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취전구물질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valuation of Odor Active Compounds using Cryofocusing - GC/FID/Olfactometry (Cryofocusing-GC/FID/Olfactometry를 이용한 악취원인물질 평가)

  • 김만구;정영림;서영민;윤인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5-176
    • /
    • 2001
  • 악취는 대기오염의 한 형태이며, 대개는 신체적 장해가 나타나기 이하의 농도에서 피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대기오염의 전구적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재 알려져 있는 화합물은 약 200만 가지로, 그 중에 약 40만종이 냄새가 있다고 한다. 냄새는 후각을 화학적으로 자극하여 원거리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후각은 냄새의 질과 세기를 종합적 혹은 분석적으로 식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냄새 물질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데, 대부분의 악취는 특정한 몇 가지 냄새나는 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많은 물질을 포함하는 다성분계이다. (중략)

  • PDF

The Comparison of $VOC_s$ Concentration in Several Industrial Complex Using Passive Sampler (Passive Sampler를 활용한 공업단지별 $VOC_s$ 농도 비교)

  • 정의석;인치경;박민수;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142
    • /
    • 1999
  • 차량의 증가와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유기용제 사용에 따른 VOC 물질의 증가는 발암성과 관련된 환경보건 및 오존의 전구물질 등 기타 복잡한 대기화학과도 긴밀하게 연루되어 있다. 또한, VOC는 공단지역에서 지역주민에게 악취를 유발시키는 있어 악취와 건강보건에 있어서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VOCs Concentrations at the Yosu Industrial Complex during the Summer (여름철 여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VOCs의 농도특성)

  • 임득용;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8-359
    • /
    • 2003
  •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삶의 질은 향상된 반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은 인체에 독성을 가지며 암을 유발하고, 오존의 전구물질(precursor),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Derwent et al., 1996) 악취를 유발하기도 한다. 악취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르캅탄류(mercaptans), 아민류(amines) 등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되며, 주로 인체의 위해성보다는 정신적ㆍ심리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감각공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 2002). (중략)

  • PDF

Estimation of VOCs Emissions from Laundries (세탁시설에서 방출되는 VOCs의 배출량 산정)

  • 김만구;박정진;정영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1-232
    • /
    • 2002
  •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은 오존생성의 전구물질 및 유해화학물질 그리고 일부는 악취물질로 작용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가지 VOCs의 배출원 중에서 세탁소도 주요 발생원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세탁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에는 퍼클로로에틸렌(PCE)과 불소계용제, 석유계 용제가 있는데 일본을 제외한 외국에서는 밀폐형기계인 PCE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약 95% 정도의 세탁소가 석유계 용제를 사용하고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111 VOCs using SPME-GC/MS (SPME-GC/MS에 의한 111종 VOCs 분석법 확립)

  • 김대원;허귀석;유혜경;홍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44-345
    • /
    • 2001
  • 대기 중에는 ppb 수준의 매우 미량으로 많은 VOC 성분이 존재하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고 적은 비용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기중의 VOC성분을 SPME-GC/MS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해성이 큰 halocarbon, aromatic, haloaromatic V()Cs 42 종(USEPA TO-14)과, 오존을 유발시키는 오존전구물질 VOCs 53 종, 국내 규제 VOCs 33종, 그리고 악취물질(국내 8종 포함 일본 악취물질 22종)을 전부 포함하는 111종의 VOC를 SPME-GC/MS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정성, 정량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저 하였다. (중략)

  • PDF

Removal of nitrogen and sulfur odorous compounds and their precursors using an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산화전리수를 이용한 질소와 황 계열 악취 및 악취전구물질의 제거)

  • Shin, Seung-Kyu;An, Hea-Yung;Kim, Han-Seung;Song, Ji-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5 no.2
    • /
    • pp.223-230
    • /
    • 2011
  • An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was applied to remove odorous compounds from non-point odor sources including wastewater pipelines and manholes. In this study, a distanc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electrolytic process was varied as a system operating parameters, and its effects on odor removal efficiencies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Odor precursors such as sediment organic matters and reduced sulfur/nitrogen compounds were effectively oxidized in the electrolytic process, and a change in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indicated that an stringent anaerobic condition shifted to a mild anoxic condition rapidly. At an electrode distance of 1 cm and an applied voltage of 30 V, a system current was maintained at 1 A, and the current density was 23.1 $mA/cm^{2}$. Under the con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hydrogen sulfide in gas phase was found to be 100%, and 93% of ammonium ion was removed from the liquid phase during the 120 minute operating period. Moreover, the sulfate ion (${SO_4}^{2-}$) concentration increased about three times from its initial value due to the active oxidation. As the specific power consumption (i.e., the energy input normalized by the effective volume) increased, the oxidation progressed rapidly, however, the oxidation rate was varied depending on target compounds. Consequently, a threshold power consumption for each odorous compound needs to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electrolytic ox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