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경계영역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상 pedestal 크레인 메인 붐의 좌굴을 고려한 상세설계에 대한 연구

  • Kim, Chan-Seok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91-196
    • /
    • 2015
  • 해상 pedestal 크레인은 각종 운송물을 선박에 싣거나 내리는 해상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이다. 따라서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는 크레인 설계가 요구된다. 그의 일환으로 수행된 '해상 pedestal 크레인의 설계 개선을 위한 연구'에서는 기존 크레인의 기초 설계에 대해서 구조적 안전성올 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좌굴 안정성 향상을 위한 보강재 설계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상세설계 관점에서 미비한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EDISON-CSD프로그램을 통해 유한요소모델 해석을 활용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효율적인 해석을 위해 상세설계에 필요한 부분영역을 선택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전체영역에서의 해석 결과 값을 등가 힘, 등가 모멘트로 환산하여 경계조건으로 부여하였다. 보강재간의 교차점 형상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해 stiffener와 diaphragm의 교차점 형상(반원, 정사각형, 사다리꼴)에 따라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안전 여유의 유효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평가에 필요한 응력계산을 위해 또한 Diaphragm의 좌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설계 규격 DNV-RP-201 8장(Buckling of girders)을 분석하였고, 안전성 평가에 반영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angle 형상 stiffener의 치수 도출을 위해 최적설계를 수행하였고, 모든 설계 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 최소의 무게를 가지는 합리적인 치수를 도출하였다.

  • PDF

Efficient Real-time Lane Detection Algorithm Using V-ROI (V-ROI를 이용한 고효율 실시간 차선 인식 알고리즘)

  • Dajun, Ding;Lee, Chanho
    • Journal of IKEEE
    • /
    • v.16 no.4
    • /
    • pp.349-355
    • /
    • 2012
  • Information technology improves convenience, safety, and performance of automobiles. Recently, a lot of algorithms are studied to provide safety and environment information for driving, and lane detection algorithm is one of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ne detection algorithm that reduces the amount of calculation by reducing region of interest (ROI) after preprocessing.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area of ROI a lot by determining the candidate regions near lane boundaries as V-ROI so that the amount of calculation is reduced. In addition, the amount of calculation can be maintained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the resolutions of the input images by compressing the images since the lane detection algorithm does not require high resolu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using C++ and OpenCV library and is verified to work at 30 fps for realtime operation.

A Study on Separation Control by Local Suction in Front of a Hemisphere in Laminar Flow (층류경계층 내 반구 전방의 국부적인 흡입에 의한 표면 박리 제어)

  • Kang, Yong-Duck;An, Nam-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1
    • /
    • pp.92-100
    • /
    • 2018
  • Vortical systems are considered a main feature to sustain turbulence in a boundary layer through interaction. Such turbulent structures result in frictional drag and erosion or vibration in engineering applications. Research for controlling turbulent flow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but in order to show the effect of vortices in a turbulent boundary lay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echanism by which turbulent energy is transferred. For this purpose, it is convenient to demonstrate and capture phenomena in a laminar boundary lay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s of disturbed flow around a hemisphere on a flat plate in laminar flow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a street of hairpin vortices was generated following a wake region formed after flow separation occurred over a hemisphere. Necklace vortices surrounding the hemisphere also appeared due to a strong adverse pressure gradient that brought high momentum fluid into the wake region thereby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hairpin vortices. To mitigate the effect of these necklace vortices, local suction control was applied through a hole in front of the hemisphere. Flow visualization was recorded to qualitatively determine flow modifications, and hot-film measurements quantitatively supported conclusions on how much the power of the hairpin vortices was reduced by local wall suction.

Computational Analysis of Vortex Structures around Wall-Mounted Bluff Body in Boundary Layer (경계층 내에 위치한 각진 물체 주위의 와류 전산 해석)

  • Lee, Ju-Yong;Kim, Hyeon-U;Lee, Seung-S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354-359
    • /
    • 2013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시 풍동 실험을 통한 풍환경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영향 평가법에서 정한 건축 사업 시행 시 수반되어야 할 자연환경, 생활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의 영향 평가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풍동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설계와 실험의 피드백 (Feedback)이 원활하지 못하며, 특히 대상 건축물이 공장과 같이 대기 오염원이 되는 경우 실험은 더욱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전산 유체 역학을 이용한 건축물의 풍압 해석에 의한 풍하중 추정이나 인접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 평가가 있다. 전산 모사에 의해 풍동 실험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의 증대와 환경 피해 감소를 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에 대한 전산 모사는 주로 두 가지의 기술적 어려움을 수반하게 되다. 그 중 하나는 고정 경계면을 이루는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Body-fitted 격자계를 이용하는 경우, 격자 생성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생성된 격자가 주로 비정렬 (unstructured) 특성을 갖게 되어 수치해석 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격자의 형상도 수치해석의 수렴성을 저하시키는 예가 많다. 다른 어려움으로 풍환경은 전형적인 난류 유동장으로서 난류의 전산 해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의 풍하중과 풍환경의 전산 모사 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복잡성의 극복을 위한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과 난류 유동장의 물리적 엄밀성을 높이기 위한 다와동 모사 (Large Eddy Simulation)을 이용한 물체 형상과 무관한 유동장 해석 기술 개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먼저 최근에 유동 해석에 이용되는 방법인 가상경계법(IBM)은 물체를 포함한 전체 전산 영역을 직교 좌표계에 의해 이산화하고, 유동장내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서의 점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배 방정식에 적절한 외력을 추가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경계층에 위치한 건물 형상의 각진 물체 주위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내부의 비정상 유속 및 압력에 대한 전산 해석을 수행하고, 풍상측 전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Speckle Reduction based on Neuro-Fuzzy Technique (뉴로-퍼지를 이용한 스펙클 제거)

  • Kil, Se-Kee;Jeon, Yu-Yong;Oh, Hyung-Seok;Nishimura, Toshihiro;Kwon, Jang-Woo;Lee, Sang-Min
    • Journal of IKEEE
    • /
    • v.12 no.3
    • /
    • pp.158-166
    • /
    • 2008
  • Medical ultrasound has benefits in mobility and safety than any other medical techniques such as X-ray, CT and MRI but has speckle noise which decrease the ability of an observer to distinguish the fine details in diagnostic examination. But simple removing of speckle often causes losing boundary information. Then,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novel neuro-fuzzy method which could remove speckle efficiently without loss of boundary information. Proposed method consists of image clustering by fuzzy algorithm and image processingby neural networks which was learned by back propagation. From the experiments for simulation image and real ultrasound image, we could verify the proposed method.

  • PDF

Applying Work Domain Analysis for Ecological Interface Design of Safety Monitoring System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도시철도 역사 내 안전 감시 시스템의 생태학적 인터페이스디자인(EID)을 위한 작업 영역 분석(WDA) 적용)

  • Lee, Suk-Won;Lee, Bong-Geun;Back, Ji-Seung;Jo, Seong-Sik;Myung, Ro-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3
    • /
    • pp.264-270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Interface Design (EID)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an optimal display of railway safety monitoring system (SMS) in stations. Especially, Work Domain Analysis (WDA) which is the preceding research for EID was conducte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urban railway SMS in stations was defined as a system boundary for WDA, and work environment for station personnels was analysed through Abstraction Hierarchy (AH). AH represents five levels (Functional Purpose, Values and Priority Measures, Purpose-related Functions, Object-related Process, Physical Object) of informations that station personnels obtain from work environment, and Work Domain Model (WDM)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AH. To confirm how well WDM represents the real work environment of SMS, Scenario Mapping was conducted with experts who has been working as a station personnel for more than ten years. Lastly, thirteen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that are not provided by the existing SMS as well as all the information that are provided by the existing SMS were extracted using confirmed WDM. These information requirements can be used as essential information for EID of urban railway SMS.

Detection of Visual Attended Regions in Road Images for Assisting Safety Driving (안전 운전 지원을 위한 도로 영상에서 시각 주의 영역 검출)

  • Kim, Jong-B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9 no.1
    • /
    • pp.94-102
    • /
    • 2012
  • Recently entered into an aging socity as the number of elderly drivers is increasing.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drivers are caused by driver inattentions such as poor vehicle control due to aging,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problems caused by presbyopia, and objects identifying problems caused by low contrast sensitivity. In this paper, detection method of ROIs on the road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creates the saliency map to detect the candidate ROIs from the input image. And, the input image is segmented to obtain the ROIs boundary. Finally, selective visual attention regions are detec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gmented region with saliency pixels. Experimental results from a variety of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presented a fast object detection and a high detection rate.

A research on regional differences in traffic environments and driver's behaviors in Korea (교통환경과 운전자 행동 요인의 전국 지역별 비교)

  • Doug-Woong Hahn;Kun-Seok Park;Yong-Kyun Shi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8 no.1
    • /
    • pp.17-4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traffic environments and driving behaviors in 5 region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research from 1387 passenger car drivers in 14 locations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ffic environment factors(road topography, construction, road & safety facilities, pedestrian behaviors, surrounding drivers) among 5 regional areas. When we examined drivers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5 metropolitan areas on wearing seat belt, most of constructions related to drink driving, speed-limit violation.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driving habits, intentions, behaviors including wearing seat belt, driving after drinking according to metropolitan area, and also in case of speed-limit violation and careless driv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raffic environments and driver's behaviors among regional areas. These result suggests that traffic safety policy and practice should be prepared based upon the peculiarities of regional area. We discussed these resulte in terms of the regional traffic polic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dded.

  • PDF

Terahertz Technologies Based on Photonic Devices (포토닉스 기반 테라헤르츠 기술)

  • Kim, N.J.;Ryu, H.C.;Ko, H.S.;Han, S.P.;Park,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3
    • /
    • pp.71-87
    • /
    • 2011
  • 2004년 MIT 10대 신기술, 2005년 일본 총무성 10대 기간 기술로 선정된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에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물질의 투과, 낮은 광자에너지로 식품, 인체에 상대적으로 안전하여 인간에 필요한 테라헤르츠 영상이나 인간에 유해한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테라헤르츠 분광기술에 관한 많은 가능성들을 제시하여 왔다. 또한, 영상 및 분광 이외에도 유무선 경계가 희박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유무선 통합 기능제공이 가능하고 정보전달, 센싱,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응용영역으로 기술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요기술의 핵심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무고통으로 값싸게 활용하여 풍요롭고 안전한 삶을 유지하는 것으로 고령화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과 연동되어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 전자기파 대역에서의 초소형, 고효율, 실시간, 저가격 파원 및 검출기 기술개발의 장점을 갖는 포토닉스 기반 테라헤르츠 기술 동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Automatic Cracks Detection System of Concrete Buildings Using Image Processing (영상 처리를 이용한 건축물의 크랙 자동 검출 시스템)

  • Cho, Dong-Uk;Yoon, Mi-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759-76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안전 진단에 최우선 요소로 고려되는 크랙(Crack : 갈라진 틈)을 영상 처리에 의해 자동 검출하고 크랙의 여러 가지 특징들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우선 카메라로 입력한 건축불의 영상에서 전처리과정을 통해 잡음제거를 행하고 이에 경계 추출과 세선화 과정을 통해 크랙의 영역을 검출한다. 이후 크랙들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크랙들을 분할하며 분할된 크랙들에 대해 곡선 적합을 통해 크랙들의 방향과 길이 등과 같은 특징들을 추출해 낸다. 본 논문에서 개발코자 하는 시스템은 크랙들의 특징들을 자동으로 추출해 냄으로써 기초적인 건축물의 안전 진단을 자동으로 행하는 시스템이 되리라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