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파트 거실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 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72-8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공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실내공간 및 구성 요소를 조사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52가구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방문에 의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배치 및 구성은 현관-거실 및 식당-방-안방의 서양적 평면보다 현관-방-거실 및 식당-안방의 한국전통공간에서 기인한 평면이 선호되었다. 둘째, 공간의 특성은 한국 전통공간의 여러 특성 중 거실-방, 거실-식당, 식당-부엌 사이의 공간 디자인에서 개방성과 폐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난방의 종류는 전체 라지에타 방식에서 전체 바닥 난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간구성 요 소 중에서 바닥은 온돌마루와 장판이, 벽은 벽지가, 천장은 방에는 평 천장, 거실에는 가운데가 매립된 천장이 선호되었고, 창문은 특히 안방의 경우 전통적 창살 문양을 선호하였다

  • PDF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소음저감대책 (Elevator Noise Control in Apartment Housings)

  • 김석홍;최석주;김종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종합전시장, 24 Nov. 1995
    • /
    • pp.95-98
    • /
    • 1995
  • 공동주택의 침실, 거실 등은 가족의 휴식처로서 매우 정숙한 환경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 많이 건설되고 있는 고층아파트에는 고속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공간절약 및 구조적 기능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통로가 침실이나 거실에 인접한 설계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아파트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인접 세대에서는 엘리베이터 가동에 의한 공기전달음 및 고체전달음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암소음이 매우 적은 야간의 엘리베이터 소음은 수면방해 및 집중력저하를 일으켜 입주자들의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완료후 엘리베이터 소음이 문제가 된 아파트에서 소음발생원인을 측정분석하고 주로 문제가 되는 고체전달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방진대책을 실시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고 이 대책안을 문제가 되는 기존아파트나 추후 건설될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소음저감대책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더 넓고 여유롭게 쓸 수 있는 가변형 아파트 인기

  • 김소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4호
    • /
    • pp.70-71
    • /
    • 2006
  • '똑같은 아파트는 싫다.' 거실, 침실 구조와 개수도 내 맘대로 내가 디자인하는 가변형 설계 아파트가 트렌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건설사들이 실내 공간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형 설계를 선보이고 있다. 가변형 설게 아파트의 트렌드와 건설사별로 가변형 구조를 어떻게 선보이는지 살펴보자.

  • PDF

옥내(屋內)의 온도(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와 목재(木材)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의 연중(年中) 변이(變異) (Annual Variation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ood in Indoor)

  • 정희석;이남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40-544
    • /
    • 1994
  • 중부 지방에서 옥내의 목재 사용 4장소별로 기후치평형함수율은 온도와 상대습도를 근거하여 계산하고 실측평형함수율은 더그러스 퍼와 상수리나무 등 7수종의 기건 시험편을 1년간 공시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된 각 장소의 연간 평균 온도과 상대습도는 아파트 안방이 $23.3^{\circ}C$와 54.9%, 아파트 거실은 $22.4^{\circ}C$와 59.5%, 사무실은 $20.1^{\circ}C$와 57.0%, 단독주택의 거실은 $19.4^{\circ}C$와 64.0%이었다. 년간 평균 기후치평형함수율과 실측평형함수율은 아파트 안방은 각각 10.2%와 9.7%, 아파트 거실은 각각 11.1%와 10.2%, 사무실은 각각 10.7%와 10.4% 그리고 단독주택의 거실은 각각 12.1%와 12.5%이었다. 카사이의 실측평형함수율은 전체 평균치보다 약간 컸었고 버즘나무와 아피통은 약간 적었다.

  • PDF

방화문 열전달에 의한 대피공간 내부의 온도영향성 연구

  • 안찬솔;여인환;안재홍;조경숙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2-173
    • /
    • 2013
  • 발코니 확장에 따른 아파트의 화재안전기준 강화를 목적으로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제 4항의 규정에 따라 현재 건축되고 아파트에는 $2m^2$이상의 대피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대피공간은 채광방향과 관계없이 거실 각 부분에서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해야 하며, 출입구에 설치되는 갑종방화문은 거실쪽에서만 열 수 있는 구조로 해야한다. 하지만 현재 시공되고 있는 방화문은 비차열성 방화문으로써 거실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방화문의 열전달 현상에 의해 대피공간 내부의 온도상승이 유발되지만 현재 방화문의 차열성능에 대한 규정이 부재하기 때문에 향후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방화문의 성능시험을 통해 대피공간과 접한 방화문 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대피공간 내부의 온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공간적 분위수 회귀분석에 의한 부산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Apartment Prices in Busan: A Spatial Quantile Regression)

  • 윤종원;박세운;정태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1호
    • /
    • pp.155-175
    • /
    • 2018
  • 우리나라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중 공간적 의존성을 반영한 연구가 많이 있으나 공간시차변수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간시차변수를 포함한 2단계 분위수 회귀분석으로 부산의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간시차변수의 회귀계수는 0.5 이상으로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어서, 인근아파트 가격이 다른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아파트 구입자는 면적이 넓고, 총층수와 거주층수가 높으며, 거실의 방향이 남향이고 바다가 보이는, 지하철역, 고등학교 및 해안에 인접한 아파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는 다르게, 산조망은 빌딩조망 보다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산조망 아파트는 거실이 북향으로 저가 아파트 지역에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분위수 회귀분석이 OLS 추정보다도 아파트가격에 대한 주택특성의 효과를 더 잘 설명하였다. 예컨대 아파트 거실이 남향인 것은 저가 아파트에 비하여 고가 아파트에서 아파트 가격에 2배 정도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고, 해안에 인접한 아파트에 대한 가격효과도 고가 아파트가 저가 아파트에 비하여 10배 정도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거실의 활용과 이용행태에 관한 비교연구 - 모델하우스와 실제거주 거실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actical Use and Behavior Pattern on the Livingroom space of Apartment)

  • 김양희;하재경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5-4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way of practical space use and user behavior pattern at the livingroom of city apartment that is the representative residential space of modern citizen. The way of study is to compare the livingroom of model house with actual condition of livingroom, through this way, we will know that livingroom is in use as the original concept of design or not. From the research which sees consequently (1) Most of the current model houses show common kind of livingroom by using typical style and arrangement of furniture (TV, couch, table, and decorations such as pictures or other artworks). (2) Actual condition of livingroom is different from model house in furniture arrangement and in using space which is set depending on the residents'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computer, desk, exercising equipments, and instruments etc.) (3)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room shows the various behavior pattern of space use as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room is a mixture of typical kind of livingroom and the livingroo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 PDF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파트 화재 위험성 분석 (Hazard analysis by fire simulation in an apartment fire)

  • 김태권;차우섭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83-388
    • /
    • 2014
  • 본 연구는 CFAST를 이용하여 아파트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인체에 끼치는 위험요소를 예측한다. CFAST 소프트웨어는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Technology 산하기관인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에서 개발되어진 모델이다. 본 해석 시나리오는 아파트 화재 재현 실험결과에 의해 검증되었다. 해석결과를 요약하면, 침실뿐만 아니라 거실과 작은방의 상황도 실험 데이터와 정성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인다. 화재 당시 거실과 작은방에 사람이 있었다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로 인하여 어지러움을 호소하거나 심하게는 구토, 마비 같은 증상이 발생되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현대 아파트 평면도와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배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Modern Apartment Floor Plan and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Floor Pla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1-278
    • /
    • 2019
  • 본 연구는 현대의 대표적인 주거양식인 아파트 공간과 우리 전통미를 살린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 배치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각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파트 공간은 생활의 편리함과 용도의 명확한 구분 때문인지 공간이 세분화된 반면에 전통한옥 평면은 각 실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아파트보다 각 실의 공간이 세분되지 않았다. 2)한옥평면도에서 대청이 거실로 변화하였을 뿐 두 평면도 모두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거실공간이 통합도가 가장 높았다. 3)한옥공간은 서로 공간이 통하는 통합성 성격이 강하지만 현대화된 한옥표준설계도는 분격성 공간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아파트에서 안방의 통합성이 높았고 한옥평면도에서는 침실과 안방은 분격성이 높았다. 5)한옥평면도에서는 옛날과 달리 툇마루의 기능이 많이 감소한 반면에 사랑방에 부속된 누마루가 분격성 공간으로 분류되었다. 아파트에서는 피난공간이 분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옥표준설계도는 현대의 생활에 적응하면서 변화되어 있었다.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신체부위별 온냉감 평가 (Subjective Thermal Comfortness Evaluation from Various Parts of Human Body in Floor-Heated Room)

  • 최호선;이구형;박종한;김동규;금종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7년도 한국감성과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 /
    • pp.102-106
    • /
    • 1997
  • 본 연구는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인간의 온냉감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바닥난방이 실시되고 있는 겨울철 아파트의 거실에 대하여 공간내의 온도분포를 조사하는 동시에 신체부위별로 온냉감을 조사하였다. 실내의 온도분포 측정은 서울과 부산의 두 장소에서 실시하였으며, 온냉감에 대한 평가는 서울에서 남자 31명, 여자 71명, 부산에서 남자 11명, 여자 23명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결과는 중앙집중식 난방이 실시되고 있는 거실의 바닥으로부터 10cm높이와 170cm 높이에서의 온도차이는 서울의 아파트가 3.2 $^{\circ}C$, 부산의 아파트가 2.$0^{\circ}C$로 나타났다. 겨울철 실내의 온냉감 조사는 하루 3 회 실시되었으며, 신체의 3개부위에 대한 온냉감과 전체적인 온냉감이 7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결과는 발과 얼굴, 무릎과 얼굴, 발과 전신사이에 온냉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과 무릎 부위가 얼굴에 비하여 추운느낌을 강하게 가지며, 전체적인 온냉감은 얼굴부위에서의 평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난방이 단순한 온도조절의 범위를 넘어 인체의 온열쾌적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의 부위별로 느끼는 온냉감을 정밀하게 평가하여 난방의 방법을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 연구의 결과는 난방의 방법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