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 중피종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흉막의 악성중피종과 전이성 선암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f Pleural Mesothelioma and Metastatic Adenocarcinoma by Immunohistochemistry)

  • 고경행;박창민;임명수;김유일;장일권;황준화;임성철;김영철;박경옥;박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478-487
    • /
    • 1999
  • 연구배경 :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 진단된 흉막의 악성중피종과 전이성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7종의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고 이들의 발현양상을 비교하여 두 질환을 감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염색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은 Fisher사(Fisher scientific)의 1-hour immunohistochemistry방법을 이용하였다. 종양조직은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파라핀 조직을 이용하여, $3{\mu}m$ 두께로 잘라서, $85^{\circ}C$에서 가열시킨 후 파라핀을 제거하고, 희석액과 단클론항체를 $45^{\circ}C$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각 단계마다 automation buffer로 실온에서 세척하였고, avidin-biotin-peroxidase system을 이용한 immunoperoxidase method로 염색하였다. 조직절편은 $45^{\circ}C$에서 10분간 색소원반응을 시행하였고, 대조염색은 hematoxylin으로 실시하였다. 조직 절편은 최소한 각기 다른 두 구역에서 세포질 또는 세포막이 분명하게 염색될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7종의 단일클론항체중 CK, EMA, vimentin, S-100 단백과 Leu-M1은 악성중피종과 전이성선암에서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B72-3은 전이성선암에서만 발현되었고, CEA는 전이성선암 전례와 악성중피종 42.9%에서 발현되어서 민감도는 높았으나 특이도는 낮았다. 결 론 : B72-3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은 악성중피종과 전이성선암의 감별진단에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시사되었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CEA와 B72-3을 함께 이용한다면 악성중피종과 전이성선암에 대한 감별진단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혈당을 동반한 악성 중피종 -1례 보고- (Malignant Mesothelioma with Hypoglycemia -A Case Report1-)

  • 권종범;박찬범;김진호;김경희;박규호;원용순;박건;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78-981
    • /
    • 2000
  • 중피종은 늑막의 중피세포에서 발생되는 매우 드문 종양이며, 저혈당은 비섬세포(Non-islet cell) 종양에서 발생되는 매우 드문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들은 좌측 흉강을 차지하며 저혈당을 동반한 환자에서 종양의 수술적 제거직후 증상이 사라졌으며, 조직학적으로는 국소섬유종의 소견을 보일 경우를 치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낭의 원발성 악성 중피종 -1례 보고- (Primary Malignant Pericardial Mesothelioma(PMPM) -A case Report)

  • 손상태;전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32-436
    • /
    • 1997
  • 심낭의 원발성 악성 중피종은심종양보다더 드문 질환으로 비록 와그너에 의해 1870년 처음 기술되었지만, 중피종이라는 용어는 아담에 의해 1910년 처음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보고된 예들은 부검에 의해 진단 되었다. 생존시 진단은 세계적으로도 단지 40례 정도에 불과하다. 코헨에 의하면 부검한 예 중 500,000례에서 2.2례의 빈도를 보고하였다. 최근의 고찰된 분석을 보면 생존시 진단율은 전체 예 중 19-25%정도이다. 이 보고서는 심낭의 악성 중피종의 본 흉부외과학교실의 경험한 1예이다.

  • PDF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분야별 제도운영 현황

  • 박삼배
    • 환경정보
    • /
    • 통권408호
    • /
    • pp.12-16
    • /
    • 2013
  • 석면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석면을 흡입할 경우 폐암, 악성중피종 등과 같은 치명적인 폐질환을 유발한다. 몇 년 전까지 우리의 일상생활 속 건축물의 건축자재, 자동차 부품 등에 특별한 제약 없이 석면이 여러 가지 자재로 사용되어 우리 일상생활에 분포되어 있으며 석면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분야별 석면관리제도가 추진중에 있다. 석면해체 제거작업 및 건축물 석면조사의 법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 PDF

편광현미경법을 이용한 건물의 석면조사에 관한 연구 (Asbestos Inspection in Building by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PLM))

  • 황순용;김윤신;석미희;김동오;황인욱;이철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4-315
    • /
    • 2003
  • 석면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광물로 1887년 캐나다의 케베크 지방에서 채굴이 시작되어 흡음, 단열, 내부식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값이 싸자는 이점 때문에 90%이상이 건축재료로 사용되었다. 석면은 장기간 노출될 경우 대략 15년에서 30년의 잠복기를 거쳐 석면폐증, 폐암 악성 중피종을 등을 유발하며 단 한번 진단되면 아직 이렇다할 치료방법이 없다. 대체적으로 석면폐의 경우 질병의 발생과 석면 섬유 사이에는 양-반응관계를 보이며(Beckla ke et al., 1980) 악성중피종과 폐암의 경우는 화학적 성질과 함께 섬유의 굵기, 길이, 모양 등의 물리적 성질이 질병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ippmann, 1988). (중략)

  • PDF

원발성 악성 심막 중피종 1예 (A Case of Primary Pericardial Malignant Mesothelioma)

  • 김도연;김영균;김영;장윤수;김형중;안철민;유영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99-603
    • /
    • 2004
  • 원발성 악성 심막 중피종은 예후가 극히 불량하며 심막에 생기는 중배엽성 기원의 매우 드문 종양으로 주로는 심막염, 심낭 삼출액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심낭 개창술 및 심낭 삼출액 세포진 검사에도 종양세포를 증명하기가 어렵고 이런 경우 심장 초음파와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만으로 심낭삼출액 및 심막염의 진단외에 양성 심막염과 악성 심막질환의 감별 진단이 어렵다. 최근 전신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FDG-PET)이 양성과 악성 질환을 감별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원발성 악성 심막 종양의 감별 진단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호흡곤란과 흉통을 증상으로 내원한 55세 여자 환자에서 전신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FDG-PET)을 이용하여 심막에 국한된 FDG 고흡착 소견의 원발성 심막 종양을 진단하고 조직검사상 원발성 악성 심막 중피종으로 진단하고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막의 여러 가지 양성 및 악성 종양 혹은 종양 같은 질환들의 영상 소견: 임상 화보 (Imaging Features of Various Benign and Malignant Tumors and Tumorlike Conditions of the Pleura: A Pictorial Review)

  • 배준영;김유경;강현지;권혜영;심성신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109-1120
    • /
    • 2020
  • 흉막의 종괴는 다양한 양성과 악성 종양이 있고 종양은 아니지만 종양 같은 질환들에 의해 발생한다. 일차 흉막 종양에는 고립섬유종양, 악성중피종, 그리고 원발성 흉막 비호지킨 림프종이 있다. 흉막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은 전이성 질환이며, 림프종,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등의 혈액 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흉수는 주로 흉막의 악성 질환과 연관이 있다. 드물지만 흉막 종양이 만성 농흉에서 생길 수 있으며, 그중 가장 흔한 것은 비호지킨 림프종이다(농흉과 연관된 림프종). 종양이 아닌 흉막 종괴로는 다양한 양성 질환에서 보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결핵, 석면 흉막판, 그리고 흉막 유리체가 포함된다. 이 임상화보에서 저자들은 흉막의 다양한 양성과 악성 종양 및 종양성 질환들에 대한 특징적인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악성 국한성 섬유성 중피종 - 1예 보고 - (Malignant Localized Fibrous Mesothelioma - Report of one case -)

  • 박해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593-597
    • /
    • 1987
  • Mesothelioma is a primary tumor of the pleura. There are two forms of mesotheliomas; diffuse form and localized form. The majority of localized mesotheliomas are benign, but the tumor with pedicle recur at 20% after removal of it. Malignant localized fibrous mesothelioma is differential diagnosed pathologically and clinically with diffuse mesothelioma. Symptoms of localized mesothelioma are generally related to the size of the tumor. We presented one case of malignant localized fibrous mesothelioma. The patient was 32 years old female and chief complaints were dyspnea and dry cough. Sputum cytology and needle lung biopsy were not able to diagnose definitely the tumor. Explothoracotomy was carried out for definite tissue biopsy. At the time of operation, huge adult head size mass was in the right thoracic cavity. The surface of the mass was nodular, multilobular and had hard consistency. Pedicle was formed above first rib and its diameter was 4.5cm. There was no adhesion except to RUL. Frozen biopsy suggested mesothelioma. Extirpation of the mass, right upper lobectomy. and partial pleurectomy were carried out.

  • PDF

개의 악성중피종의 흉강내 Carboplatin 투여 증례 (Intracavitary Carboplatin Chemotherapy in a Malignant Mesothelioma Dog)

  • 홍성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69
    • /
    • 2001
  • A 10-year-old castrated male Siba dog was presented for signs referable to pleural effusion associated with neoplasm of the thoracic cavity. The pleural effusion fluid consisted of blood and tumor cells by thoracocentesi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edimentary tumor cells revealed malignant mesothelioma. Intracavitary carboplatin was administered at 300 mg/$m^2$ every 5 weeks for 3 treatment and pleural effusion was disappeared after 3 treatments. The dog had recurrence of pleural effusion at 515 days but intracavitary carboplatin chemotherapy had no effect. It would be thought that the intracavitary carboplatin treatment was quite a useful method to control a canine malignant mesothelioma with minimal 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