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프로그램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8초

딥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탐지 연구동향

  • 최선오;김영수;김종현;김익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26
    • /
    • 2017
  • 인터넷의 발달로 인류가 많은 유익을 얻었지만 동시에 악성코드와 같은 또다른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막기 위해 시그니처 기반의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악성코드의 변종이나 제로데이 악성코드를 막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류하는 연구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안드로이드 권한과 브로드캐스트 인텐트 매커니즘의 사용 현황 및 보안 취약성 분석 (Analysis of Usage Patterns and Security Vulnerabilities in Android Permissions and Broadcast Intent Mechanism)

  • 김영동;김익환;김태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145-1157
    • /
    • 2012
  •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응용프로그램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자원이나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사용을 제어하는 보안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권한 기반 보안 모델에는 사용자의 이해 부족과 개발자의 과도한 권한 요청으로 인한 취약성이 존재한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내부 컴포넌트간 통신수단인 브로드캐스트 인텐트 메시지의 경우도 시스템 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데 반해 이와 관련된 보안정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용프로그램 권한과 브로드캐스트 인텐트 매커니즘과 관련된 보안 침해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실제 안드로이드 마켓의 일반 응용프로그램들과 악성 응용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권한과 브로드캐스트 인텐트의 사용 현황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기존 악성 프로그램의 권한 요구사항과 브로드캐스트 인텐트 리시버의 등록 사항에 관한 특성 집합을 추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설치 시점에 악성 프로그램의 특성 집합을 이용해 악성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수정 방안을 제안한다.

변종 악성코드 유사도 비교를 위한 코드영역의 함수 분할 방법 (Function partitioning methods for malware variant similarity comparison)

  • 박찬규;김형식;이태진;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21-330
    • /
    • 2015
  • 백신 프로그램이 일반화되면서 이를 우회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 악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문자열 혹은 코드 일부가 변경된 변종 악성코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백신 프로그램이 시그너처에 기반한 분석을 통하여 악성 코드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이미 알려진 악성코드라고 하더라도 일부만 변경되면 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해쉬값을 이용한 코드 비교 방법을 확장하여 일부만 변형된 악성코드를 손쉽게 탐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악성코드 전체에 대한 해쉬값 뿐만 아니라 함수 단위와 코드블록 단위로 해쉬값을 생성하여 일부만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수나 주소 등을 제거한 후에 해쉬값을 생성함으로써 상수나 주소 때문에 다르게 판단하는 오류를 제거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변형된 악성코드에 숨겨진 유사성을 해쉬값 비교로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악성 프로그램과 보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licious Program and security)

  • 신학주;김지홍;지준웅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3-226
    • /
    • 2003
  • 정보화 사회에서 네트워크는 현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알고는 있지만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악성 코드 및 프로그램인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들이 보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공격 및 전파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해킹의 위험성이 존재함을 밝힌다.

  • PDF

응용 소프트웨어 안전성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Verification System for Application Software)

  • 소우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91-197
    • /
    • 2008
  • 악성 소프트웨어로 인한 피해가 나날이 급증하면서, 컴퓨터 사용자가 보안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백신 프로그램은 악성코드가 실행된 이후에 이를 탐지한다. 이러한 백신 프로그램은 알려진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결과를 보이지만, 실행 전 응용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악성코드의 검출에 대해서는 그 기능이 없거나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 전 악성코드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응용소프트웨어의 안전성 검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안전성 검증 시스템은 악성코드의 흐름 유형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기 전 이를 탐지함으로서 악성코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드로이드 모바일 악성 앱 탐지를 위한 확률적 K-인접 이웃 분류기 (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for detection of malware in android mobile)

  • 강승준;윤지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817-827
    • /
    • 2015
  • 현대인은 스마트폰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 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실제로 해커들은 스마트폰에 악성 프로그램을 은밀하게 설치하여 장치 이용 제한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악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다르게 필요 이상의 권한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들이 요구하는 권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과 확률적 K-인접 이웃(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PKNN)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악성 프로그램과 일반 프로그램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뿐 아니라 이를 k-묶음 교차 검증(K-fold Croos Validation)을 통해 PKNN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인접 이웃(K-Nearest Neighbor:KNN) 방식과 비교하여, KNN이 분류하기 힘든 부분을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PKNN방법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제안한 방식을 최적화하는 ${\kappa}$${\beta}$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악성 앱 샘플은 Contagio에 요청하여 이용하였다.

카테고리와 권한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The Detection of Android Malicious Apps Using Categories and Permissions)

  • 박종찬;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07-913
    • /
    • 2022
  • 전 세계 스마트폰 이용자 중 약 70%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표적으로 한 악성 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글은 증가하는 안드로이드 대상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Google Play Protect'를 제공하여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악성 앱들이 정상 앱처럼 위장하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되어 선량한 일반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악성 앱을 점검하기에는 상당한 전문성이 필요하기에 대부분 사용자는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존하여 악성 앱을 탐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앱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카테고리와 권한만을 활용하여 앱의 불필요한 악성 권한을 분류하고 분류한 권한을 통해 악성 앱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상용 악성 앱 검출 프로그램'과 미탐율·오탐율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성능 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행위 유사도 기반 변종 악성코드 탐지 방법 (A Malware Variants Detection Method based on Behavior Similarity)

  • 조우진;김형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4호
    • /
    • pp.25-32
    • /
    • 2019
  • 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에 따라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의 침입 경로가 다양해졌다. 그리고 전통적인 시그니처 기반 백신은 변종 및 신종 악성코드의 침입을 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시그니처로 탐지할 수 없는 악성코드는 분석가가 직접 실행시켜 행위를 분석해 볼 수 있지만, 변종의 경우 대부분의 행위가 유사하여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종이 대부분의 행위가 유사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기존 악성코드와의 행위 유사성을 이용한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변종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행위 대상과 유사한 행위 대상을 갖는 프로그램을 탐지하는 것이다. 1,000개의 악성코드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변종의 경우 높은 유사도를 보이고, 아닐 경우 낮은 유사도를 보여 행위 유사도로 변종을 탐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알려지지 않은 실행파일의 악의적인 특징들을 분석하기 위한 행위추적 프로그램 (Behavior Tracing Program to Analyze Malicious Features of Unknown Execution File)

  • 김대원;김익균;오진태;장종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41-944
    • /
    • 2011
  • 컴퓨팅 환경에서 각종 보안 위협들의 핵심에는 악성 실행파일들이 있다. 전통적인 시그니처 기반의 보안 시스템들은 악의적인 실행파일들 중에서 알려지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런타임 탐지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런타임 탐지를 위해 시그니처가 필요 없는 정적, 동적 분석 방법들이 다각도로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악성 실행파일을 실제 실행한 후 그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행위기반 동적 분석방법들이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행위기반 분석방법들은 단순히 몇 가지 행위나 비순차적인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차후 악성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방법론에 적용하기에는 그 분석정보가 충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행위들을 분류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는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또한, 악성 실행파일을 직접 실행하는 것은 제한된 컴퓨팅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악성 실행파일을 모니터링 한 결과를 토대로 행위기반 모니터링 방법이 극복해야 될 이슈들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보안기술 IP 개발을 위한 SoC 플랫폼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oC platform for security IP development)

  • 이지훈;문현곤;이진용;김용주;백윤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55
    • /
    • 2012
  •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악성 프로그램의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악성 프로그램의 위협으로부터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모바일용 백신이 시중에 나와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반 컴퓨팅환경의 경우를 보듯이 소프트웨어만으로는 모든 악성 프로그램의 위협에 대처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하드웨어의 도움을 받는 선행연구들이 있었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Soc 구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시스템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IP를 개발/실험 할 수 있는 soc 플랫폼을 구현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