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무가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oreographical Practices in the 21th century (21세기 이후 안무의 실제)

  • Kim, eunjung;Cho,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3-2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무용예술 창작환경변화에 따른 실제 행해지는 안무법들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안무의 사전적 의미, 학술연구에서의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000년도 이후 댄스포럼 잡지 중 5년 단위로 잡지를 선정하여 이로부터 안무가들의 인터뷰를 수집 후 안무방법에 대한 언급이 있는 기사들만을 추출 하여, 21세기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무의 실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안무의 사전적 개념은 17세기 안무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저작권에서도 동작의 형으로만 그 범위를 제한하였다. 20세기에 들어 움직임의 창작 뿐만 아니라 작품의 연출에 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21세기의 안무가들은 사전적 안무의 개념에 집중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주로 안무 작업 시 작품 전체의 연출에 집중하였으며, 움직임은 주로 무용가들과의 소통을 통해 창작하였다. 융 복합 환경으로 변화해가는 창작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지식재산권의 문제를 고려한 안무 개념의 고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Choreography style and features of movement in Musical (뮤지컬 의 안무 스타일과 움직임의 특징 분석)

  • Park,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7-228
    • /
    • 2017
  • 뮤지컬 는 다른 영미과 뮤지컬과는 다르게 가수와 무용수가 구분되며 표현의 자유로움과 다양한 안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연구자는 주요장면을 통해 뮤지컬 의 안무 스타일과 움직임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안무 스타일은 제스처, 현대무용, 발레, 아크로바틱, 체조, 힙합 & 브레이크 댄스 등의 안무 스타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안무 규모에 따라 군무, 듀엣, 솔로로 나뉘어있다. 뮤지컬 는 주요 장면의 특징을 통해 움직임의 기술적 기능과 화려한 무대만을 강조 하려는 다른 뮤지컬 안무와는 차별성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뮤지컬에서의 안무는 장면에 대한 무용수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요구하였고 이것이 작품의 감동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 PDF

Suggestions for the Independent Bod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oreography (인공지능 안무 시대의 주체적 몸을 위한 제언)

  • Yim, Sujin
    • Trans-
    • /
    • v.12
    • /
    • pp.1-19
    • /
    • 2022
  • This study predicts and raises the changes that AI will bring to dance art when machine-based choreography began, and finds questions we can ask as human artists. Research suggests that one of the crises of dance in the era of machine creative arts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stay in the tool of human choreography but becomes the subject of choreography. It is based on the political discourse of choreograph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power to control and restrict human dancers. This comes from a sense of crisis that the AI takes over the area of choreography and the human choreographer remains an incompetent coordinator, and as a result, the dancer's dancing body can be reduced to a mechanical body controlled by AI. In order for these concerns not to become a reality, this study proposes three measures. First, choreographer and dancer should develop digital literacy to live in the age of AI art. Secondly, choreographer should acquire the ability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roles of human choreographer, dancer, and AI in creative work. Thirdly, various levels of discourse on AI dance should be formed by actively conducting mutual media research of da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se efforts, the human dancer will exist as a subject of art, not a passive agent in the new dance ecosystem brought by the inno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will be able to face an era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vily and productively.

A Study on the Body Image in Surrealistic Art Characteristics - Centering on William Forsyth's Choreography (초현실주의 예술 특성에서 나타나는 신체이미지 연구 - 윌리엄 포사이드의 안무방법을 중심으로)

  • Yoo, Min-Hee;Choe, Sang-Che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8
    • /
    • pp.227-234
    • /
    • 2022
  •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art and examined the choreography metho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work of choreographer William Forsythe. Forsyth developed into a ground breaking performing art through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and his own method, and sought to find a new body image based on this original choreographic approach.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destruction and dismantling of forms, which are surrealistic art characteristics, appeared as separate movements, space reconstruction, and special objects in the choreography method of Forsyth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surrealism and to identify the surrealistic elements that appear in William Forsythe's.

K-POP Dance Choreography retrieval with low-cost depth cameras (저가형 3D 카메라를 이용한 K-POP 댄스 안무 검색)

  • Kim, Dohyung;Jang, Minsu;Yoon, Youngwoo;Kim,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435-14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K-POP 모션캡처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안무구간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은 저가형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검색하고자 하는 동작을 생성하고 이를 질의동작으로 입력하여 원하는 안무동작을 검색하는 직관적인 검색 기술로서 구간 동작의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K-POP 댄스를 검색하기 위한 핵심기술이다. 역동적인 댄스 자세를 표현하고 매칭하는 방법으로 관절 및 바디파트 간의 상대적인 각도 정보를 추출하고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대용량의 모션캡쳐 데이터베이스를 고속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안무동작의 핵심 자세를 분석하여 후보구간 집합을 빠르게 생성하고, 이들 집합에서 Dynamic Time Warping(DTW) 알고리즘으로 안무동작 간의 매칭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산출한다. 약 358분의 K-POP 댄스 곡 100곡에 대한 성능평가에서 92%의 검색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는 K-POP 댄스 동작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경쟁력 있는 성능치이다.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rt Performance' K-pop and choreography design in Modern Dance ('Art 퍼포먼스' K-POP과 현대무용의 안무 디자인 상관관계 연구)

  • Kim, tae-r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5-256
    • /
    • 2019
  • 가장 큰 예술 대중매체인 k-pop은 다양한 안무 퍼포먼스를 필두로 대중에게 새로운 경험과 색다른 소통을 하게 도와줄 책임이 있다. 현대무용과의 결합을 통해 k-pop은 예술적 형태의 'Art 퍼포먼스'라고 불리 우며, 무용은 k-pop의 대중적 성질을 가지고 거리의 장벽이 낮아졌다. 이것을 변화되는 안무 디자인의 새로운 '문화 트렌드', '대중화 코드'로 인식하여야한다.

  • PDF

Comparing expert and ordinary perception of dance using fMRI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무용 지각에 대한 비교 연구)

  • 이경민;전현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31-23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문 안무가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현대적 스타일의 독무와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육면체를 제시할 때의 두뇌 활동 양상을 fMRI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피험자들은 총 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4명은 안무 전문가들, 4명은 동일한 연령대의 일반인들이었다. 피험자들은 시각 자극으로 제시되는 춤동작과 다양하게 변화하는 단순한 육면체의 움직임을 아무런 반응 없이 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두 피험자 그룹 모두에서 육면체의 움직임보다 무용을 응시할 때 occipital cortex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고, 특히 좌측 STS와 angular gyrus사이의 경계선 영역, 그리고 좌측 fusiform gyrus에서는 안무가들이 무용을 볼 때 일반인들보다 더 높은 활성화를 나타내었다. STS/angular gyrus와 fusiform gyrus가 시각 자극의 의미 표상을 이해하는데 관련이 있고, angular gyrus가 사전적 의미 해석에 있어 중계적 역할을 하는 곳이며, fusiform gyrus는 사물을 지각하는데 있어서 보조 역할을 맡고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무용가들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안무에 대한 전문적인 소견과 지식을 이용하여 몸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고, 또 그것에서부터 어떠한 상징적인 의미까지 끌어내어 결과적으로 의미 추출의 과정에서 두뇌의 semantic network를 활성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 PDF

A Trend Analysis of Contemporary Dance (컨템포러리 댄스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 CHUNG, Euisook
    • Trans-
    • /
    • v.1
    • /
    • pp.67-8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Western) modern dance by analyzing the works of three choreographers who are currently at the forefront of the dance scene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urrent choreographic trend. The three selected choreographers for this study are Justin Peck (USA), Sidi Larbi Cherkaoui (Belgium) and Zach Morris (USA). These choreographer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their significant identity within the current dance scene. For analysis, one noteworthy works of each choreographer were selected for video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llustrates that in the current era of promoting 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e three choreographers approach convergence differently by integrating dance and other mediums in their choreography. Peck converges between ballet and the ordinary, Cherkaoui converges between dance and other cultures and Morris converges between dance and venue.

  • PDF

A Study on Movement Pattern of William Forsythe Dance through Bartenieff Fundamental (바르테니에프 펀터멘탈을 활용한 윌리엄 포사이드의 움직임 패턴 연구)

  • Kim, Ji-Young;Cho,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43-444
    • /
    • 2017
  • 본 연구는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의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바르테니에프 펀더멘탈(Bartenieff Fundamentals)을 통해 그의 무용수들이 가지는 특징적인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윌리엄 포사이드의 대표적인 안무적 특징인 역동성, 강인함과 공간적 조화로움을 가능하게 하는 그의 무용수들이 가지는 특징적인 움직임 패턴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윌리엄 포사이드는 호흡을 안무의 요소로 사용하였고, 상-하체분리패턴은 포사이드 움직임의 특징적인 요소로 관찰되었으며, 서포트(Support)가 있는 듀엣(Duet) 움직임에서는 신체반쪽연결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동성, 강인함과 공간적 조화로움이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더 많은 사례를 통해 움직임 패턴을 연구한다면 에너지 표현에 직접 적용 가능한 패턴들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어 안무를 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Trends of Web Services Choreography and its enhance model for Mobile Environments (WS-CDL 개발 동향 및 모바일 환경을 위한 개선 방향)

  • Lee, Kang-Chan;Lee, Won-Suk;Jeon, Jong-Hong;Lee, Seun-Gyun;Park,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1011-1014
    • /
    • 2005
  • 하나의 웹서비스가 이 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와 1회 이상의 연동(interaction)을 필요로 할 경우, 웹서비스에서는 이를 명확히 정의하는 규약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안무(choreography) 또는 대화(conversation)라 부르며, 총칭하여 협업 웹서비스 기술로 부른다. 최근 W3C는 웹서비스의 안무를 위한WS-CDL(Choreography Description Language)를 개발 중에 있으며, WS-CDL은 웹서비스들 간의 전체적인 안무 교환이나 메시지 교환을 정의 한다. 그러나, WS-CDL은 연결성 (connectivity)이 항상 보장되지 않는 모바일 환경이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하기에는 비효율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WS-CDL개발 동향에 대 해서 살펴 보고,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