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세트알데히드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8초

수확 후 고온처리가 참외의 저온장해 완화와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Heat Treatment on Alleviation Chilling Injury and Improvement Storability of Oriental Melon)

  • 강호민;박권우;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7-143
    • /
    • 2005
  • 저장전 고온처리($38^{\circ}$, 48시간)는 참외의 당도, 산도, 비타민 C의 함량과 ${\alpha}$-tocopherol 활성을 높였으며, $3^{\circ}C$의 MA저장중 생체중 감소 이산화탄소, 에틸렌그리고 아세트알데히드 발생량을 낮게 유지시켰다. 또한 저장후 외관상 품질, 경도, 당도, 산도, 비타민 C, ${\alpha}$-tocopherol 활성 등 내적품질이 고온처리한 참외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는데 특히 저온장해정도를 알 수 있는 이온용 출량이 고온처리구에서 낮아 수확후 고온처리로 저온장해가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온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는 저장 25일부터 Alternaria rot이 발견되었으나 고온처리구는 저장 종료일인 39일까지 부패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외관상 품질에 대한 저장일수로 세운 회귀식에 의하면 저장수명이 고온처리구에서 8일 이상 연장되었다. 참외의 경우 저장전 $38^{\circ}C$의 낮은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함으로써 살균효과 저온장해 완화효과와 더불어 수명연장까지 얻을 수 있었다.

아세트 알데히드(특수산업)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Studies 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박임동;방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38
    • /
    • 1987
  • 아세트알데히드 공장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중화제 및 응집제의 효과를 검토하고, 4개 균주 Micrococcus roseus AW-6. Micrococcus luteus, AW -22. Microbacterium lacticum AW-38.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AW-41을 혼합 배양하여 미생물의 영양요구량 및 성장에 미치는 환경인자 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세트알데히드 폐수를 잘 자화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는 $30^{\circ}C$였고 pH는 7.0이였으며 96시간째에 COD 제거율이 최대에 달하였다. 폐수처리를 위한 중화제로서는 NaOH가 가장 좋았고 응집제의 처리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폐수처리를 위한 최적 희석배수는 10배 정도로 나타났다. 균 생육을 위한 영양원으로서는 $NH_{2}NO_{3}$ 200ppm, $KH_{2}PO_{4}$, 50ppm, $CaCl_{2}$ 15ppm. $MgSO_{4} \cdot 7H_{2}O $ ppm을 보충하였을 때 COD 제거율이 향상되었다. 회분배양 실험결과 속도계수 Kl은 4. 5X 10-6이었으며, BOD 제거융을 85%로 하기 위한 체류시간은 45시간 이었다. 연속배양 결과 COD 제거율은 85%로 나타났으며 처리수의 수질은 COD 60ppm. BOD 40ppm, pH7.0 정도로서 환경기준치 이하였다.

  • PDF

열플라즈마에 의한 TiO2-xNx의 합성 및 광촉매 특성 비교 (Synthesis of TiO2-xNx Using Thermal Plasma and Comparison of Photocatalytic Characteristics)

  • 김민희;박동화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70-276
    • /
    • 2008
  • $TiO_2$의 가장 큰 특징은 광촉매적 특성을 들 수 있으나 순수한 $TiO_2$는 자외선 영역에서만 활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초고온, 고활성을 이용한 열플라즈마 공정으로 질소가 도핑된 $TiO_2$를 합성하여 $TiO_2$의 광촉매적 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직류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하여 비금속이온인 질소와 반응 가스인 산소를 $TiCl_4$와 함께 플라즈마 반응기 안에서 반응시켜 질소가 도핑된 $TiO_2$ 나노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 조건으로 질소의 유량을 변화하였다. 합성 변수에 따른 입자의 상조성, 크기를 분석하였고 아세트알데히드와 곰팡이를 광분해하는 실험을 통해 광촉매 활성을 살펴보았다. 한편 $TiO_2$의 분말 상태와 코팅된 상태의 광촉매 특성을 비교하고자 합성한 분말의 스핀 코팅과 PLD (Pulsed Laser Deposition)을 통해 $TiO_2$를 코팅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실험의 결과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의 경우가 순수한 $TiO_2$ 분말에 비해 가시영역에서의 광촉매 활성이 두 배 이상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 분해 실험 결과 역시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에 곰팡이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말과 필름을 제조하여 메틸렌블루 광분해 실험한 결과 분말의 경우 100% $TiO_2$입자가 메틸렌블루 분해에 이용되며, 반면 스핀 코팅의 경우 바인더의 함량 때문에 20~30%의 $TiO_2$만이 분해에 이용되기 때문에, 분말의 경우 초기 30 mL 메틸렌블루를 한번에 분해할 수 있었다.

Mn 담지 미세기공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악취오염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반응 (Decomposition of Odor Pollutant Acetaldehyde Using Mn Loaded Microporous Zeolites)

  • 이형원;이희진;박영권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57-60
    • /
    • 2020
  • An acetaldehyde, a representative food waste odor, was decomposed using a hybrid system comprised of a non-thermal plasma and catalyst at an ambient temperature under high humidity. A five wt.% Mn was impregnated on two differently structured microporous zeolites, namely Beta and ZSM-5, with a different molar ratio of SiO2/Al2O3. Under high humidity conditions, the acetaldehyde degradation was higher in zeolites with the high ratio of SiO2/Al2O3. Among studied catalysts, a five wt.% Mn/Beta (SiO2/Al2O3 = 300) showed the highest acetaldehyde removal activity owing to its high hydrophobicity and reducibility. During long term stability test using the same catalyst for 110 hours, the acetaldehyde removal activity was relatively well-maintained.

금속이온 치환법으로 제조된 티타니아를 이용한 유기물 분해에 대한 연구 (Study of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using prepared Titania by Metal ions substitution process)

  • 이규환;이동석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19-22
    • /
    • 2008
  •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Photocatalytic oxidation" as an alternative technique, where the pollutants are degraded by UV-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a semiconductor suspension such as titanium dioxide. $TiO_2$ is the most often used photocatalyst due to its considerable photocatalytic activity, high stability, non-environmental impact and low cost. 1n this research,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humic acid, acetaldehyde and methylene blue in $UV/TiO_2$ systems has been stydied. The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for manufacturing of $TiO_2$ photocatalysts and type of photocatalysts on photodegradation has been investigated. Photocatalysts with various metal ions(Mn, Fe, Cu and Pt) loading are tes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tal ions impurities on photodegradation. The photodegradation efficiency with $Pt-TiO_2$ or $Fe-TiO_2$ or $Cu-TiO_2$ is higher than Degussa P-25 powder. However, the photodegradation efficiency with $Mn-TiO_2$ is lower than Degussa P-25 powder.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he nanocrystals were strongly dependent upon the crystallinity, particle size, standard reduction potential of various transition metal and electronegativity of various transition metal. As a result photocatalysts with various metal ion loading evaluated the effect of photodegradation.

  • PDF

박물관 실내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금속 부식 영향 (The metal corrosion caused by museum indoor air pollutants)

  • 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5-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내장재료, 유물포장시 사용되는 포장재료에서 나오는 실내대기오염물질로 챔버 테스트 및 오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오디 테스트 결과 금속에 따라서 목재나 시멘트에 의해 부식되는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금속의 부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목질제품은 18T HS(E0)와 9mm합판(F0,E0)이었으며, 시멘트는 6개월이 지난 시멘트였다. 유해가스 챔버 테스트 결과 대부분의 시편에서 부식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포름산,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에서 철, 구리, 청동시편의 부식이 심각하게 진행되었다. 포장재의 폭로실험에서는 저습의 조건에서 표면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나, 고습의 조건에서는 금속 시편이 변색되거나 부식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 PDF

수도권지역에서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의 계절별 발생원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ource for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Metropolitan Areas)

  • 여현구;조기철;임철수;최민규;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3
    • /
    • 2002
  • The concentrations of aldehydes were measured in downtown area of Buchun and Kwanghwamoon of Seoul from October 1997 to August 1998 using 2-series impingers. The data have been analysed to identify the seasonal pattern of aldehyde sources in metropolitan areas. The measured concentration (in ppbv) of aldehydes were 8.86 $\pm$ 7.28 HCHO (formaldehyde) and 7.79$\pm$7.29 $CH_3$CHO (acetaldehyde) in Buchun, while recording 10.13$\pm$8.58 (HCHO) and 7.64$\pm$6.65 ($CH_3$CHO) in Kwanghwamoon. Their diurnal variation pattern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HCHO and $CH_3$CHO concentration in early afternoon, indicating an increase in secondary sources. Their concentrations however decreased in the nighttime, regardless of seasons. The strength of correlations between certain pairs such as (1) HCHO and CO and (2) $CH_3$CHO and CO were generally high during the winter months (0.64< r < 0.84),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imilar source processes for HCHO, $CH_3$CHO and CO.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ummer months, their correlations are frequently lower than winter months. We suggested that the complexity of source/sink processes during the summer period may reduce the correlations between aldehyde and CO.

二酸化炭素의 放射線分解 (制1報). 알코올類 및 알데히드類 添加의 影響 (Gamma-Radiolysis of Carbon Dioxide (I). Effect of Addition of Alcohols and Aldehydes)

  • 진준하;최상업;변형직;최재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5-141
    • /
    • 1982
  • 일산화탄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의 감마선 분해반응(총흡수선량 6.7 Mrad)에서 몇가지 유기물의 첨가효과를 연구하였다.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조사할 때는 일산화탄소가 생성되지 않았으나 첨가제를 가한 경우 상당량의 일산화탄소가 생성되어 0.5%의 메탄올 및 0.25%의 에탄올의 첨가에 의해 각각 4.1 및 4.6의 최대G(CO)값을 얻었다. 또 1%의 포름알데히드 첨가에 의해서는 가장 높은 수율인 8.4의 G(CO)값을 보였고, 1% 아세트알데히드의 경우는 6.3의 G(CO)값을 보였으며 40 Mard에서 최대일산화탄소농도 0.65%를 얻었다.

  • PDF

페로브스카이트 ($La_{0.9}$$Sr_{0.1}$$CuO_3$) 전극에서 이산화탄소의 전해환원에 의한 알콜류 생성 (Carbon Dioxide Reduction to Alcoholson Perovskite-Type $La_{0.9}$$Sr_{0.1}$$CuO_3$ Electrodes)

  • 김태근;임준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77-682
    • /
    • 1996
  • 페로브스카이트 ($La_{0.9}$$Sr_{0.1}$$CuO_3$) 전극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메탄올, 에탄올등의 알콜류와 아세트 알데히드로 전해환원하였다. 전해환원 실험은 전류밀도 100mA/c$m^2$ 그리고 환원 전위 -2 to -2.5 V vs. Ag/AgCl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메탄올은 11.6%, 에탄올은 15.3% 그리고 아세트알데히드는 6.2 %의 최고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페로브스카이트 전극은 알콜생성 면에서 기타 다른 금속전극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대장균에서 사람 ALDH2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Human ALDH2 Gene in escherichia coli)

  • 곽보연;이기환;정한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8-271
    • /
    • 1997
  • 사람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aldehyde dehydrogenase(ALDH2)는 체내에서 알코올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산화시키는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ALDH2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가용화된 효소가 필요하다. 알려져 있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ALDH2의 cDNA는 cDNA 라이브러리에서 선별하였으며, 이를 여러 가지 대장균 발현벡터에 연결하였다. 제조한 발현벡터를 형질전환시킨 대장균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계에서 ALDH가 과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발현된 단백질의 대부분은 inclusion body로 형성되어, 실제로 가용화된 효소의 양은 전체 발현된 양의 5% 이하 였고 이들 몇 가지 발현 system으로 재조합 미오2DML 발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