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미설프라이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아미설프라이드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 예비 연구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Preliminary Study)

  • 이정우;박영민;이승환;강승걸;이분희;박은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41-47
    • /
    • 2011
  • 연구목적: 고프로락틴혈증은 항정신병약물로 인한 흔한 부작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임상가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고프로락틴혈증으로 인한 부작용의 심각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의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프로락틴 수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의 외래와 입원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미설프라이드 사용 전후의 프로락틴 수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미설프라이드 용량, 투약 기간과 프로락틴 수치 변화율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아미설프라이드를 투여한 모든 환자에서 고프로락틴혈증이 발생하였다. 아미설프라이드 투여 후의 프로락틴 수치는 투여 전 보다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3.702, p=0.000). 아미설프라이드 용량과 프로락틴 상승의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61, p=0.002), 아미설프라이드 투여 기간과 프로락틴 상승의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아미설프라이드 용량과 프로락틴 수치 변화율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아미설프라이드를 포함한 항정신병약물은 프로락틴 수치를 증가시켜 장 단기간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미설프라이드를 사용하는 임상의는 프로락틴 수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야 하며 고프로락틴혈증과 관련된 부작용을 평가하여야 한다.

  • PDF

조현병 환자에서 아미설프라이드에 의한 고프로락틴혈증과 DRD2 유전자 Taq1A 다형성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and Taq1A Polymorphism of the Dopamine D2 Receptor Gene in Schizophrenia Patients)

  • 김재준;서민재;최태영;이종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1호
    • /
    • pp.32-38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and the Taq1A polymorphism in the D2 dopamine receptor gene (DRD2)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prolact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amisulpride in one hundred and twenty-five schizophrenic patients. The effect of the Taq1A variants of the DRD2 on the risk of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was the main the outcome measure. The genotyping for Taq1A (rs1800497) polymorphism was performed using TaqM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ing assay.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lactin level at baseline and the 6th week after treatment with amisulpride in all the subjec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ΔProlactin (the difference between prolactin level at baseline and the 6th week after treatment) and the Taq1A genotypes.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correlations between the Taq1A polymorphism and the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e further large-scale researches on various SNPs in the DRD2 gene will establish clear goals and provide answers to the unanswered questions described in this study.

조현병 환자에서 아미설프라이드의 치료반응과 도파민 D3 수용체 유전자다형성의 연관성 (Association Study between Treatment Response of Amisulpride and Dopamine D3 Receptor Gene Polymorphisms)

  • 강승걸;이헌정;이승재;최태영;우정민;김지현;정성원;구본훈;이광헌;김정란;지익성;이종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3호
    • /
    • pp.91-96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s6280 and rs905568 genetic polymorphism of DRD3 gene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amisulpride. Methods After six weeks treatment of amisulpride, 125 schizophrenia patients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The genotyping for rs6280 and rs905568 was performed using TaqM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ing assa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genotype and allele of rs6280 between the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ased on the total, positive, and general score of PANSS and CGI-S scor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is SNP and treatment response in the negative score of PANSS (${\chi}^2=5.23$, p = 0.022).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rs905568 and the response in 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total PANSS score and CGI-S score.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positive association study between DRD3 gene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negative symptoms to amisulpride in Korean schizophrenia patients. A larger scale research on more SNP of the DRD3 gene will make a progress in the study of pharmacogenetics on the treatment response of the amisulpride.

Amisulpride의 지속 투여가 생쥐의 성별에 따른 체중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isulpride Administration on Body Weight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Mice)

  • 이효진;신윤오;전병화;박룡진;김정란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2호
    • /
    • pp.101-109
    • /
    • 2008
  • 목 적 이 연구는 수컷과 암컷 생쥐에서 amisulpride를 투여하였을 때 먹이 섭취량, 체중 및 대사 지표에 대한 영향을 risperidone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수컷과 암컷 C57BL/6형 생쥐를 저용량 amisulpride 투여군(1.5mg/kg), 고용량 amisulpride투여군(15mg/kg), risperidone 투여군(0.1mg/kg)과 Vehicle군으로 나누었다. 약물은 21일간 매일 하루에 한 번 복강 주사를 통해 투여되었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먹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다. Triglyceride(TG), glucose, insulin 그리고 prolactin은 실험 종료 시에 측정하였다(실험 22일). 결 과 암컷 생쥐의 경우,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risperidone 역시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amisulpride군의 증가량은 risperidone군의 증가량에 비해 수치적으로 작았다. 수컷 생쥐의 경우, 고용량의 amisulpride만이 유의한 체중 증가를 가져왔다. 체중 증가를 보였던 집단 중에서, 고용량의 amisulpride를 투여하였던 수컷 생쥐만이 유의하게 증가된 먹이 섭취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암컷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보였던 군들은 먹이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컷 생쥐에서, 두 개의 amisulpride 투여군 모두는 vehicle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혈장 insulin 수치를 보였다. 암컷과 수컷 생쥐에서,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은 vehicle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prolactin수치를 보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glucose는 수컷 risperidone 투여군에서만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결 론 Amisulpride는 암수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지만, 대사 이상에 대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misulpride에 의한 체중 증가에 암수 생쥐에서 서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