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 among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 도금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39-155
    • /
    • 2008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2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성취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의 교사관계 적응에는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교우관계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학교수업 적응에는 여가활동 참여가, 학교규칙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receive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정옥분;김경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5-11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가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변인(학력, 직업, 가계수입) 중 어떤 변인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시의 유의수준은 $\alpha$ = .05로 하였으며 이상의 통계처리는 SPSS 10.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와 여가활동이 다소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기효능감을 잘 예언해주었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황지도의 예언도가 가장 컸다. 셋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성취동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가 다소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성취동기를 잘 예언해주었으며 특히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의 예언도가 가장 컸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여 주듯이 아버지의 역할은 자녀의 발달에 어머니 못지 않은 중요성을 지니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녀의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와 유의한 상관과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의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변화된 사회구조는 자녀양육의 문제에 있어 아버지의 참여를 요구하게 되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인식 공유와 자녀와의 많은 시간공유 등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현대 사회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으로 요구되었으며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과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여 아버지는 바람직한 자녀의 인성발달 및 여러 영역에 걸친 발달을 위하여 항상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자녀양육은 더 이상 어머니 혼자의 역할이 아닌 부모 둘 다의 몫이며 교임이므로 부모들은 좋은 가정을 만들고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으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역할수행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 Influences o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양진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7-44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fter fathers' participating in the father's program at kindergarten. Subjects were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H kindergarten, 38 fathers (18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s) and 38 mothers (wiv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ath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Findings were that : father's participant program at kindergarten affecte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reduction : the experimental group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role performance was improv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mothers' parenting str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융복합시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 김은덕;박찬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년간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의 연구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는 주된 요인이었다. 회귀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내면화와 외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관련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아의 내면화에 영향을 끼쳤다. 다른 말로 하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내면화인 우울증에 끼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었다. 그것에 기초하여, 교육과 복지 제안들이 만들어졌다.

또래수용도와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Peer Acceptance in Relation to Children's Tempera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 황영미;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3-91
    • /
    • 2006
  •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of peer acceptance to children's tempera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paternal involvement. A total of 405 children (189 popular children, 216 unpopular children; aged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were studied. The children's peer acceptance was measured by peer nomination an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were assessed by a parent reported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popular children recorded higher scores than unpopular children in sociability, activity,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 및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장영애;이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29-54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on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182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grade, gende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Secon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arenting behavior, warmth acceptance, rejection 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s, and to leisure activity, life guidance, study guidance of parenting involvement and to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children's grade, gender,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rmth acceptance behavior,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s and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parents should be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ve open commnication with their children.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Relationships among Father's Involvement in Chid-rearing,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Child's Prosocial Behavior)

  • 설경옥;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N=261) and their fathers who tved in Incheon.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Fathers who took a positive altitude to themselves and others showed more positive involvement in various child-rearing activities such as shared activities with children, supporting cognitive-social development, and child caregiving and monitoring. In addition, children reared by fathers who had a higher positive attitude to others helped their friends well. As the father's developmental support in child-rearing became more positive,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첫 신생아 아버지의 양육 지식과 양육 자신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rst-time Fathers o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 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37-545
    • /
    • 2016
  • 본 연구는 첫 신생아 아버지의 양육 지식과 양육 자신감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함이다. 첫 신생아의 아버지 136명을 대상으로 양육 지식과 양육 자신감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 통계, 상관관계, t-test, $Scheff{\acute{e}}$ test and one-way ANOVA로 연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양육 지식과 양육 자신감에서 각각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고, 양육 지식과 양육 자신감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생아 양육을 하는 데 아버지의 역할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고 양육 참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아버지들에게 맞는 양육 여건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를 조성해야 하며, 신생아 아버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첫 신생아 아버지의 양육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양육 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 (Effects of Father's Rearing Involvement and Spousal Support onPerceived Parenting Satisfaction)

  • 이은실;최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3-2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ring involvement by fathers and their wives' supports on father parent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fathers with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All fathers completed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Duke, Rose, & Halverson ,1997), Generative Fathering Inventory(Lee, Lee & Cho, 1999) and Spousal Supports for Work and Parenting(Greenberger, Goldberg & Hamill, 1990). The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ring involvement by fathers, responsibility towards their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upports from their spous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a father’s parenting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