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골

Search Result 1,15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Management of Premaxilla in Patient with Bilateral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양측성 완전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전상악골에 대한 처치)

  • Lee, Ui-Lyong;Choung, Pil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2 no.2
    • /
    • pp.57-64
    • /
    • 2009
  • 전방으로 심하게 돌출된 전상악골로 인하여 구순성형술 및 비성형술의 결과가 악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변위된 전상악골의 이상적인 위치로 재위치 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에디오피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어른이 되어서도 수술을 받지 못하는 구순구개열 환자가 많이 있다. 성인이 될 때까지 수술받지 못한 양측성 완전 구순구개열 환자에서는 근육, 골, 피부, 점막의 연속성이 없어서 전상악골이 심하게 전방으로 혹은 하방, 좌우측으로 변위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구순성형술이 거의 불가능하며, 시도된다 할지라도 돌출된 전상악골 때문에 양쪽 구륜근을 봉합하여 주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이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구순성형술 전 혹은 동시에 전상악골의 재위치 술식이 필수적이다. 저자는 한국국제협력단에서 국제협력의사로 선발되어 에디오피아에서 30 개월간 근무하였다. 그 동안 다양한 양측성 완전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전상악골의 재위치 술식을 경험하였다. 저자가 경험한 전상악골의 재위치 술식(전상악골의 재위치와 골이식술 동시 시행, 전상악골의 재위치와 구개열 성형술 동시시행)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Anterior stafne bone cyst mimicking periapical cyst: a case report (치근단낭과 유사한 stafne 골낭종의 증례 보고)

  • Song, Ji-You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3
    • /
    • pp.209-213
    • /
    • 2016
  • Stafne bone cyst (SBC) is a bone defect usually located in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or mandibular angle below the inferior alveolar nerve. The cases of SBC involving multiple anterior tooth apices and penetrating the mandibular bone are extremely rare. Here we present a case of an anterior-positioned SBC mimicking periapical cyst, which penetrated the mandibular bone, with a review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이부편위자의 하악골상행지 경사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 Eun, Chun-Sun;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6 no.5
    • /
    • pp.380-387
    • /
    • 200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Methods: Thirty adult patients with clinically apparent chin deviation were selected as the chin-deviated group, and 30 adult patients with symmetric face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the frontal ramal inclination was measured, and the right and left dif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frontal ramal inclinations, the chin-deviated individuals showed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the frontal ramal inclinations of the non-deviated side were statistically greater than those of the deviated side. The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frontal ramal inclinations, with menton deviation and the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maxillary heigh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frontal ramal inclin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EFFECT OF PULSING ELECTROMAGNETIC FIELDS COMBINED WITH ANTERIOR MANDIBULAR DISPLACEMENT ON CONDYLAR GROWTH IN THE RAT (맥동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이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ang, Sang-Duk;Suhr, Cheo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0 no.3 s.32
    • /
    • pp.463-498
    • /
    • 1990
  • 전기적 자극에 의한 골성장기전의 개념을 이용하여 임상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현재 교정학을 비롯한 치과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전기적 자극의 여러 형태 중의 하나인 전자기장과 하악의 기능적 전방 이동을 유도하는 악기능교정장치가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생후 4주된 Sprague Dawley계 백서 48마리를 대조군 12마리, 실험군 36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다시 전자기장을 가한 군,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장착시킨 군,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시킨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12마리씩 실험동물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실험동물은 15 HZ의 특수 전자기장이나 하악전방이동 자치가 하루10시간씩 작용되도록 특별히 제작한 실험장치 속에 넣어 1주간, 4주간씩 사육하여 희생시킨 후 하악골을 분리하고 연조직을 박리한 후 $10\%$ formalin에 보관하였다. 하악골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0.05mm까지 계측 가능한 캘리퍼를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후연에서 이공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하악과두를 절제하여 0.5M EDTA에 탈회시켜 파라핀 포매를 하였다. 표본의 절단방향은 시상평면에 평행하게 하여 $6{\mu}m$두께로 연속절단 하였으며, 그 중 중심의 3절편을 취하여 통법에 의한 H-E 중염색을 시행하였다. 하악골 계측과 H-E 중염색 표본을 통한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주군에서 전자기장만에 노출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악골 길이가 유익성 있게 증가되었다. 2.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한 실험군은 하악골 전방이동장치만을 사용한 실험군에 비하여 하악골 길이가 증가되었다. 3. 전자기장에 노출된 실험군은 전구 연골아세포(prechondroblast)의 증식, 비대연골 세포층의 세포간질 및 연골내 골화층의 석회화가 모두 증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15 HZ전자기장의 주요작용부위는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지역 중 연골내 골화의 석회화 지역이며, 또한 이는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와 병용시 하악과두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 Kyung, Seung-Hyun;Ryu, Young-Kyu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3 s.62
    • /
    • pp.473-479
    • /
    • 1997
  • This author tried to find if the size of the frontal sinus can be used as a diagnostic aid to predict the manldibular growth pattern in growing Patients in lateral cephalogram utilizing the fact the the frontal sinus completes its growth in earlier stage but the mandible continues to grow until later. At this study, the 228 sampl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skeletal Class I, II, III malocclusions and three indicies(ANB, APDI, Wits) were measured which indicate the mandibular body length and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maxilla and mandible to evaluate their relations with frontal sinus. And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ings 1. The size of frontal sinus is highly related to ANB, APDI, Wits and mandilar body length.(p<0.001) 2. the size of the frontal sinus of the Cl III malocclusion group was on the lateral cephalogram larger than Cl I and Cl II group.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구강악안면영역에서의 낭의 영상 진단

  • Jeong, Yeo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28-636
    • /
    • 2009
  • 낭은 상피세포로 싸여있는 병적인 공간으로 내부가 액체나 반액체로 채워져 있다. 악골에서 낭은 다른 골 부위에서보다 더 흔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낭이 치아 형성 후에 악골에 남아있는 치성잔류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강악안면부에서 발생하는 낭은 연조직에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골내에서 발생하고, 법랑질 상피나 치배와 관련해 악골내에 발생하는 치낭성이다. 치낭성은 WHO분류에서 발생근원에 따라 크게 염증성과 발육성 기원의 두 가지 군으로 분류되고, 발육성 낭은 치성과 비치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악골에 발생하는 낭은 대부분이 치낭성이며 가장 흔한 악골 낭종은 치근단낭으로 염증성이고, 발육성인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도 다음으로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소아환자에서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의 발병률이 성인보다 더 높았다. 비치성낭 중에서 비구개관낭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연조직에서 발생하는 낭과 상피세포 경계가 없는 낭성 병소인 가성낭(pseudocyst)은 드물게 관찰된다. WHO에서 치성각화낭과 서회화치성낭은 파괴적 성장을 하고 재발 경향이 높으므로 양성 낭성 종양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 PDF

FREE VASCULARIZED SCAPULAR FLAP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유리 혈관화 견갑골피판을 이용한 하악골 복합결손 재건)

  • Park, Kwa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8 no.3
    • /
    • pp.339-347
    • /
    • 1996
  • Prior to the advent of microvascular surgery, conventional prosthetic rehabilitation offered limited success to re-establish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 oromaxillofacial reconstruction. Microvascular surgery provided a new frontier and there are multitude of flaps. Each flap has the benefits and limitation for the application to various defects. Advantage of the scapular flaps over other reconstructive methods include the ability to design multiple cutaneous panels on a separate vascular pedicle allowing improvement in three-dimensional relationship and osseointegrated implants can be palced to restore occlusal and masticatory function. Here I presen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mportant surgical anatomy as well as graft dissec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free vascularized scapular flap.

  • PDF

MULTIPLE MYELOMA OF MANDIBLE : REPORT OF A CASE (하악골에 발생한 다발성골수종의 증례보고)

  • Jang, Hyun-Seok;Lee, Gi-Cheol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8 no.4
    • /
    • pp.706-711
    • /
    • 1996
  • 다발성 골수증은 다양한 증세를 보이는 형질세포로부터 기원하는 악성종양으로 40세이상의 남성에서 호발되며 alkylating agent 단독, 혹은 corticosteroid와 병용하는 항암제 치료로 생존율이 크게 증가되기는 하였지만 치료후 평균생존기간의 20개월 내외로 완치율이 그다지 높지않은 형편이다. 악골에서의 발생은 극히 드물고 대개 늑골, 편평골, 척추, 골반, 두개골등에 광범위한 patchy destruction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악골에 발생할 경우 임상증상은 장기적인 무통성 종창이 가장 흔하며 때로는 동통, 악골의 팽창, 감각이상, 치아의 동요, 악골골절등을 보이기도 한다. 전신적증상으로 무력감, 체중감소, 빈혈, 신부전, hypercalcemia, hyperiviscosity syndrome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약 10%의 환자에서 전신적인 amyloidosis를 보인다. 진단은 골수생검상 골수의 plasmacytosis가 10% 이상이면서 혈장이나 뇨전기영동법에서 monoclonal globulin peak이 있을 때 가능하다. 여러 학자들은 처음에는 독립적인 고립성병소로 나타났다가 장기적으로 다발성골수종으로 이행됨을 주장하면서 장기적인 추적을 권하고 있지만 골내 고립성 형질세포종(solitary plasmacytoma in bone), 수질외 형질세포종(extramedullary plasmacytoma) 등은 다발성골수종과는 다른 질환이라 주장하는 등 아직 많은 논란이 있는 형편이다. 치료는 $4000{\sim}6000$ rad의 방사선치료와 여러 가지 약제의 복합적인 항암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소적인 병소의 경우 외과적 절제술이 추천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59세 여자환자에서 하악골에 발생된 다발성골수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w size and tooth size (치아크키와 악골크기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Ahn, Hyo-Beom;Nahm, D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3 no.3 s.98
    • /
    • pp.157-16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ooth size and jaw size. Dental stone models and cephalometric radiographic films of 87 untreated individuals were evaluated. Repeated measurements of the maximum mesiodistal width of the teeth were taken by means of a digital vernier caliper. Linear measurements of jaw size were assessed by means of a digitizer and Visual C++ program. All measurements were taken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aw and tooth size, the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le and female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regard to tooth size and jaw size 2.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the male subjec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xillary size and maxillary teeth size in female subjects 3. In male subjects, the two maxillary sizes of PTM vert-ANS vert (FH plane) and PTM vert-A yen (palatal pla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maxillary teeth size. Especially, the size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maxillary sizes. 4.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mandibular size B vert- Point J vert (mandibular plan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ndibular teeth size. As gleaned k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jaw size and tooth size was fair or little in natural occurring good occlusion.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BY THE PARTIAL GLOSSECTOMY OF THE RATS (백서 부분적 설절제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yun, Sug-Hwan;Kim, Kwang-W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5 no.5 s.52
    • /
    • pp.567-575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artial glossectomy on the mandibular growth of growing rats. Thirty one Sprague-Dawley rats four weeks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es : the first group served as the control and the second group was partially excised in the tongue of the rat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4 and 8 weeks after partial glossectomy. The changes of the rat mandibular growth following partial glossectomy were observed biometrically from dry bone specime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Partial glossectomy of growing rat produce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mandible and did not change the original shape of the mandible. 2. Among the factors affecting mandibular growth, the presence of the proper tongue size was essential. 3. Partial glossectomy of the growing rats could not change general growth of the rats whole bo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