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파트 가구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cdot$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 장성수;윤혜정
    • 주택과사람들
    • /
    • s.104
    • /
    • pp.177-204
    • /
    • 1999
  • 본 논문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이주시 아파트를 주택유형으로 선택하는 입주자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파트를 선택하는 주민의 인구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주거상태와 향후 희망하는 주거상태가 아파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로짓모형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시의 주민 2000가구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향후 아파트로 이주하고자 희망하는 주민의 특성 및 현 주거와 향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 가구의 현주거상태와 희망하는 주거수준, 그리고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이 작용하는데 현주택상황과 관련하여서는 현 주택규모가 클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희망하는 주거수준과 관련해서는 희망하는 주택의 방수가 적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한다. 이밖에 가구의 월평균소득과 월평균 저축도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시장 내부에서 해소될 수 있는 대책 마련시급

  • Kim, Hyeon-A
    • 주택과사람들
    • /
    • s.210
    • /
    • pp.20-23
    • /
    • 2007
  • 미분양 아파트가 정부 통계9만 가구 이상이고, 시장 분위기는 20만 가구가 넘어선 가운데 정부는 미분양 아파트를 임대 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시장은 냉담하기만 하다.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는 적체된 지 오래고, 남양주 진접지구 등 수도권 지역도 미분양에서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하다. 각 지역별 미분양 현황을 살펴보고,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대책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사직 쌍용 예가-부산 사직동의 명품 랜드마크

  • Choe, Bo-Yun
    • 주택과사람들
    • /
    • s.207
    • /
    • pp.94-97
    • /
    • 2007
  • 장장 15년에 걸친 재건축 과정을 통해 부산시 동래구 사직동의 명품 아파트로 재탄생한 쌍용 예가, 5층짜리 56개 동, 2270가구짜리 옛 사직 주공 연탄 아파트 단지를 2947가구의 초대형 단지로 재건출해 사직동의 랜드마크로 발돋움한 쌍용 예가를 다녀왔다.

  • PDF

Furniture Use and Needs of Apartment Residents in Haeundae, Busan (아파트 평면유형별 가구보유 실태 및 요구 - 부산 해운대 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

  • 김민경;오찬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3.05a
    • /
    • pp.69-7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rniture use pattern and needs for built-in furniture of apartment residents. The subjects were 289 housewives who live in apartment houses in Haeundae, Busan. The size of apartments was 60 $m^2$ or 85 $m^2$.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re was no any furniture pattern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specific one. That is, each family has different kinds of furniture pattern in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Also, some subjects wanted to have builted-in furniture in master bedroom.

  • PDF

주택등급표시 제도의 실효성

  • Lee, Eun-Suk
    • 주택과사람들
    • /
    • s.189
    • /
    • pp.10-11
    • /
    • 2006
  • 올해부터 2000가구 이상의 대규모 단지 아파트는 자동차나 컴퓨터 같은 일반 제품처럼 물건을 비교해보고 살 수 있다. 화장실 소음은 어느 정도이며 조망권과 일조 시간은 충분한지, 화재 · 방재 시설은 잘 갖춰져 있는지 등을 평가해 공개하는 '주택성능등급표시' 제도가 시행되기 때문이다. 이 제도에 따라 2008년부터는 1000가구 이상으로 확대 시행되며, 아파트 가격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PDF

REALTY ISSUE-미분양 주택 매입 실효성 논란

  • 조철현
    • 주택과사람들
    • /
    • s.222
    • /
    • pp.66-69
    • /
    • 2008
  • 경기 침체와 미분양 급증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건설 업체들이 늘면서 미분양 아파트 '땡처리'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시장 회복을 위해 주택공사가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 중이지만, 매입을 완료했거나 올해까지 매입할 미분양 분량은 총 5000가구(약 1조 원)에 달한다. 게다가 미분양 아파트 펀드를 준비 중인 부동산 자산 운용사에 매입 의뢰가 들어온 미분양 물량 규모만 해도 2조 원에 이른다. 결국 3조원대 상당의 아파트 땡처리 시장이 열린 셈이다.

  • PDF

Effects of Airport Noise on the Household Property Values (항공기 소음기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Lee, Sung Tae;Lee, Kwangsuc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0 no.4
    • /
    • pp.483-494
    • /
    • 2001
  • 본 연구는 항공기 소음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헤도닉가격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제공항이 인천으로 이전하기 전 서울지방항공청장이 소음피해지역(제1종, 제2종 및 제3종)으로 고시한 김포공항 주변의 아파트 가격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소음측정단위로는 세계민간항공기구가 권장하는 연속적 동등소음감지단위(Weight Equivalent Continuous Perceived Noise Level: WECPNL)를 사용하였다. 2000년도 여름에 매매된 총 220가구를 대상으로 아파트의 실질거래가격과 소음측정단위, 가구속성 및 지역관련 변수를 사용하여 헤도닉 방정식을 추정한 결과 소음변수를 비롯 아파트 평수 및 방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지역에 있어 항공기 소음의 한계내포가격은 평균 마이너스 340여 만 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추정치는 다시 말해 소음감지단위인 WECPNL이 한 단위 증가하게 되면 아파트의 평균매매 가격의 3.19%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 지역이 소음피해지역으로 고시되어 있는 상황을 매우 잘 나타내고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future prospects of the housing market in the 2010 census results (2010년 센서스결과 향후 주택시장의 전망에 관한 연구)

  • Ko, Pill-Song;Kim, D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5
    • /
    • pp.1117-1124
    • /
    • 2012
  • As a result of the 2010 census, the most severe change appears household structure chang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s constant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are to be expected. First, the changes to the center of the two-person households in four-person households would be reorganized into the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 in the center of mid-range and high-end apartments. Second, on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e sustained growth of the rental market is expected. Third, on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one-person households, one-room hous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tial urban life set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 variety of rental market boom times will come.

장려상 이태연, 주윤미, 김남성_ 강원대-Structure solution of remodeling

  • Korean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 건축구조
    • /
    • v.12 no.4
    • /
    • pp.82-83
    • /
    • 2005
  • 현재까지의 아파트 재건축은 대부분의 기존에 낮은 용적율의 저층 아파트를 용적율을 높여 고층으로 건설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증가하는 아파트 가구수는 일반에 분양함으로서 재건축 조합원인 원래의 아파트 주민과 시공사에게 경제성을 확보하여 주고, 따라서 그들간의 이해관계의 일치에 의해 재건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이 짧다는 일본의 경우도 그 수명이 37년이며 일반적으로 외국의 경우 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이 50-60년은 된다는 점을 볼 때 20년만 넘으면 재건축을 요구하는 우리나라의 아파트의 수명은 선진국에 비하여 지나치게 짧다. 재건축이 주민과 시공사의 이해관계에 의한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재건축보다는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진 않으면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PDF

Identifying the Pattern of Furniture Possession of Bedrooms in 3 Bed-reem Apartment of Korea (한국 3침실형 아파트의 침실공간 가구보유패턴 연구)

  • 이연숙;모정현;서해양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8
    • /
    • pp.92-99
    • /
    • 2001
  • During last 4 decades of industrial development, apartment has been rapidly disseminated throughout the nation. Its main progress, however, only appeared in quantity, not in quality. To promote housing industry in more way and to enhance peoples' life quality through the better housing environment, housing plan should be based on living items including furniture, appliances and etc.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to find out living items for better house plan development and furniture design. Among living items, furniture reflec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eople's lifestyle and way of living.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pattern of furniture possession which people own in their bedrooms. An in depth questionnaire survey of 600 households was carried during the year 2000. A variety of patterns were found which indicated diverse living conditions within a very similar uniform multifamily apartment complex.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s in a more systematic way and to generate new concept for both residential unit plan and furniture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