 목표 달성을 위해 업체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는 진출 기업이나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의 설비투자비나 오염배출비용 부담 증가 등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환경규제를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다. 규제집행의 강도가 눈에 띄게 높아져 엄격한 기준을 적용받고 처벌수위 역시 높아졌으며, 과거 관시를 통해 원만한 해결이 가능했다면 이제는 환경규제에 대해 원칙적이고 보수적인 공무원의 태도로 인해 관시로도 해결이 어려운 경우가 다반사이다. 또한, 주민들도 환경규제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미미한 사안에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 민원제기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환경안전 기준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안전 설비추가, 친환경연료 사용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이미 진출한 기업들은 소재지 환경규제의 강화 전망 및 이로 인한 손실정도를 사전에 파악하고 다양한 옵션에서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향후 중국 진출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진출에 앞서 지역별로 차별화된 시장기회와 환경규제 강도 등 현지 실사를 통한 현장중심 리스크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이미 진출한 기업 및 진출예정 기업 모두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중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법규와 기본원칙을 반드시 준수하고 규제가 더 강화될 것 이라는 기조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