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성천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Local Extreme Event Index by Rainfall Data Analysis - Focused on the PyeongChang River Basin (강우자료 분석을 통한 지역극한지수 개발 -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 Choi, Sumin;Kim, Chang Hwan;Yeo, Chang Geon;Lee, Seung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05-105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의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6~9월에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예측하지 못한 강우의 발생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또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발생한 강우사상이 아니라 극치의 확률로 발생한 강우사상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우선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극한강우에 대한 연구 중 대부분은 정량적인 기준보다는 정성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근 국외에서는 STARDEX(Goodess, 2005)와 같은 극한지수를 선정하여 경향성을 분석하는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극한지수를 사용한 연구사례가 있으나(최영은, 2004, 김보경 외, 2009), 국외에서 제안된 극한지수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한 것이며, 이외에도 확률모형을 이용한 극한기후사상의 발생빈도 분석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으로 양적, 시간적, 공간적 측면이 동시에 극한의 값을 갖는 사상을 극치사상이라고 정의하여, 발생 가능한 강수량의 최대량으로 주로 사용되는 가능최대강수량(PMP)과는 다른 의미의 강수량으로 분석하였다. 극한강우사상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안성천 유역 강우관측소의 시계열 강우자료를 토대로 전체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지속시간, 총 강우량 및 최대 시강우량의 95퍼센타일, 시간에 대한 누적 강우량의 25퍼센타일과 75퍼센타일의 증가율로 계산된 강우 증가율 등 4가지 요소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IHP 시험유역인 평창강 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극치사상으로 분석된 강우사상은 각 유역별 주요하천의 상위 12개 장기 유출량의 발생일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과의 거리가 먼 관측소일수록 최대 유출량의 발생일과 극한강우사상의 발생일에 차이가 발생했으며, 결측자료가 많은 관측소의 경우에는 인근 관측소의 자료로 보완하였을 때 높은 정확도로 분석되는 것으로 보아, 결측자료에 대한 영향과 강우 관측소와 하천과의 거리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거리 및 지형에 대한 영향과 결측자료의 보완을 통해 더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여, 홍수위험도의 개선 및 장기 유출분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a Scheme to Increas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강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Baek, Chun-Woo;Byeon, Chen-Il;Kim, Do-Hyeon;Ahn, T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123-133
    • /
    • 2010
  • Due to climate change and difficulty in construction of large dam, it is on the increase to use small hydraulic facilities such as washland for the flood control purpose. Since there can be many potential locations for washland in a basin, it is important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to calculat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substantially and exactly. In this study, a new scheme to increas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is suggested. Suggested scheme uses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depending on washland characteristics such as storage volume, spillway elevation and spillway wid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hland is determined by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to maximize flood reduction effect at basin outlet and downstream of a washland. The methodology is applied to Anseong river basin to show its applicability and applied result is compared with those of another studies.

A Study on Hydraulic Analysis using GIS-based RMA-2 and HEC-1 - For Stream Reach between Gongdo and Pyeongtaek Water Level Gauge Stations - (GIS 기반의 하천흐름해석모형 RMA-2와 유역유출모형 HEC-1을 이용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연구 - 공도·평택 수위관측소 구간을 대상으로 -)

  • Park, Min-Ji;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1
    • /
    • pp.124-1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ydraulic behavior in a stream reach using SMS RMA-2 model with a series of dynamic boundary conditions of main stream and lateral flows simulated by WMS HEC-1 program. For the stream reach (10.5 km) between Gongdo and Pyeongtaek water level gauge stations of Anseongcheon, the model simulated two 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by applying dynamic flow conditions of rainfall frequencies of 50, 100, 500, and 1,000 years for the main stream and three tributaries. The temporal flow behavior successfully simul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mean velocity and water level within the stream reach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ow frequency. Especially, the flow velocity sensibly increased at the near downstream of lateral inflow as the width of main stream is narrower.

  • PDF

Study for Evaluation of Discharge and Sediment Considering of Characterastics of River Basin (하천 유역 특성을 고려한 유량 및 유사량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Han-Man;Choi, Gye-Woon;Kim, Gwang-Nam;Jung,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7-347
    • /
    • 2011
  • 하천에서의 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해결을 위한 자료획득이 기본이고,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유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Einstein(1950) 공식이나 Toffaleti(1968) 공식 등과 같은 하천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간접적인 계산방법과 현장 실측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추정은 아직도 그 신뢰성이 떨어지며, 대부분의 기존 유사량 공식들이 하상토 유사량을 위주로 추정하여, 소류사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이런 공식들을 이용하여도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의 경우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장실측에 의한 방법이며, 유사량 공식은 부득이한 경우에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 유사량 산정을 위하여 하천 규모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국가하천인 경우 임진강을 대상으로 민간인 출입이 가능한 구간(L = 84.5km), 중소규모하천인 경우 안성천 수계의 황구지천과 인천의 계양천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진강의 경우에는 부유사의 대부분이 이토나 점토로 구성되어 있고 중 상류에서 하상재료의 구성이 대체로 호박돌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아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충적하천에서 이용되는 수정 Einstein(1955) 방법에 의한 총 유사랑 추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본 조사에서는 임진강의 총유사량을 부유사양으로 간주하였으며 다른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부유사량과 비교를 통하여 공식을 제안하였다. 유사량 측정은 하천별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수리량과 하상토자료를 이용하여 종유사량을 산정하는 Einstein(1950) 공식, Rijn(1984) 공식, Toffaleti(1968) 공식, Shen & Hung(1971)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공식, Ackers & White(1973) 공식, Engelud & Hansen(1967) 공식, Ranga Raju(1981) 공식을 이용하여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Query and Mathematical Method (Query 및 Mathematical 기법을 이용한 홍수범람 해석)

  • Jeong, Ha-Ok;Park, Sang-Woo;Choo, Tai-Ho;Park, Kun-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1
    • /
    • pp.33-40
    • /
    • 2010
  • In this study, it has been intended to present the ways to improve some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using the program which had got from the existing study, the computation and application of a lot of parameter and the complicated processing which need to be more simplified. Also It has been tried to bring up the ways to make a flood inundation map and a detailed inundation analysis which could reduce the risk factors. We selected an Anseong-Cheon basin, and wrote a flood inundation scenario based on extreme flood to exceed the planned frequency to consider only overflow and levee break and executed inundation simulation. Researchers conducted an analysis of overflow and levee break using function of HEC-RAS Storage with a One-Dimensional model. It applied Elevation versus Volume Curve for more correct inundation simulation than a method of Area-Time-Depth which used in popular. This study will suggest a mathematical method of SURFER with a little difference of inundation area more simplified and precise flood inundation than complicated Arcview 3.2a which used Query method of Arcview 3.2a.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based on Variation of Rollway Characteristic (월류부특성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분석)

  • Baek, Chun-Woo;Kim, Bok-Cheon;Ahn, T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145-150
    • /
    • 2009
  •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new large hydraulic structure, washland is considered as alternatives of hydraulic facility. As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 is dependent on flood, hydrograph, capacity of washland and spillway height, applying adequate spillway height is very important to maximiz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 In this study, effect of variation of spillway height on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is analyzed. The existing model developed to make decision for optimal location of washland using flood reduction effect as evaluation function and location of washland as decision variable was revised for this purpose. The spillway height of washland is added as decision variable and revised model finally give optimal location and spillway height of washland as result. The developed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Ansung River basin and application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existing model. The application result shows that developed model can give more efficient result than existing model.

Determination of the Groundwater Yield of horizontal well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ncorporating riverside groundwater level data (배후지 지하수위를 고려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수평정별 취수량 결정 기법)

  • Kim, Gyoo-Bum;Oh, Dong-Hw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583-592
    • /
    • 2018
  • Recently, concern has arisen regarding the lowering of groundwater levels in the hinterland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high-capacity radial collector wells in riverbank filtration areas. In this study, groundwater levels are estimated using Modflow software in relation to the water volume pumped by the radial collector well in Anseongcheon Stream. Using the water volume data,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is develop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withdrawn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of groundwater level. We estimate that increasing the pumping rate of the horizontal well HW-6, which is drilled parallel to the stream direction,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groundwater levels in wells OW-7 and OB-11. We also note that the number of input data and the classification of training and test data affect the results of the ANN model. This type of approach, which supplements ANN modeling with observed data, sh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of hinterland areas.

Flash flood risk indicator for ungauged area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위험도 산정 연구)

  • 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4-94
    • /
    • 2016
  • 돌발홍수는 수십 $km^2$ 이하의 유역에서 강우가 발생한 후 6시간 이내의 단시간에 홍수징후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발홍수를 잘 예측하기 위해서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 호우를 잘 예측해야 하며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해석을 통해 돌발홍수를 예측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을 잘 모의하기 위해 TOPLATS 지표해석모형을 이용하였다. TOPLATS(TOPMODEL based Land Atmosphere Transfer Scheme) 모형은 물수지와 에너지수지를 통해 단위격자에 대한 실제증발산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 지표유출량, 잠열, 현열, 지열, 순복사량 등을 모의하며 소유역단위로 지하수면깊이를 재분포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돌발홍수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실제 돌발홍수 피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피해지역과 대응되는 격자 수문성분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돌발홍수 위험도 모형을 산정하였다. 대상지역은 수도권 전체지역을 모의하기 위해 한강, 임진강, 안성천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도권 지역은 약 11,930 km2이며 2009~2012년동안 총 38건의 돌발홍수 피해사례가 신고되었다. 기상자료는 기상청 AWS와 ASOS 시단위 강우,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조, 기압자료를 이용하였다. 돌발홍수 피해사례 38건에 대해 대응되는 모의격자의 수문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7(71%)에서 구조요청시점에 대해 강우량, 지표유출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가 적절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우조건에 따른 돌발홍수 위험도는 구조요청시점 기준 선행시간 4~6시간까지 71~87%, 구조요청시점으로 한정된 0시간에서는 42~5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표해석모델을 이용한 격자 수문성분과 통계적 돌발홍수지수모형으로부터 산정된 돌발홍수 위험도는 산지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lationships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만경강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통한 상하류 관계 검토)

  • Jung Hoon Lee;Jun Su Park;Seung Hyun Kim;Jae I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3-283
    • /
    • 2023
  • 만경강은 전라북도 북부를 남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유로연장 80.86km, 유역면적 1,504.35km2에 이르며 유로는 영산강에 이어 6번째, 유역면적은 안성천, 삽교천에 이어 8번째에 해당하는 하천이다. 만경강은 금강, 동진강 등과 함께 호남평야의 중앙을 서쪽으로 흐르며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전주시와 완주군, 김제시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하천 중 하나이다. 만경강 상류에는 대아저수지, 경천저수지 등 다수의 농업용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다수의 취입보와 양수장이 설치·운용되고 있다. 만경강 중상류에서 위치한 취입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완주군(오성교)관측소와 완주군(용봉교)관측소 사이에 위치한 어우 취입보로 최대 허가량은 약 10m3/s이며, 연간 취수량은 약 1억 4천만톤이다. 어우 취입보에서 취수한 용수는 대간 도수로를 통해 새만금간척지까지 농업용수를 공급한 후 완주군(삼례교)관측소 하류에 위치한 비비정 배수갑문을 통하여 만경강으로 회귀한다. 어우 취입보의 영향으로 인하여 만경강 중상류에 위치한 3개의 관측소(완주군(오성교), 완주군(용봉교), 완주군(하리교))는 비정상적인 상하류 관계가 발생하고 있다. 만경강은 이와 같은 다수의 취입보와 양수장 운영으로 상하류 역전이 발생하고 있으나, 유역 내 물수지 분석을 통해 실제 취수량 등을 고려할 경우 농번기에도 정상적인 상하류 관계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에 위치한 저수지 3개소(경천저수지, 용담댐, 대아저수지)의 방류량과 고산정수장의 회귀수 자료, 어우 취입보에 설치된 자동유량자료 및 취입보(7개소)의 허가량과 취수량 자료를 확보하여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만경강 중상류에 위치한 관측소의 2022년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활용하여 환산유량을 산정하였으며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여 상하류 검토와 누가유출 및 유출률을 검토한 결과 상하류 관계가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of fluorine-based chemicals and the detection of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s(PFOS) and perfluorooctanoic acids(PFOA) in domestic main rivers (국내 불소계 화학물질 배출 현황 및 주요 수계의 과불화화합물(PFOS, PFOA) 검출 특성에 관한 연구)

  • Sam-Bae Park;Yoon-Young Cha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1 no.2
    • /
    • pp.5-18
    • /
    • 2023
  •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mission status of fluorine-based chemicals in Korea, 13 kinds of substances, including hydrogen fluoride (91%) and perfluorocarbons (5%), were emitted in workplaces. By regional groups, about 98% was emitted in the Gyeongbuk,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and about 98% in three sectors of industry related to manufacture of electronic parts, chemicals and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The detection status of PFOS and PFOA in domestic main rivers was continuously detected in the Nakdong River, the Geum River and the Anseong Stream estuary with high fluorine-related chemical emissions, and four sites of PFOS and two sites of PFOA were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2021. PFOS and PFOA were continuously detected in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in the rivers where there were many semiconductor and display related sectors of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