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종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포유강, 설치목), 6아종의 미토콘도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Pattern of mtDNA among Six Subspecies of Apodemus agrarius(Mammalia, Rodentia) in Korea, China, and Russia)

  • 고흥선;안용철;유정원;이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153-164
    • /
    • 1999
  •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6아종 111마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8개의 제한효소로 절단한 단편들을 blot hybridization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두 32개의 단편들이 보여졌고, 9개의 haplotype이 밝혀졌으며, 평균 발산값이 0.896에서 1.150%인 4아군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 형을 인정할 수가 있었다: [I. 아종 chejuensis (제주도, 한국)], [ll, 아종 pallescens(남서 한국), coreae(중앙 한국), 및 septentrionalis(러시아)], and [lll, 아종 manchuricus(북동 중국)와 pallidior(북부 중국)]. 그러나 아종 coreae의 일부 표본들은 다른 6아종의 표본들과 다소 차이를 보였고, 아종 pallidior의 일부 표본들은 아종 septentrionalis의 모든 표본들과 같아서 동일한 haplotype을 형성하였다. 아종 a. agrarius chejuensis는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고, 아종 corea(pallescens포함)도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며, 아종 manch-uricus와 pallidior는 아종 ningpoensis의 동아종이명이고, 아종 septentrionalis도 아종 agrarius의 동아종이명임이 재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등줄쥐는 염색체 핵형이 일정하며,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형에 약간의 변이를 보이고, 형태형질의 상당한 발산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 분류형질의 변이 정도의 파악과 아종분류의 재검토를 위하여 유라시아산 등줄주의 보다 많은 표본을 이용한 분석이 앞으로 필요하다.

  • PDF

중국과 한국에 서식하는 흰넓적다리 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Thomas (포유강, 설치목), 3아종의 형태적 형질의 변이 (Morphometric Variation in Three Subspecies of Korea Field Mice, Apodemus peninsulae Thomas(Mammalia, Rodentia), in China and Korea)

  • 고흥선;이우재;마용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03-210
    • /
    • 1996
  • 중국과 한국에 서식하는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3아종의 표본들의 4개 외부형질과 27개 두골형질들을 다변량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4개형(form)으로 나뉘 어졌는데, 한국의 월악산과 연천의 아종 peninsulae와 중국의 길림과 흑룡성의 아종 praetor 는 가장 큰 형이며, 중국 내몽고의 아종 praetor와 중국 산서와 산동성의 아종 sowerbyi는 큰형이고, 중국 북경의 아종 sowerbyi는 중간 형이며, 중국 신강성의 아종 sowerbyi는 작은 형이었다. Corbet(1978)는 아시아 대륙내의 흰넓적다리붉은쥐의 분포범위에서는 2아종 (peninsulae and sowerbyi)으로 분류된다고 하였지만, 형태적 형질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 아 종 praetor와 peninsulae가 큰 형이었고, 아종 sowerbyi는 3개의 형태로 나뉠 정도로 다양했 으므로, 단지 2아종으로만 분류할 수가 없음이 밝혀졌다. 중국과 러시아의 다른 표본들을 포 함한 계속되는 연구가 본 종의 확실한 분류의 완성을 위해서 필요하다.

  • PDF

유라시아에서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포유 강,설치 목),15아종의 형태 형질의 분석 (Morphometric Analyses with 15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Pallas(Mammalia, Rodentia) from Eurasia)

  • Hung Sun Koh;G. Tikhonov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41-355
    • /
    • 1998
  •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15 아종의 표본들의 31개 형태 형질의 분석을, 이들 아종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등줄쥐의 5개 주요 아군 (subgroup)이 나타났다:1. 가장 큰 형 , 한국 2개 섬 지역의 표본, 아종 chejuensis: II, 큰 형, 한국 6개 다른 지역의 표본, 아종 agrarius와 pallescens: III. 다른 큰 형, 서부 러시아 Astrachan의 표본, 아종 volgensis: IV, 중간 크기 형, 동부 아시아의 16개 지역 (북한, 중국, 동부 러시아)의 표본, 아종 coreae, manchuricus, pallidior, ningpoensis와 insulaemus): V, 작은형, 서부 아시아와 유럽의 16개 지역 (카자스탄, 러시아, 리튜아니아, 우크라이나) 의 표본, 아종 tianschancus, ognevi, agrarius, septentrianalis, nikolski, caucasicus, and karelicus). 본 형태 형질의 분석의 결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종 chejuensis는 Johnson과 Jones (955)이 밝힌 대로 가장 큰 형이다: 아종 pallescens는, 고 (986)가 제안한 바대로, 아종 coreae의 동종이명이다: 한국의 아종 coreae는 큰 형으로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다른 12 아종과 다르다: Corbet (1978)가 제안한 동부 아종인 ningpoensis는 중간 크기의 형을 보이는 중국과 동부 러시아의 표본들 (아종 manchuricus, pallidior, ningpoensis와 insu-laemus)이며, 북한의 표본들도 포함된다: 작은 형인 서부 아시아와 유럽의 표본들 (아종 tianschanicus, ognevi, agrarius, septentrionalis, nikolski, caucasicus, and karelicus)은 Corbet (1978)가 제안한 서부 아종인 agrarius이다: 또 다른 큰 형인 서부 러시아의 아종 volgensis는 서부 아종인 agrarius와 다른 독특한 아종이다. 그러므로, 등줄쥐의 15아종은 5아종 (chejuensis, coreae, ningpoensis, agrarius. and volgensis)으로 재분류할 수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이 종의 완전한 분류를 위해서는 나머지 7개 아종 (albostriatus, maculatus, rubens, kahmanni, henrici, gloved, and harti)의 표본들의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다.

  • PDF

Botrytis cinerea와 Colletotrichum acutatum에 항균활성을 갖는 점액세균 Sorangium cellulosum에 대한 아종 분류 및 길항 특성 연구 (Subspecies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Two Groups of Antagonistic Sorangium cellulosum against Botrytis cinerea and Colletotrichum acutatum)

  • 구태훈;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213-220
    • /
    • 2018
  • 섬유소 분해 점액세균인 Sorangium cellulosum 균주들 중 Botrytis cinerea에 길항력을 갖는다고 보고한 4균주(Antagonistic to Botrytis, AB 계열)와 Colletotrichum acutatum에 길항력을 갖는다고 보고한 2균주(Antagonistic to Colletotrichum, AC 계열)를 5가지(A-E)의 S. cellulosum 아종(subspecies)으로 분류하였다. 분류 기준 유전자인 xynB1, bglA2, groEL1 세 유전자의 유전자 유무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AB 계열은 아종 C, AC 계열은 아종 D로 분류하였다. 또한, 배양추출물을 고효율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한 아종 분류 결과 AB 계열 4균주는 머무름시간 20-22.5분에 유사한 특징 피크가 나타난 반면, AC 계열인 2균주는 특징 피크가 없으므로 AB 계열은 아종 C, AC 계열은 아종 D임을 재확인하였다. AB 계열 4균주들의 배양여액을 사용하여 방울토마토에 전처리 후 B. cinerea를 접종한 생물검정으로 방제가와 크로마토그램 특징 피크의 상대 면적값과의 상관분석 결과, 피크 면적이 큰 균주일수록 방제가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R^2=0.9652$)를 확인하였다. 아종 분류 결과 AB 계열은 아종 C의 대표 생리활성 물질의 파생물인 epothilone D로 추정되어, 이를 표준시료로 HPLC 분석한 결과 epothilone D의 머무름시간은 9.9분이었던 반면, KYC 3270 특성 피크의 머무름시간은 11.581분으로 달랐다. 따라서 우리는 AB 계열이 분비하는 생리활성 물질은 epothilone의 파생물인 7-ketone epothilone D로 추정하였다.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표지자를 이용한 한국꿩의 유전적 다양성 및 아종간의 유연관계 분석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Korean Phasianus colchicus karpowi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ubspecies of Phasianus spp.)

  • 윤성일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66-75
    • /
    • 2008
  • 한국꿩 (Korean ring-necked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과 외국 아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야생 한국꿩, 사육 한국꿩, 사육 한국꿩과 외국꿩간의 잡종꿩,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을 대상으로 ISSR 표지자 분석과 AM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야생 한국꿩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4.08%가 서식지 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고, 5.9% ($\Phi$st=0.059)가 서식지간 차이에 기인하였다. 사육 한국꿩이 유전적으로 야생 한국꿩 보다는 외국꿩 4아종과 가깝게 나타났다. AMOVA분석과 cluster분석에서 사육 한국꿩이 야생 한국꿩은 물론 외국꿩 4아종과도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육되고 있는 한국꿩은 한국꿩과 외국 아종간의 다양한 교잡에 의해 생겨난 잡종일 가능성이 높다.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6.63%가 아종내 개체간 차이에 기인하고. 3.4% ($\Phi$st=0.034)로 아종간 차이에 기인하여 외국꿩 4아종의 아종간 유전적 차이가 야생 한국꿩의 서식지간 차이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분석에 사용된 외국꿩 4아종이 형태적으로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유전적으로는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7서식지의 야생 한국정과 외국꿩 4아종을 각각 야생 한국꿩 그룹과 외국꿩 그룹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유전변이 중 그룹간 차이의 비율은 17% 이상(그룹 내 서식지/아종간 차이는 약 4%)으로 야생 한국꿩이 아종 관계인 외국꿩 4아종과 상당한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결과에서 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의 외국꿩 3 아종은 유전적으로 외국 아종에 가까운 사육한국꿩, 잡종꿩과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하면서 야생 한국꿩 그룹으로부터 98% 신뢰수준에서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 분포

  • 이준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8-379
    • /
    • 2003
  • v. Martens(1905)은 국내 다슬기과 담수패류를 모두 1속 15종 및 3아종으로 기록하였다. 그 후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형태 및 분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여 근래에 이르러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는 3속 7종 및 1아종(Choi &. Yoon, 1997), 3속 6종 및 1아종(Kwon et al, 2001)으로 정리하고 있다. 다슬기과 패류는 서식지에 따른 형태 변이가 매우 심하고, 또한 v.Martens(1905)에 의하여 발표된 18종의 동종이명 정리에 대한 국내외 학자간의 견해 차이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현재까지도 정확한 종 동정과 분류가 난해한 분류군인다. (중략)

  • PDF

한국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Muridae, Rodentia), 3아종에 있어서의 형태적 형질들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 Variation of Morphometric Charactera among Three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Pallas (Muridae, Rodentia), from Korea)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2-282
    • /
    • 1986
  • 한국산 등줄쥐 3아종(Apodemus agrarius coreae, A. agrarius pallascens, and A. agrarius chejuensis)에 속하는 표본들의 형태적형질들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제주도산 A. agrarius chejuensis는 다른 한반도산 두 아종과 형태적인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이 아종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 규명할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워졌다. 또한 A. agrarius coreae는 A. agrarius pallescens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다고 밝혀졌으므로, 후자는 전자의 synonym으로 결론내렸다.

  • PDF

한국산 박새속(참새목, 박새과) 조류의 계통진화 (Systematic and Evolutionary Study on the Genus Parus(Passeriformes : Paridae) in Korea)

  • 박병상;현재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7-28
    • /
    • 1990
  • 한국산 박새속(Parus) 6종 및 아종 11개 집단 159개체를 재료로 전기영동을 실시, 이들의 계통분류 및 종분화를 조사하였다. 박새(P. major) 3아종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일반적인 조류의 유전적 변이정도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나머지 좋은 변이정도가 낮았다. 박새 3아종의 집단 간 및 아종 간 유전적 근연치는 공히 S=0.95 이상으로 높았으며 이들은 집단간 근연치와 아종 간 근연치가 유사하였다. 종간에는 박새(P. major)와 곤줄박이(P. varius varius)의 유전적 근연치가 S=0.80으로 제일 높았고 쇠박새(P. palustrius hellmayri)와 진박새(P. ater amurensis)가 S=0.67로 제일 낮았다. 4종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72로 일반적인 조류의 근연치와 유사하였다. 이들의 분화연대를 추정한 결과 쇠박새는 약 180만년 전에 박새속 조류의 공통조상에서 분화되었다고 추정되며 그후 진박새는 약 160만년전, 곤줄박이는 약 100만년 전에 각각 분화되었고 박새 3아종은 약 10만년 전후에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아시아에서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설치목, 포유강) 8개 아종의 형태적 형질들을 사용한 다변량 분석 : 한국의 제주도의 아종 chejuenesis 의 분류학적 위치 (Morphometric Anlayses with Eight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Pallas (Rodentia , Mammalia) , in Asia : The Taxonomic Status of Subspecies chejuensis at Cheju island in Korea)

  • 고흥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2호
    • /
    • pp.179-188
    • /
    • 1991
  • 한국의 제주도에 서식하고 있는 등줄쥐의 한 아종인 Apodemus agrarius chejuensis의 분류학적 위치의 파악을 위하여, 아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중에 터키,중국,대만,만주 및 한국에서 채칩된 8아종(agrarius, ningpoensis, pallidior, chevrieri, insulaemus, manchuricus, coreae 및 chejuensis), 311마리의 표본들을 사용하였다. 4개 외부형질과 27개 두골형질들을 측정하였고 cluster, principal components 및 discriminant 분석등의 다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4개형(form)으로 나뉘어졌는데, chejuensis는 가장 큰 형이었고, 큰 형인 chevrieri는 Wang(1985)에 의하여 종으로도 기술된 바가 있다. 중간 크기의 형과 작은 크기의 형은 각각 coreae와 나머지 5개 아종(agrarius, ningpoensis, pallidior, in-sulaemus 및 manchuricus)이었으며, 연속적 변이를 나타냈다. 제주도의 chejuensis(가장 큰 형)는 등줄쥐의 다른 6개 아종(중간과 작은 크기의 형들)과 형태적 형질에 있어서 불연속적 차이를 보였으므로 신종으로 판단되지만, 신종으로서의 기재를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 PDF

한국과 북동 중국에 서식하는 등줄쥐 2아종,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and A. agirarius manchuricus Thomas (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의 다양성 (Diversity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in Two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srarius coreae Thomas and A. asrarius manchuricus Thomas (Mammalia, Rodentia) from Korea and Northeast China)

  • Koh, Hung-Sun;Jinxing Wang;Lee, Bae-Kun;Heo, Seon-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49-57
    • /
    • 2001
  • 중국과 북동 중국에 서식하는 등줄쥐 2아종 (Apodemus agrarius coreae와 A. agrarius manchuricus)의 아종 내의 유전자 다양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2아종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의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열 여덟마리의 A. agrarius coreae로부터 10 haplotype이, 그리고 2마리의 A. agrarius manchuricus로부터 1 haplotype이 밝혀졌다. 아종 coreae의 10 haplotype간의 Tamura-Nei nucleotide 거리는 0.36에서 1.86%였고, 2아종 coreae와 manchuricus간의 nucleotide 거리는 0.37에서 1.47%였다. 아종 coreae내 최대 genetic divergene 거리는 2아종간의 최대거리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2아종의 11 haplotype을 비교했을 때에, 뚜렷하게 아군으로 나뉘어지지 않았다. 본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의 형태적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cytochrome b 유전자는 A. agrarius의 2아종을 구분하기에 좋은 유전자 marker가 아닌 것으로 판단됐다. 앞으로, A. agrarius의 2아종간의 유전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region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