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메바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Amoeba proteus xD Strain의 변이주 특이성 단백질의 운영 (The Fate of Strain-Specific Protein in xD Strain of Amoeba proteus)

  • 안태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1-192
    • /
    • 1983
  • 이차원 전긱영동법에 의하여 A. proteus의 tD strain과 tD strain이 박테리아와 공생에 의해 유도된 xD strain의 단백질 양성을 비교하였다. Silver stain에 의해 비교 가능한 200여개의 주요 단백질 가운데 tD strain에서 분자량 45,000, 동전점 5.9의 특이성 단백질이, xD strain의 세포액과 공생낭에서는 분자량 29,000, 동전점 5.5의 공생 특이성 단백질이 탐지되었다. 공생 특이성 단백질은 아메바 고은 배양 및 실험 공생 아메바를 이용한 실험 결과 박테리아와 직접 연관 되어 있었다. 탐지된 두 특이성 단백질에 대하여 종전의 세포 핵 이식 및 배양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에 비추어 이들 단백질 상호 연관 및 세포내의 기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질편모충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richomonas vaginalis Contacted with Human Vaginal Epithelial Cells)

  • 김승룡;류재숙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35-244
    • /
    • 2001
  • 여성의 질에서 분리한 질편모충을 생리주기 $5\sim10$일 사이의 인체 질상피세포와 10 : 1의 비율로 $37^{\circ}C$ 항온기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질편모충의 형해를 관찰하였다. 정상 질편모충은 난원형 모양인데 비해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충체는 위족을 길게 내밀고 몸이 얇게 퍼져 아메바모양으로 변화하면서 질상피세포에 강하게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 HeLa세포에 부착된 질편모충은 난원형모양을 유지하면서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할 때 질편모충은 질상피세포에 부착할 때 질편모충의 생존에 유리한 아메바모양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카스텔란니가시아메바(Acanthamoeba castellanii) 한국 토양분리주 KA/S2의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strain KA/S2 of Acnnthamoebc castellanii isolated from Korean soil)

  • 정동일;공현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79-86
    • /
    • 1996
  • 형태적으로 Aconaqmoebcusteuon리로 동정된 한국토양분리주 KA/S2의 일부 특성을 파악하여 A. castellanii로 알려진 4가지 reference 주(Castellani, Neff, fna 및 Chang주) 와 비교하였다 K4/s2주의 mitochondria(Mt) DNARFLP와 isoelectricforusing(IEF)로 분석한 동위효소 양상은 California 토양에서 분리된 Neff주의 그것과 동일하였으나 고 외의 주들 사이에는 심한 다양성이 과찰되었다. Chang주의 형태 및 전 단백질 양상은 다른 주에 비해 독특하였다. Aconamoeba app. 분리주의 동정 및 특성 파악에 Mt DNA RFLP 분석이 매우 유용할을 확인하였다. Aconamoebacasteunil의 우리말 학명을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리소솜과 공생낭의 융합저해에서의 Lipopolysaccharide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possible role of lipopolysaccharides in the prevention of lysosome0symbiosome fusion as studied by microinjection of an anti-LPS monoclonal antibody)

  • 최의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0-284
    • /
    • 1994
  • 공생 아메바에서 리소솜과 공생낭 간에 융합이 저해되는 이유로서는 먼저 이들 공생낭의 막에 어떤 특별한 인자가 존재하여 융합을 저해하거나 또는 융합 과정에 필수적인 어떤 요소가 이들 공생막에는 부족하여 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단일 클론 항체를 추적물질로 사용하여 이들 인자나 구성요소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lipopolysaccharides가 공생 박테리아에 의하여 생산되어 공생낭의 막에 삽입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이 공생막상에서도 세포질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이들 lipopolysaccharides가 리소솜과 공생낭간의 융합 저해에 간여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단일 크론 항체를 공생 아메자의 세포질에 미세주사하여 보았다. 주사된 아메바에서는 공생낭과 리소솜간의 융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아마도 lipopolysaccharides는 융합저해 요소 중의 하나로 사료되어 진다.

  • PDF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자유생활아메바의 분류학적 접근 (Immunological approach for classification of free-living amoeba in Korea)

  • 신호준;김종환;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89-298
    • /
    • 1992
  • Acanthnmoeba sp. YM-4의 영양형은 사상의 침상위족을 내어 전형적인 각canthamoeba 속의 특징이 관찰되었으며, 포낭(씨스트)은 외벽이 등근혐이었고 내벽이 단순한 구형이거나 다소 불규칙한 2개의 세포벽을 갖고 있었다. SDS-PAGE 결과, Acanthamoeha sp. Yhf-4는 약 16개의 주요 단백질 분획이 관찰되었는데, 2차원 전기영동 결과와 함께 Acanthamoeba sp. YM-4의 단백질 분획은 A. culbertsoni와 거의 같은 양상이 관찰되었다. Acanthamoeba sp. YM-4로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myeloma 세포를 융합한 결과, 항체를 분비하는 17개 clone을 얻을 수 있었다. 생성된 단세포를 항체 중 isotyping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McAY 6, McAY 7, McAY 8, McAY 13, McAY 16 단세포군은 IgGl 항체를, McAY 10, McAY 11 단세포군은 19M 항체를 분비하였다. 생성된 단세포군 항체는 대부분이 아메바의 세포막에 있는 항원과 반응하였으며, EITB 실험결과, McAY 7 단세포군 항체는 43 kD에서 반응대가 관찰되었고, McAY 10 단세포군 항체는 55 kD과 105 kD에서 반응대가 관찰되었다. ELISA 방법을 이용한 단세포를 항체들과 여러 아메바 간의 교차반응실험 결과, McAY 7 단세포군 항체는 Acanthamoeba sp. YM-4에만 반응하였고, McAY 6과 McAY 10은 A. culbertsoni와도 반응하였다. 또한 McAY 11은 모든 아매바와 교차반응을 보였다.

  • PDF

서울 백병원 환자의 제2차 장내 기생충 검사 성적(1984-1992) (Second report on intestinal parasites among the patients of Seoul Paik Hospital (1984-1992))

  • 이상금;신보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27-34
    • /
    • 1994
  • 지난 1984년의 제1차 보고에 이어 1984년부터 1992년까지 9년간 서울 백병원 외래 및 입원환자 중 기생충검사를 의뢰한 52.552명에 대하여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 및 직접 도말법으로 대변검사를 시행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 윤충류(13종) 충란 및 원충류(5종) 포낭 양성률은 각각 평균 6.5% 및 2.5%이었다. 윤충류 종별 양성률(양성자수)은 간흡충 3.2% (1.667). 편충 2.1%(1 089) 요꼬가와흡충 1 2%(613), 회충 0.2%(100) 동양모양선충 0.06%(34). 유무구조충 0.05%(28). 왜소조충 0.03%(18). 구충 0.03%(17). 극구흡충류 0.03%(15), 폐흠충 0.02%(12). 요충 0.02%(10) 분선충 0.01%(6), 광절열두조충 0.004% (2)이었다. 원충 별로는 대장아메바 1.1%(588). 왜소아메바 0.8%(402), 람블편모충 0.3% (173), 이질아메바 0.3%(164). 장트리코모나스 0.004%(2)로 나타났다. 조사년도별로 볼 때 회 충 및 편충 등 토양매개성 윤충은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간흡충을 비롯한 패류 매개성 윤충과 장내 원충류는 양성률의 감소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전라남도 여천군 남면 연도 주민의 장내 기생충 감염상황 (Statu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in a Remote Island, Yondo, Jeonranarn-do (Province))

  • 구기수;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75-284
    • /
    • 1988
  • 1988년 2월 및 5월에 전라남도 여천군 남면 소재 연도 주민 1,011명 (남자 507명, 여자 504명)에 대하여 formalin-ether 침전법으로 장내 기생충 감염상환을 조사하고, 장내 윤충란 양성자 의 경우 감염강도를 E.P.G.로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민 1,011명중 398명 (39.4%)이 장내 기생충 양성자이었고 윤충 감염이 372명 (36.8%), 원충 감 염이 56명(5.5%)이었다. 검출된 기생충은 모두 10종으로서 편충란 양성자가 278명(27.5%)으로 가 장 많았고 그 다음이 회충 176명(17.4U, 불수정란 양성자 31명 포함), Taenia sp. 59명(5.8%)이었으며, 대장아메바 3.3%, 람블편모충 1.5%, 왜소아메바 0.8%, 왜소조충 0.4%이었고, 구충, 동 양모양선충 및 이질아메바가 각각 0.2%의 양성률을 보였다. 성별 감염률은 여자가 44.0%로 전 연령군에서 남자 34.7%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46.0%로 가장 높았고 10세 미만이 33.1%로 가장 낮았다. 회충란 양성자중 149명의 E.P.G.는 평균 1,876(범위 200∼17,800), 편충 E.P.G. 는 검사자 242명에서 평균 327(범위 200∼1,600)이었다. 장내 기생 윤충의 양성자 572명중 단일 감염은 236명 (63.4%), 2종 감염은 129명 (34.7%), 3종 감염은 7명 (1.9%)이었고, 원충시스트 양성자 56명 중 단일 감염은 53명 (94.6%), 2종 감염은 3명 (5.4%)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낙도 주민의 장내 기생충 감염률은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의 퇴치를 위하여 생환 주변 환경의 개선, 집단 치료, 보건 교육 등 적극적인 관리가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aegleria fowleri 자연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Naegzeria fowleri infected mice)

  • 이규래;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67-278
    • /
    • 1991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 뇌염을 일으키는 병원성이 강한 자유 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이 영양형을 마우스 비강에 접종시킨 후 12시간, 1일, 2일, 3일 및 5일째에 비장 세포의 자연살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51Cr 방출 경사법과 단세포 독성 검사에 의하여 표적 세포 결합능, 활성 자연살세포, Vmaz 및 재순환능을 측정하였다. 감염 마우스의 사망률은 접종 후 20일까지 76.7%이였으며 사망한 마우스의 평균 생존 기간은 12.87±0.71일이었다. 자연살세포의 독성은 아메바 접종후 12시간째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접종후 1일째 가장 증가하였다. 표적 세로 결합능간에는 경과 기간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환성 자연살세포와 재순환능은 자연살세포의 독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N. fowleri가 감염되었을 때 자연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연살세포의 독성이 증가함에 따라 환성 자연살세포 및 재순환능이 증가하였고, 표적 세포 결합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여름철 설사의 원인분류 (Causes of Diarrhea in Summer)

  • 박승함
    • 대한간호
    • /
    • 통권6호
    • /
    • pp.14-21
    • /
    • 1963
  • 여름철에 유생하는 설사의 원인의 대부분은 세균성인 것이며 이 세균성으로 인한 설사는 그 세균자체가 원인이 되는 것과 또 그 세균이 생산한 독소가 원인이 되는 것이 있다. 특히 여름에는 자연조건 즉 높은 기온과 습도가 미생물의 발육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며 겸하여 파리 등 곤충매개체가 이를 운반하는 관계상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생기는 급성위장염 즉 소위 식중독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작년만 하더라도 서울시내 일류 화식요정에서 만든 ''도시락''에 의하여 집단식중독이 생긴 사실들이 아직 우리들의 기억에 새롭거니와 세균 이외에도 이질아메바 등, 기타 원충감염으로 생기는 설사, Virus로 생기는 설사, 기타 식중독 또는 화학약제 등에 의하여 생기는 설사 등이 있는데 이를 크게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PDF

Acanthamoeba pustulosa와 A. palestinensis의 동위효소 및 rDNA PCR-RFLP 양상의 유사성 (Close relatedness of Acanthomoeba pintulosa with Accnthcmoebc palestinensis based on isoenzyme profiles and rDNA PCR-RFLP patterns)

  • 김영호;옥미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59-266
    • /
    • 1996
  • 형태학적 제3군 가시아메바의 taxonomic validity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 제3군에 속하는 6종의 가시 아메바 즉 A. culbertsoni A. healyi A. palestinensis. A. pustulosa, A. royreba 및 A. lenticulata의 type strain들의 동위효소. 미토콘트리아 DNA 및 small subunit(ssu) rDNA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양상을 비교하여 이들의 taxonomic validity를 검토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RFLP 양상은 분리주간에 서로 심한 차이를 보였다. A. palestinensis와 A. pustulosc는 거의 동일한 rDNA RFLP(추정 염기 치환율 2.6%) 및 동위효소의 양상을 보여 A. palestinensis와 A. pustulosc는 같은 종으로 판단되었다. 그외의 종들은 서로 아주 다양한 rDNA RFLP 및 동위효소의 양상을 나타내어 독립종으로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