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이덴티티

Search Result 31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ntegrated Brand Identity System (통합적 브랜드아이덴티티 시스템)

  • Guo, Zhi;Kim, su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3-304
    • /
    • 2019
  •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다른 브랜드와 차이를 극대화하고 브랜드 자산을 창출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통일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모델이 없는 상황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에 큰 어려움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다음 아커(David A.Aaker), 손일권, 휠러(Wheeler) 세 학자들이 브랜드아이덴티티 시스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종합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추출하였다.

  • PDF

A Study on Web Identity of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Focused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연구 -영어, 일어,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Kim, Mirea;Hwang, Jung-Hy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93-4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대학학위 과정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외국어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규명의 필요성과 규명된 웹 아이덴티티와 학습동기유발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는 타 교육 분야보다 각 민족 언어의 아이덴티티가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바 있는 웹 아이덴티티 분석 기준에서 출발하여 온라인 교육 콘텐츠 측면에서 이를 적용 및 재해석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의 웹 아이덴티티 기준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년제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국내 0 사이버대학교의 외국어 교육 콘텐츠(영어, 일어, 중국어)의 사례를 웹 아이덴티티를 구현하는 세부 요소--시각디자인측면, 사운드측면, 인터페이스측면--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각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교육 효과 획득을 위한 학습동기유발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와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되지 않은 채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 간의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 학습동기유발 효과를 비교하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에 있어서 웹 아이덴티티의 개발과 적용이 외국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학습동기유발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Local government visual identity design and public facilities harmony research (지자체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공공시설물의 조화성 연구)

  • Song, Su-Mi;Lee,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22-225
    • /
    • 2009
  • 오늘날은 국가 중심의 경쟁구도에서 벗어나 도시가 국가경쟁력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시대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시 브랜딩과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관련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시각적 통합을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도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비주얼 아이덴티티의(C.I, 캐릭터, 슬로건) 제작에만 치중한 나머지,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적용되는 공공시설물과의 조화는 고려되지 않은 채, 여러 요소가 혼재, 남발되어 제작의도와는 반대로 오히려 도시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부재와 전문성 결여로 인해 목적의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어 비용이나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비주얼 아이덴티티는 결과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때 비로소 도시의 정체성과 질서가 바로 세워진다. 본 연구는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가장 우선시 되는 조화성을 중심으로 경기도 안산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와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도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가이드라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Course Preferenc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Web Identity in e-Learning (이러닝에서의 웹 아이덴티티 적용에 따른 과목 선호도 연구)

  • Hwang, Jung-Hye;Lee, Hyung-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00-20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쌍방향으로 대화할 수 있는 첨단의 교육환경인 이러닝의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닝에서의 콘텐츠 디자인은 교육의 효율성과 수월성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에서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있어 웹 아이덴티티 적용의 필요성과 그 개념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이러닝에서 웹 아이덴티티가 학습에 미치는 효율적 작용을 연구하였고, 실증적 조사연구를 통해, 이러닝에서의 웹 아이덴티티 구현과 과목 선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설은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이러닝 콘텐츠는 과목 선호에 영향을 주어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로 설정하였으며, 사이버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웹을 통한 이러닝에서 학습 콘텐츠에 웹 아이덴티티 적용 유무에 따른 과목 선호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에서 웹 아이덴티티 구현이 과목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Korean Related Identities of the OCLC WorldCat Identities Network (OCLC WorldCat Identities Network의 한국 관련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Yoon, Cheong-O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4
    • /
    • pp.451-47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ing of Korean related personal identities included in the OCLC WorldCat Identities Network and propose how to improve its errors. With twelve samples of English and Korean personal and subject identities, their related identities and works were examined, and their bibliographic records were retrieved from WorldCat. In searching WorldCat, inconsistencies in default search queries and the processing of identities with a date or a fuller form of name were observed.

The Role of Color Identity on Building Airlines's Brand Image (브랜드 연상 형성에 미치는 항공사 컬러 아이덴티티의 역할)

  • Yoon, Moon-Sun;Yang, Guen-Ae;Jin, Ch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8
    • /
    • pp.119-12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efficiency in establishing brand identity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local airlines' use of color identity on consumer's brand awareness. Case analysis on color image has first been implemented. And then an empiric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consumer's brand awareness based on color image and correlation of an airline company's image with its color image on formation of brand image. Airline's use of color identity, associated with color im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brand association. Also, the importance of color application will be raised identifying that it has a positive impact in establishing domestic airline's brand identit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omestic airlines in emerging as global leaders with distinct brand identities and competitive edg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uggest continuing research focusing on new aspects in sensuous consumption behavior given that existing researches on airline's brand have been limited to human services, system, and flight operation.

SNS 환경의 아이덴티티 공유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Lee, Hyung-Hyo;Choi, Hyang-Chang;Kim, Ji-Hye;Cho, Sang-Rae;Jin, Seung-Hun
    • Review of KIISC
    • /
    • v.19 no.1
    • /
    • pp.103-114
    • /
    • 2009
  • SNS (Social Network Service) 사이트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비롯하여 친구 정보, 설치된 응용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아이덴티티를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SNS를 통해 공유되는 아이덴티티는 개방과 공유를 중심으로 하는 웹2.0 환경에서 어떻게 관리되고 운용되느냐에 따라 SNS 사용자들에게 이득이 되거나 피해로 다가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앞으로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SNS 서비스에서 웹 2.0의 아이덴티티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해 연구하고 구축된 Mockup SNS 사이트에서 구현한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이용이 아이덴티티 소유자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과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의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A Validity Study on Brand Identity-based Strategy Model for Culture Content's One Source Multi Use : A Case Study on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 모델의 타당성 연구 : <해리포터 (Harry Potter)>를 중심으로)

  • Kim, Young Ja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2
    • /
    • pp.289-313
    • /
    • 2013
  • According to many researches on brand management, the decision makings on brand marketing should center on the brand identity. Based on the brand management theory,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y has been suggested, in which the decision makings for culture content's OSMU should be focused on the brand identity of content to maximize the brand equity.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uggested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y model is empirically studied, together with the effect on the brand equity. The study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Harry Potter T-shirt with the associations of 'magic, courage and confrontation against evil' proved that consumers respond more favorably in terms of their recognition of the fit-to-content, pre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With this result, the positive effect of brand identity-based OSMU on consumer attitude is verified.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identity bearing T-shirt on brand equity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brand identity-based OSMU has the positive feedback effect on the brand equity of culture content. Still, while the brand equi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long period of time with consumer's consistent experience on the certain culture content, the effect of brand identity-based OSMU on brand equity has a room for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hile the ultimate goal of marketing is to create the power brand with high brand value, the further discussion on the effective culture content OSMU strategy to create a power brand is needed.

The Linkage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 Image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 관련성 연구 : 특정 제품군 내 브랜드 포지셔닝을 중심으로)

  • Park, Pum-So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8
    • /
    • pp.89-101
    • /
    • 2010
  •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long-term ad campaign for building of brand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dentity as a viewpoint of a company and brand image in a viewpoint of consumer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advertising played an important role to make brand identity. In specific, a long-term ad campaign with a consistent concept and message wa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to imbue clear and differential brand traits. In addition, it is discovered that the consistency and durability of advertising message for the advertised brand are contributed to consum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brand. This result was revealed from the comparison of print advertisements for two brands-'Chamisul fresh' and 'Chumchurum', which are alcoholic brands on an intense competition in the same soju market in Korea. While Chumchurum has been consistently focused on one core trait for the brand, Chamisul fresh has been concentrated on multiple brand traits in the advertising campaign for four years since the brand had been launched.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and Strategy of Corporate Identity Design in Interned environment (인터넷 환경에서 기업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석 및 전략해 관한 연구)

  • 김남훈;박수진;최인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81-289
    • /
    • 2001
  • 인터넷 환경에서 아이덴티티의 변화단계와 특성을 연구하고, 인터넷에서 독자적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선진기업사례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조형을 분석하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에 적합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