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Economic Impact of Andong Maskdance Festival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이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71-378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조사를 통해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산업승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최로 안동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축제기간중 방문객의 총 지출액인 237억 5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309억 6천만원으로 평가되었고, 수입유발효과는 158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43억 1천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보편적인 문화유산인 '탈'이라는 컨셉을 잘 살린 축제기획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Governanc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1-160
    • /
    • 2012
  • 본 연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평가는 사회적 정당성, 신뢰성, 전문성 그리고 투명성의 4가지 요소별로 거버넌스 주체 상호간 교차평가에 초점을 두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으로는 축제 주체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에 기초한 거버넌스를 들 수 있다. 2011년 현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는 '안동축제 관광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축제전문가, 시민사회단체, 지역상공인단체, 자원봉사자 그리고 지방정부 등의 각 주체들이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파트너십에 기초한 소위 '민간주도형' 거버넌스를 그 특성으로 들 수 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는 투명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요소에 대하여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거버넌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 경향이 강한 주체는 축제를 주도적으로 기획, 집행 그리고 평가 과정에 참여한 주체이었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는 사회적 정당성의 경우에는 사업에 대한 정당성과 관련 주체의 참여 보장, 신뢰성에 있어서는 주체의 능력과 인지 및 제도적 신뢰이었다. 전문성의 경우는 전문지식, 대안제시 능력 그리고 업무의 지속성이었고, 투명성에 있어서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개 및 공유 보장이었다. 앞으로 거버넌스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한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던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체 간 그리고 주체와 일반시민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공유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역축제 체험프로그램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Impact of Sense of Satisfaction with Regional Festival Experience Program upon Intention for Re-visit - With Focus on Andong International Mast Dance Festival -)

  • 이재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70-379
    • /
    • 2009
  • 본 연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행사기간인 2008년 9월 26일부터 10월 5일까지 축제에 참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체험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행사진행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고 일탈감과 창의적 체험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에서도 편리성과 창의성 부분에 높은 만족도 보이고 있어 축제체험프로그램의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거듭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접근성과 체험프로그램이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야 하고 변화하는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 Study of Assessment and Awareness by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o the Significance of Local Festival : Case Study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15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 PDF

축제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Image of the Festival, City Brand Equity, and Regional Loyalty)

  • 엄지영;서정아;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1-19
    • /
    • 2017
  • 본 연구는 축제의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015년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총 289부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이미지는 도시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브랜드자산은 지역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축제 이미지가 지역 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축제 이미지와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축제를 진행하는데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웹사이트 평가지표에 기초한 지역축제 웹사이트 분석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ocal Festival Based Upon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Website)

  • 우찬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3-209
    • /
    • 2003
  • 본 연구는 지역축제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들의 효율적인 운영 및 활용의 입장에서 지역축제 웹사이트를 평가지표를 새롭게 구성하여 정량적 평가모델에 의해서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지표모델은 국내외의 웹사이트 평가 및 관광, 호텔 웹사이트 평가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평가기준(criteria)을 종합하여 공통적인 것을 하나의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재분류과정을 통해서 디자인(design), 인터페이스(interface), 축제정보(contents),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D-1-C-C라는 총 4개의 평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영역은 다시 세부측정항목 39개를 도출하여 평가하였다. 지역축제 관련 웹사이트의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29개 문화관광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도메인을 가지고 축제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영암왕인문화축제, 대구약령시축제, 춘천국제마임축제, 세계태권도문화축제, 고성공룡나라축제,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금산인삼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부산자갈치문화관광축제 등 9개의 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 PDF

안동지역 축제의상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Costumes in Andong)

  • 김희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dustrialize and to localize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of Andong by developing festival costumes related to 'Andong Mask Dance Festival'. We tried several methods to deliver meanings and images of festival costumes, as followings. Frist,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2, we created the new design of the festival costumes after consulting with 7 festival experts about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ndong Mask Dance Festival'. The festival costume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detachable parts of clothing based on Han-bok style, the front and back of bodice, right and left side of both sleeves, and pockets, which can be tied up with strings. Therefore the consumers can choose and attach the part they want. Secondly, the newly created festival costumes were evaluated appropriately to the consumer's satisfaction, implementation, practicality, and long-term development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survey of 85 participants who were, in fact, wearing the festival costumes in the festiv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festival costumes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it appears wearing object as festival costumes. Secondly,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are well matched up, so men and women of all ages are possible to wear. Thirdly, size of costume can be controlled, so it's easy to wear. Finally, construction method is very simple. The possibility of long-term development by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