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음속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아음속/음속 이젝터의 유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f the Subsonic/Sonic Ejector Flows)

  • 최보규;김희동;김덕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아음속/음속 이젝터의 성능을 평가하고, 공학적 설계를 위한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일차원 기체역학 이론을 이용하여 이론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론해석에서는 1차노즐의 유량계수, 디퓨저의 손실계수를 도입하여, 아음속/음속 이젝터의 목면적비, 유량비, 2차정체실의 압력 등을 이젝터 압축비의 함수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해석법은 아음속/음속 이젝터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젝터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진공 펌프형 아음속/음속 이젝터 유동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CFD Study of the Vacuum-Pump Type Subsonic/Sonic Ejector Flows)

  • 김희동;권오식;최보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6-3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어떤 2차목을 가지는 축대칭 아음속/음속 이젝터 유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였다. 수치계산은 2차 정체실에서 이젝터 디퓨저 출구까지의 넓은 계산영역에 대하여, 압축성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방정식에 완전 음적 유한 체적법을 적용하였다. 축대칭 아음속/음속 이젝터 시스템에 대한 실용적 설계 인자를 얻기 위해서, 이젝터 목면적, 혼합부의 형상, 그리고 이젝터 목 길이를 변화시켜, 비교적 낮은 작동압력비로 운전되는 이젝터 유동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계산 결과들은 2차 정체실의 진공성능에 미치는 작동압력비와 아젝터 형상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활용되었다.

  • PDF

아음속/초음속 증기 이젝터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ubsonic/Supersonic Steam Ejectors)

  • 최보규;김희동;이준희;김덕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아음속/초음속 이젝터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를 목적으로, 증기 보일러로부터 발생하는 파열증기를 1차 구동유체로 하는 축대칭 아음속/초음속 이젝터 유동을 실험하였다. 과열증기는 여러형태의 아음속/초음속 노즐에 의하여 이젝터 혼합부로 방출되도록 설계되었으며, 2차정체실 내부에 있는 대기 공기는 증기제트에 의하여 혼합부로 유입된다. 실험에서는 2차정체실의 진공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넓은 범위의 이젝터 자동압력비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이젝터목에서 혼한유동의 정압은 1차 노즐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젝터 작동압력비의 함수만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아음속 초음속 패널법을 이용한 항공기 안정성 미계수 예측 (Estimation of Aircraft Stability Derivatives Using a Subsonic-supersonic Panel Method)

  • 공효준;이형로;김범수;이승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85-394
    • /
    • 2012
  • 아음속-초음속 패널법(panel method)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정적 안정성 미계수와 동적 안정성 미계수 및 조종미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용된 코드는 아음속-초음속 소스(source)와 말굽 와류(elementary horse shoe vortex)의 분포를 사용하고, 그 분포의 크기는 얇은 물체 근사(thin body approximation)을 적용하여 간략히 한 경계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항공기에 부착된 물체 좌표계에서 준정상(quasi-steady) 해석을 통해서 항공기 3축의 댐핑 계수를 예측하였다. 개발된 코드는 삼각날개(delta-wing)의 중립점(neutral point), 롤, 피치 댐핑 계수의 이론치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F-18의 정적, 동적 안정성 미계수와 조종 미계수를 풍동 시험치와 계산치에 비교하여 개발한 코드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추기 펌프형 아음속/음속 이젝터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Computational Study of the Bleed-Pump Type Subsonic/Sonic Ejector Flows)

  • 김희동;권오식;구병수;최보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485-490
    • /
    • 2000
  • This paper dipicts the computational results for the axisymmetric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with a second throat.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based on a fully implicit finite volume scheme of the compressibl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in a domain that extends form the stagnation chamber to the ejector diffuser exit. In order to obtain practical design factors for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the ejector throat area, the mixing section configuration, and the ejector throat length were changed in computations. For the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operating in the range of low operation pressure ratio, the effects of the design factors on the flow are discussed.

  • PDF

추기 펌프형 아음속/음속 이젝터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Computations of the Bleed-Pump Type Subsonic/Sonic Ejector Flows)

  • 최보규;구병수;김희동;김덕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2호
    • /
    • pp.269-276
    • /
    • 2001
  • This paper dipicts the computational results for the axisymmetric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with a second throat.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based on a fully implicit finite volume scheme of the compressibl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in a domain that extends from the stagnation chamber to the ejector diffuser exit. In order to obtain practical design factors for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the ejector throat area, the mixing section configuration, and the ejector throat length were changed in computations. For the subsonic/sonic ejector systems operating in the range of low operation pressure ratio, the effects of the design factors on the flow are discussed.

논문 : 반응기체 해석을 위한 음속 및 음속에 따른 해의 정확성 연구 (Papers : The Speed of Sound for Reacting Gases and Effects of the Speed of Sound to Accuracy)

  • 김규홍;이경태;김종암;노오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9
    • /
    • 2002
  • AUSMPW+의 해의 정확성은 음속의 정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음속, 천음속 그리고 초음속 유동 영역에서 제어면의 음속의 해의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AUSMPW+에서 정의된 음속의 특징은 충격파 포착시 정확성 향상과 엔트로피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팽창충격과 현상을 제거로 요약될 수 있다. 수학적 증명과 수치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반응 기체로 확장하여 평형, 비평형 기체에 대해서도 충격파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는 음속을 제시하였고 이를 여러 가지 수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공력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anyang Low Speed Wind Tunnel)

  • 고광철;정현성;김동화;조진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2-98
    • /
    • 2003
  •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설계요구사항에 따라 균일도 증가 및 난류도 감소를 위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신뢰성 있는 풍동실험을 위해 먼저 풍동 시험부의 균일도와 난류강도 특성이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한양대학교 중형 아음속 풍동의 비균일도와 난류강도는 세 부분의 속도영역에서 피토관과 X형 열선프로브로 각각 측정되었다. 풍동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비균일도가 작아졌으나 시험부의 측정단면이 확산부에 가까워질수록 비균일도가 크게 나타났다. 난류강도는 시험부 중앙에서 설계 요구조건에 비해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공동을 이용한 초음속-아음속 평행류에서의 혼합증대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Mixing Enhancement of Parallel Supersonic-subsonic Wakes Using Wall Cavities)

  • 문성목;장세명;김종암;이경훈;김인수;안수홍;우관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3-356
    • /
    • 2010
  • 평행 초음속-아음속 후류유동에서 혼합증대에 관한 수치적인 연구를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실험에서 사용된 조건으로 정확하게 수치적으로 모사하는데 있다. Pitot 압력을 이용하여 수치계산결과와 실험치와 비교하였을 때 서로 일치된 결과를 얻었으며, 그 중에서 압축성 수정을 가미한 $k-{\omega}$ SST 난류모델의 계산결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기존의 유동조건에서 공동의 위치, 배열수에 변화를 주면서 혼합특성을 비교/연구하였다.

  • PDF

이중모드 램제트 연소기 연소특성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ombustion Characteristic for Dual Mode Ramjet Combustor)

  • 심창열;남궁혁준;김선용;이민수;박주현;김동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5-3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탄화수소 계열 케로신 연료를 적용한 이중모드 램제트 연소기에 대하여 마하수 3.5~6.0 조건에서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릍 통해서 격리부, 상부(초음속)연소실 및 하부(아음속)연소실 내부의 온도와 압력분포를 측정하여 연소실 내부의 연소특성을 연구하였다. 마하수 3.5~5.0 까지는 아음속 연소 모드로서 하부 연소실에서 램연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하수 6.0 조건에서는 인젝터에서 분사된 연료가 자연발화하여 상부 연소실에서 초음속 연소가 성공적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