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구건조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중년기 안구건조증 환자의 안구건조 증상정도와 안구피로가 시력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 eye syndrome symptoms and asthenopia on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 윤혜숙;김현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0-318
    • /
    • 2022
  • Purpose: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y eye syndrome symptoms and eye fatigue on the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QOL) of middle-aged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4 ophthalmology clinic outpatients aged 40-59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dry eye syndrome at A and S Ophthalmology Clinics in D City, South Korea, and were exhibiting dry eye syndrome symptom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5, 2021 to July 22, 2021, and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severity of dry eye syndrome symptoms and asthenopia (r=.73, p<.001) in the participa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the severity of dry eye syndrome symptoms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r=-.76,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Additionall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ye fatigue and vision-related QOL (r=-.55, p<.001). It was found that the final factors affecting the vision-related QOL of middle-aged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were the severity of dry eye syndrome symptoms (β=-0.76, p<.001) and dry eye stress (β=-0.14, p=.048). The explanatory power of vision-related QOL in the participants was 56.0%. Conclusion: To develop indices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for improving their vision-related QOL is necessary.

What is the meaning of hs-CRP and HbA1c in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in diabetes?

  • Kang, Ji-Hun;Shin, Sang-Y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85-190
    • /
    • 2020
  • 본 연구는 2016년 6월 16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726명을 대상으로 Schirmer's 검사와 대사증후군 검사를 통해 전신적 만성 염증성 상태가 국소적 만성 염증성 상태로서의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자중 hs-CRP, HbA1c를 동시 측정한 21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고 연령일수록 (p<0.001), 성별로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안구건조증이 증가하였으며(p=0.020), 공복혈당과 hs-CRP와는 연관이 없었다. 또한 HbA1c가 증가할수록 안구건조증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였다(β=1.960, p=0.025). 따라서 안구건조증은 만성 염증성 상태로 인한 눈물샘의 미세혈관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며 당뇨환자의 경우 단기간의 혈당 조절보다 장기간의 혈당 조절상태가 더욱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당뇨병 환자에서 안구 건조증의 높은 유병률은 만성 염증으로 인한 미세 혈관 변화보다는 자율 기능 장애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안구건조증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0권3호통권328호
    • /
    • pp.24-25
    • /
    • 2006
  • PDF

간호대학생의 안구건조 자각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가정은;김다인;김명진;김소연;김수지;김승한;최광범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10-11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Standard Patients Evaluation of Eye Dryness [SPEED] questionnaire, and McMonnies questionnaire) from 233 nursing students of E university.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SPEED, and McMonnies were 21.43, 8.02, and 6.39, respectively.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cMonnies and SPEED scores. Additional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among nursing students were hours of using smart phones, McMonnies score, and the SPEED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terventions need to developed and applied to reduce and control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among nursing students.

Health Zone_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봄, 예뻐지고 싶다면 눈을 촉촉하게

  • 김선후
    • 건강소식
    • /
    • 제36권4호
    • /
    • pp.24-25
    • /
    • 2012
  • 4월 살랑살랑 봄이 오면 예쁘게 차려입고 화장도 하고 봄 마중을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진다. 하지만 건조한 날씨와 황사로 인해 눈이 수시로 따갑고 뻑뻑해지며 눈물까지 더 나는 바람에 한껏 예쁘게 한 눈 화장이 지워질까 걱정되어 외출하기가 두려워진다. 왜일까? 이유는 이제는 국민병이라고 불릴 만큼 흔한 안구건조증 때문이다.

  • PDF

눈 깜빡임 수 검출을 이용한 안구 관리 프로그램 (Eye Management Program using Detection of Eyes Blink Frequency)

  • 한상욱;원예지;이화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93-696
    • /
    • 2019
  • IT 기술은 끊임없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현 인류는 기계와 더불어 살고 있다. Desktop, 스마트폰, 노트북 및 태블릿PC는 물론이고,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등장으로 기계 속 세상에 그들과 함께 살고 있다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단연 잦은 기기 사용으로 인해 가장 영향을 크게 받는 인간의 신체 부위는 '눈'이다. 휴대용 기기(Portable Device)는 휴대에 용이해야 한다는 특징 때문에 그 크기가 점차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작은 기기에 부착된 화면 역시 크기가 감소하였다. 장시간 작은 화면을 집중하여 보게 되면 눈의 피로가 금방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해 안구 건조 증 및 시력 저하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는데,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안구의 깜박임을 감지하고 일정 수치 이하로 깜박임 횟수가 미달될 경우에 안구 운동을 권장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백내장수술 안에서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안구표면 온도의 변화 (Thermographic Assessment on Temperature Change of Eye Surface in Cataract Surgery Observation)

  • 박창원;안영주;김효진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7-504
    • /
    • 2018
  • 목적 : 백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후의 안구표면의 온도변화 양상을 열화상카메라의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여 연구 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50-79세까지 75명 75안의 환자 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에 굴절교정수술, 각막관련 수술을 받은 자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자, 눈물관 이상자, 전신질환 치료 약물을 복용하는 자 등 눈물분비와 눈물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는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하였고 눈물막파괴시간 검사(Tear Break Up Time, BUT), 쉬르머 검사(Schirmer's Test), 맥모니테스트(Mcmonnies questionnaire)를 시행한 후 열화상카메라(Cox CX series, Answer., Korea)를 이용하여 안구표면의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술 전 안구표면 온도는 $35.20{\pm}0.54^{\circ}C$이었고 술 후에는 $35.30{\pm}0.53^{\circ}C$로 표면온도가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구표면 온도변화는 술전에서 $-0.12{\pm}0.08{\Delta}$ ($^{\circ}C/sec$)에서 술 후 $-0.18{\pm}0.07{\Delta}$ ($^{\circ}C/sec$)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령 별 비교에서는, 50 대군은 백내장 술 전 대상자의 안구표면 온도변화가 $-0.14{\pm}0.09{\Delta}$ ($^{\circ}C/sec$)에서 $-0.19{\pm}0.05{\Delta}$ ($^{\circ}C/sec$)으로 나타났고 60 대군에서는 $-0.12{\pm}0.08{\Delta}$ ($^{\circ}C/sec$)에서 $-0.15{\pm}0.07{\Delta}$ ($^{\circ}C/sec$)으로 나타났으며 70 대군에서는 술 전 대상자의 안구표면 온도변화는 $-0.12{\pm}0.08{\Delta}$($^{\circ}C/sec$)에서 $-0.18{\pm}0.07{\Delta}$($^{\circ}C/sec$)으로 전 연령에서 모두 유의한 안구표면 온도변화를 보였다. 결론 : 백내장 술 후에는 안구건조증 평가지표가 모두 감소하였고 안구표면 온도변화가 유의함을 보였다. 안구표면의 서모그래피 기술은 비침습적으로 안구건조증을 평가하는데 용이하였고 객관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안구건조증 연구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