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모 비대칭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안면 수기 마사지 후 안모의 변화 (The Change of Facial Contouring after Facial Massage)

  • 임은진;위수영;정다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103-108
    • /
    • 2012
  • 본 연구는 안면수기 마사지 시술 후 얼굴 부피 및 두께의 안모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20~40대 여성 10명을 선정하여 주 2회, 20회의 시술을 10주간 진행하였으며, Vivid 9i$^{(R)}$ laser scanner(Minolta, Tokyo, Japan)를 사용해서 마사지 관리 전과 마사지 관리 후의 부피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기 마사지 후 얼굴 부피는 평균 $731mm^3$ 정도로 다소 감소하였으며(p>.05), 광대뼈 부위의 두께는 평균 0.40mm로 감소하였고(p<.05) 저작 부위의 두께 변화는 평균 0.44mm로 감소하였다(p<.05) 이에 얼굴 수기마사지에 의한 안모 변화는 부피와 광대뼈 및 저작 부위에서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침습적이면서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비대칭 및 저작근 비대 등으로 인한 얼굴형 변화를 개선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NTITION AND MORPHOLOGIC MALOCCLUSION OF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ATIENT)

  • 김미애;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3-63
    • /
    • 1996
  • 경희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2도 이상의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보이는 환자 73명과 교정치료로 내원한 환자들중 부정교합을 보이나 측두하악장애가 0도인 환자 30명으로 총 103명의 상하악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수평피개, 수직피개, 개방교합, 반대교합, Curve of Spee의 깊이, 정중선 편위, 안모비대칭, 치면마모, 치료지수, 연령 및 성별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군의 연령분포는 20대, 10대, 9세 이전의 순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0.05)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함께 고려한 6가지 분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전치부개방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전치부 반대교합은 정상군에서 더 많았으나, 구치부 반대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5. Curve of Spee의 깊이는 측두하악장애군이 더 깊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6. 정중선편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안모비대칭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7. 치면마모는 측두하악장애군이 정상군보다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8. 치료지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군은 전치부 개방교합, 구치부 반대교합, 깊은 Curve of Spee, 치면마모 및 안모 비대칭 등의 여러가지 부정교합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고로 이러한 부정교합의 양상들 보이는 환자들은 측두하악장애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치료계획 수립시나 치료기간 동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사선사진과 안모사진을 이용한 하악 비대칭의 평가 (Evaluation of the mandibular asymmetry using the facial photographs and the radiographs)

  • 이설미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1권4호
    • /
    • pp.199-204
    • /
    • 2001
  • Purpose :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 tissue asymmetry and bone tissue asymmetry using the standardized photographs and the posteroanterior (PA) cephalometric radiographs in mandibular asymmetric patients. And to clarify that the lack of morphologic balance among different skeletal components can often be masked by compensatory soft tissue contributions. Methods: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58 patients whose chief complaints were facial asymmetry, they were taken with standardized facial photographs and PA cephalometric radiographs. Control group consisted of 30 persons in the normal occlusi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facial photograph was confirmed by model test. The differences of fractional vertical heightand horizontal width from standardized facial photographs and PA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difference of fractional vertical bone height was 0.63 and fractional vertical soft height was 0.58 in control group, 3.10 and 2.01 in asymmetric group,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fractional horizontal bone width was 0.52 and fractional horizontal soft width was 0.70 in control group, 2.51 and 1.70 in asymmetric group, respectively. Both soft and bone tiss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asymmetric group (p<0.05). The difference of bone tissue was greater than that of soft tissue (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control group. Conclusions: Soft tissue components may compensate for underlying skeletal imbalances.

  • PDF

안모비대칭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악교정수술후 변화에 관한 연구;정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계측을 중심으로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F FACIAL ASYMMETRY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 최유성;이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396-410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the degree of the asymmetry existed in normal persons and asymmetric patients,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symmetric pati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y of 60 normal persons and 31 facial asymmetric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normal asymmetry existed in normal persons was not significant except MF and Me measurements. 2. The degree of normal asymmetry according to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except cranial base area. 3. When normal persons were compared to asymmetric patients, there were more measurements which presented significant asymmetry on mandible than on maxilla. 4. When postoperative state was compared to preoperative state, the degree of asymmetry were usually decreased except AGO and GA measurements, especially the Cd, MF, Me, and Cd-Me measurements decreased significantly. 5. When postoperative state was compared to normal persons, 4 measurements of mandible approached significantly the measurements of normal persons.

  • PDF

심한 안모 비대칭 환자 치험 2례 (TREATMENT OF SEVERE FACIAL ASYMMETRY:REPORT OF 2 CASES)

  • 박형식;김선용;이상휘;김희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69-81
    • /
    • 1990
  • Classification of facial asymmetry has not been yet well-organized because of their variety on etiologic factors, involved sites and clinical expressions. And surgical treatments are also variable and depend upon their causes and clinical abnormalities. This is a case report on surgical experiences of two patients who had severe facial asymmetry and could not treated pre-surgical orthodontics before surgery. One patient was belong to hemifacial microsomia and another was a very unusual complex type related to unilateral condylar hyperplasia, unilateral macrognathia and unilateral mandibular hypoplasia. The authors used a simultaneous two-jaw surgery, bone shaving and onlay-type bone graft in former case, and a simultaneous two-jaw surgery, condylectomy, bone shaving and only-type bone graft in latter case. In two cases, immediate post-operative results in function and esthetics were excellent, however, progressive resorption of onlay-type bone grafts have been noticed.

  • PDF

악관절 과두강직 : 편측성 과두강직을 동반한 안모비대칭 치료 증례 (CONDYLAR ANKYLOSIS : UNILATERAL POSTTRAUMATIC CONDYLAR PSEUDOANKYLOSIS)

  • 홍성규;홍성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27-445
    • /
    • 1993
  • The ankyl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ccured by several causes directly developes TM joint disfunction, In cases with prolonged condylar ankylosis, especially at growing age the condylar ankylosis evokes malfunction of growth center area, and then developes the abnormal facial morphology and malocclusion. Therefore it must be cured. Almost authors have agreed to the necessity of surgical correction of the TMJ anylosis. but they did not decide the one surgical method to get the best result. The Tx. method suggested by many authors are the using interposition after resection of condyle to remain a lever of 3rd class in Mn. kinetics, the autogenous condylar graft and the alloplastic condylar graft. Some authors have got the satisfied results only with the condylectomy of the involved TMJ. This study also operated only the detachment of fibrous adhesion on ankylosed condylar side and then established occlusion in the case with the unilateral TMJ ankylosis and fibrous joint adhesion and facial asymmetry evoked after the fracture of condylar head at early age. This study got a improved mouth opening and a stable postsurgical result after 1 year. Also, this study reviewed many author's study about the chanracteristics, etiology, diagnosis and Tx. method for the ankylosis of TMJ.

  • PDF

악관절 장애를 동반한 심한 안모 비대칭 환자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SEVERE FACIAL ASYMMETRY WITH TMD)

  • 김여갑;이상철;류동목;오승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4호
    • /
    • pp.255-268
    • /
    • 1992
  • There are various modalities in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but in severe case with TMD by actively growing deformed condyle, the treatment choice is removing the condyle growth center and TMD symptom such as click or muscular discomfort. In our one case, the patient was complain of facial asymmetry. There are severe deformed condyle head with bird-head fashion and enlarged mandibular ramus and body vertically about 18 mm, overgrowthed Rt. mandible body horizontally about 20 mm. She had intermittent Lt. TMJ clicking and muscular discomfort. The author diagnosed it as Lt. hemimandibular hyper-plasia & R, hemimandibular elongation, a combination form with TMD. the condyle was in active growing state in scintigraphic analysis. So we extirpated the deformed condyle by intraso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reshaped the condyle and mandibular distal fragment extraorally. The distal fragment was readapted in glenoid fossa and fixated. In Rt. mandibular body area, autogenous onlay bone graft on th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was performed to correct the asymmetry. The clicking and facial asymmetry was corrected and we report this results with other literature findings.

  • PDF

안모 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에서 상악 후방부의 수평이동에 대한 고려 (CONSIDERATION OF TRANSVERSE MOVEMENT OF POSTERIOR MAXILLA IN ORTHOGNATHIC SURGERY OF FACIAL ASYMMETRY : CASE REPORTS)

  • 장현호;윤석채;류성호;김재승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2호
    • /
    • pp.172-178
    • /
    • 2000
  • When we establish treatment planning of facial asymmetry, we must predict each asymmetrical element that will be changed upon coronal, axial, sagittal plane. At the visual point, prediction of the change of coronal plane is most important. It is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Rt. and Lt. mandibular angle belonging to posterior coronal plane, as well as anterior coronal plane, such as upper and lower incisor, or midline of chin point. Several methods for control bulk of mandibular angle are additional angle shaving after osteotomy, grinding contact area between proximal and distal segment for decrease the volume, or bone graft for increase the volume. But, at the point of bimaxillary surgery, transverse position of posterior maxilla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ntrol it. So, we would report transverse movement of posterior maxilla for decrease asymmetry on the posterior coronal plane of face, that is, asymmetry of mandibular angular portion.

  • PDF

안면 비대칭환자의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Facial Asymmetry Patient : Case Report)

  • 임소민;신형주;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59-371
    • /
    • 2010
  • 안면 비대칭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하악 비대칭은 성장 중 골격성장의 비대칭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면 비대칭이 있을 경우 외모 뿐 아니라 저작과 기능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심한 골격성 악간관계 부조화가 있는 경우 보철치료만으로는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힘의 분산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치와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악간관계 부조화로 인한 부정교합이 존재하여 치아의 수복 시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먼저 교정치료를 통한 악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교합안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부조화가 심한 경우 기능적 및 심미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 악교정 수술이 필요하며, 진단결과에 따라 편악 또는 양악수술이 시행된다. 상 하악 또는 안면 비대칭증의 악교정 수술시 이부 성형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악골의 이부의 수직적, 횡적, 전후방적 위치를 외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심미적인 안모개선을 얻기 위해 시행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안모의 비대칭과 돌출된 하악 및 불량 보철물을 개선하고자 술전 교정을 시행한 뒤 상악 Le-Fort I 골절단술, 하악 시상분할골절단술, 이부 성형술(전방 4 mm), 우측 하악각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교정치료를 진행하고 치관연장술 및 완전구강회복을 진행하였다. 보철 수복 완료 후, 환자의 평가와 객관적 결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의 교모양상 (The attrition pattern in Angle Class III malocclusion with facial astmmetry)

  • 손우성;전은예;김성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9-557
    • /
    • 1997
  • 치아 교모는 모든 연령층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이며, 교모를 초래하는 원인요소로는 연령, 교합시의 다양한 접촉상태, 접촉시의 힘의 크기나 방향, 접촉의 지속 시간, 이갈이 등의 구강 악습관, 음식물 등 구강 내에 개재되는 물질의 마모성, 치아 침식 요소의 존재, 그 외에 저하된 교합 감지 감수성 등을 들 수 있다. 치아의 접촉 면적이나 교모면의 형태는 생리적인 과정 외에도 부정교합, 교합간섭, 조기치아접촉, 이갈이, 이악물기 등 여러 형태의 교합이상으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생리적인 과정과 병적인 변화를 분명히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치과 진료시 흔히 치아 교모 현상을 볼 수 있으나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시 이를 간과하기 쉽다. 악구강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는 경우에는 교모가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악구강 기능이 비정상적이며 과도한 마모가 유발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심미적. 기능적, 수복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안면 비대칭이 있는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전치부 반대 교합으로 전방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악 운동의 부조화로 인해 비정상적인 교모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동양인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Angle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안면 비대칭이 있는 환자의 치아 교모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군으로는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며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관찰되지 않는 자를 선정하였고,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구강내 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및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없는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와 하악골 편위를 보이는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 III급 부정교합자를 선정 하였다. 교모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지네이트 인상재로 인상을 채득한 후 경석고를 이용하여 상하악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석고 모형상의 교합면상 마모된 부위를 가는 연필을 이용하여 경계를 그렸다. 경계가 표시된 석고 모형을 scanning하여 면적을 계측한 후 SAS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교모 면적은 I군이 II, III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2 각 군의 좌우측간의 교모면적 차이는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으나 I군, II군, III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3. I군에서는 상악의 교모 면적이 하악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II, III군에서는 상하악 교모면적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안면 비대칭 환자의 경우 편위측보다 비편위측의 치열궁에서 교모 면적이 더 크게 나타났다. 5. 저작측에 따른 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성별에 따른 총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