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메바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 (Amoebicidal Effect of Nephrite-containing Contact Lens Storage Case)

  • 정재우;이종헌;박성희;유학선;김윤경;이지은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509-515
    • /
    • 2017
  • 목적: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5% 연옥을 첨가하여 제작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 증식 정도를 비교하였고, 각각의 보관용기에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에 콘택트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보관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용기에 비해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의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 1, 2 및 3세대 렌즈를 보관했을 경우에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 수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01, p=0.001, 및 p<0.001).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비해 1세대 렌즈의 경우 부착된 가시아메바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각각 p=0.03 및 p=0.004), 2 및 3세대 렌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각각 p=0.59 및 p=3.612와 p=0.450 및 p=0.462). 결론: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연옥수는 향후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차세대 물질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유생활 아메바의 냉동보관 (The maintenance of free-living amoebae by cryopreservation)

  • 서성아;용태순;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151-153
    • /
    • 1992
  • 자유생환 아메바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목적으로 냉동보관을 시도하였다. Glycerol과 Dimethylsulfoxide를 각 각 최종농도 7.5%가 되도록 아메바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아매바 영양형을 냉동하는 과정에서 온도 하강속도가 빠를때 (평균 $1.3^{\circ}C/min$)보다 느릴때 (평균 $0.7^{\circ}C/min$) 생존력이 더 높았다. 액체질소 속에서 60일동안 보관한 후의 생존율은 처음 넣어준 아메바 영양형 수의 2~39%에 달하였다. 냉동 보관했던 아메바를 해동했을 때 어떤 형태적 변화나 배양했을 때의 문제점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자유생활아메바의 병원성에 따른 자연살세포의 활성도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infected with free-living amoeba with reference to their pathogenicity)

  • 김기혁;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39-248
    • /
    • 1993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및 Acanthamoeba culbertsoni를 CSH/HeJ 마우스에 감염시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 및 활성도를 최대치가지 이르게 하는 감염 최대량을 결정하여 수막뇌염의 발생여부 및 사망율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감염시켜 자연살세포가 활성화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살세포 활성도를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과 비교하였으며, 병원성,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의 변화를 단세포 독성검사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 결합능, 활성 자연살세포, 더 나아가 최대 재순환능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4$개 감염 군에서 사망률이 5.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영양형 감염군에서는 72.2%이었다. Acnnthamoebn culbertsoni 감염 군에서의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3$개 감염군에서의 사망률은 6.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감염군에서는 65.5%이었다.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은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 모두에서 감염후 1일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감염후 2일과 5일째에는 감소하였고, 아메바 감염량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메바 감염 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활성도의 증가는 표적세포 결합능 및 활성 자연살세포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재순환능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는 자연살세포의 활성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 군과는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moeba proteus의 표면흡착에 관한 세포화학 및 생화학적 특성 (Cytoche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ular Adhesion in Amoeba proteus)

  • 안태인;곽인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80
    • /
    • 1986
  • 단백질 분해효소, neuraminidase 및 EDTA가 아메바의 배양기표면 흡착, 세포표면의 미세구조 및 생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concanavalin A(con A) cytochemistry 및 SDS PAGE에 의해 조사하였다. Con A cytochemistry에 의해 세포표면 바깥쪽의 filamentous(F)층과 안쪽의 amorphous(A)층이 쉽게 구분되었다. Neuraminidase로 처리한 아메바는 대조군에 비해 용기표면 흡착성과 펴짐이 증가하였으며 A층과 F층에 더 많은 con A결합부위가 노출되었다. Trypsin 및 proteinase K로 처리한 아메바는 각각 12시간, 48시간동안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였으며, proteinase K의 처리는 A층의 con A결합부위 및 모든 glycoprotein을 제거시키는 효과를 낳았으며, trypsin은 세포막의 PAS염색물질에는 아무런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나 A층과 F층의 con A결합부위를 제거하였다. 이들 효소 및 EDTA처리에 의해 세포 표면의 mucopolysaccharide 일부가 분리되었다. 아메바를 monovalent con A로 처리하였을 때도 아메바는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고 cytolysis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메바의 용기표면 흡착에는 세포막의 glycoprotein과 A층의 mucopolysaccharide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아메바(Amoebaproteus)의 열충격 대응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1 . 열충격 대응 단백질의 탐색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on Heat-Shock Responses in Amoeba proteus: I. Detection of Heat-shock Proteins)

  • 홍혜경;최지영안태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54-564
    • /
    • 1994
  • 세균이 세포내 공생하는 xD strain과 모 세포주인 tD strain Amoeba proteus의 열충격 대응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된 아미노산을 Ca2+_less Chalkley's 용액에서 음작용 경로를 통하여 90분 동안 흡수하게 하고, 저온 및 고온 스트레스에 대하여 새로 합성되는 스트레스 대응 단백질의 양상을 1, 2차원 전기영동 및 자기방사 사진법에 의해서 비교하였다 저온(10"C) 충격에 대응하여 아메바는 두 strain 모두 56.0 kDa, pl 6.0 단백질을 강하게 발현하였으며, xD strain에서는 tD strain과 달리 저온 충격 초기에 66 0 kDa, pl 5.5 단백질의 발현이 중단되었다. 한편 고온(33"C) 열충격에 대하여 두 strain 아메바에서 모두 10여종의 단백질이 새합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tD 아메바에는 이들 단백질의 새합성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xD 아메바에서는 그중 66.0 kDa 단백질이 고온 대응 단백질로서 신속하게 새합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2차원 전기 영동 분석을 통하여 열충격에 의해서 발현이 촉진되는 다수의 단백질들을 탐지하였다 탐지된 아메바의 열충격 단백질은 분자량에 따라 hsp100군 2종, hsp90군, 3종, hsp70군 및 hsp60군 각 1종, 그리고 small csp군 4종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두 분석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D 아메바에는 저온 및 고온 충격에 대하여 열충격 단백질의 합성이 완만하게 상승하는 데 비하여 xD strain에서는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아메바의 세포내 공생 세균은 숙주의 열충격 대응기작에 변화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한 것으로 판단된다. 10mg과 20mg의 estrogen 처리구 사이에 유두 직경, 길이 그리고 용적의 증가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10mg 및 20mg의 estrogen 처리는 초발정일령을 각각 20일 및 124일 단축시켰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송아지에 estradiol의 삽입은 성장과 유선 발달을 촉진시키고 초발정일령을 단축시킬수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지적한다. 일치하지 않으므로 더욱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여 분류학상의 위치를 정확히 밝혀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연한 도구이자 정신활동으로 보게함으로써, 주제 및 연구방법에서 획일성보다 다양성과 창조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연구에 있어서 주제 의 다양성을 통해 보다 현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할 필요성은 학문이나 과학의 사회 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 주고 있다. 이러한 지리교육과정의 좌표의 변화된 측면들 을 고려하여, 지리교육과정의 새로운 방향은 다음의 세가지로 모색될 수 있다. 첫째, 爭點中 心 地理敎育課程이다. 사회쟁점에 대한 접근은 쟁점의 이해와 문제해결에의 지리적 관점의 활용을 통해 학습내용의 시사성과 사실성을 높힐 수 있다. 이때 문제해결능력을 통해 현대 시민의 자질 및 능력을 기를 수 있음은 물론, 다른 한편으로 실제세계 즉 학생의 실생활, 사 회, 국가,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과의 관련성을 갖게 함으로써, 내적 동기화와 외적인 자극 을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개인적 유관적합성과 사회적 유관적합성을 동시 에 확보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둘째, 思考中心 地理敎育課程이다. 지리교육은 학생들을 지 식 및 기능의 숙달자가 되도록 할 것이 아니라 기본적 문장해독력의 수준을 넘어 능력있는 사고자로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여야 한다.

  • PDF

이질아메바 한국분리주 YS-27의 무균 배양화 (Axenization of Entamoeba histolytica, a Korean strain YS-27)

  • 장재경;임경일;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87-390
    • /
    • 1995
  • 1969년 8월 10일 서울 고려병원의 입원친자 김00의 간농양에서 채취한 고름을 modified diphasic배지(Faust and Russell 1964)에서 배양하여 이필아메바 한국븐리쿠 YS-27을 얻었다. 이를 1985년 2월부터 TTY-53 배지에 넣어 Crithidia와 함께 $37^{\circ}C$에서 혼합 배양하였으며 3~4일 간격으로 계대하였다 Crithidia는 Dr. L.S. Diamond(미. NIH)로 부터 분양받아 TW-SB 배지 10 ml에 500만개씩 넣어 $25^{\circ}C$에서 1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Monoxenic 배지인 TIY-SB 에서 이질아메바와 Crithidia를 혼합배양하면서 세균 제거를 위하여 배지 100 ml 당 Penicilin G 2,000-10,000 I.U.와 Streptomycin 2-10 mg을 첨가하였으며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고 monoxenic 상태로 되기까지 1년 이상 걸렸다. TIY-SB배지에러 arsenic배지 TYI-5-,B3으로 바꾸었더니 저음 이직아메바 영양형의 증식이 피지 않았으나 Crithdia를 넣어 주었더니 이질아메바의 증식이 잘 되었다. 3-4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1하였으며 수수간 배양후에는 Crithidia를 보충하지 않아도 이질아메바 영양1형만 잘 증식되었다. 이질아메바 한국분지주 YS-27은 1995년 10월 현재 TYI-5-33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지속적으로 계대 배양되고 있으며 영양형의 증식도 양호하다.

  • PDF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Acnnthamoebc lugdunensis을 KA/LS주의 내공생세균 (Bacterial endosymbiosis within the cytoplasm of Acanthamoeba Lwnunensis isolated from a contact lens storage case)

  • 정동일;공현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127-134
    • /
    • 1997
  •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가시아메바 KA/LS주의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bacterial endosymbiont(내공생세균)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숙주인 가시아메바 KA/LS주는 형태학적으로 제2군에 속하였고 rDNA PCR-RFLP 결과 A. lugdunensis로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RFLP와 동위효소 분석상 이 충주는 국내 콘택트렌즈 보존용기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는 type인 KA/L1주, 국내 임상 분리주 중 하나인 KA/E2주, 내공생세균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병원 냉각수 유래 KA/W4주 및 L3a주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내 공생세균은 약 $1.38{\;}{\times}{\;}0.50{\;}{\mu\textrm{m}}$의 크기였고, 아메바 세포질 내에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표면에 아메바의 ribosome이 부착되어 있었다. 내공생세균을 둘러싼 lacunae나 막과 같은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Legionoun 특이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PCR)에서 내공생세균의 염색체 DNA는 증폭되지 않았다 A. lugdunensis의 우리말 이름을 담수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최저살충농도의 PHMB로 처리한 각막염 유래 가시아메바 세포 미세구조 변화의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Ultrastnlctural changes of Acanthamoeba cyst of clinical isolates after treatment with 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 공현희;정동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7-14
    • /
    • 1998
  • 최근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치료제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의 가시아메바에 대한 작용 기전을 알기 위해 각막염 유래 가시아메바 4 분리주에 대한 PHMB의 최저 살충 농도 (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MCC)를 결정하고, 이 MCC의 PHMB로 처리한 포낭의 형태학적 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PHMB의 8시간과 48시간에 대한 MCC를 결정하였는데, 8시간 MCC는 KA/E1 $14.32{\;}{\mu\textrm{g}}/ml$. KA/E2 $22.45{\;}{\mu\textrm{g}}/ml$, KA/E3 $21.54{\;}{\mu\textrm{g}}/ml$, 및 KA/E4 $23.59{\;} {\mu\textrm{g}}/ml$였다. 48시간 MCC는 KA/El $3.97{\;}{\mu\textrm{g}}/ml$, KA/E2 $7.49{\;}{\mu\textrm{g}}/ml$, KA/E3 $6.40{\;}{\mu\textrm{g}}/ml$ 및 KA/E4 $4.92{\mu\textrm{g}}/ml$로 나타났다. PHMB를 처리한 포낭에서는 포낭 내 amoeb고가 심하게 수축되고 이로 인해 포낭 내벽과 분리되는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세포막 아래의 subplasmalemmal lipid droplet의 모양이 불규칙해졌다 심한 경우 세포질이 응집되고. 미토콘드리아의 cristae도 크게 감소하는 등 세포 내 소기관들도 모양이 심하게 변하였다. 포낭 내외벽은 그 형태가 비교적 잘 유지되었다. 이상의 변화들로 볼 때. PHMB는 세포막에 주로 작용하며, 세포 내 소기관들의 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시아메바의 세포막의 lipidcomposition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PHMB에 의한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 효과는 environmental biocide로서 Escherichia col거 세포벽에 있는 acidic prlospholipids에 작용하여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유사한 기전으로 일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금강(대청댐 상류) 유역 주민의 장내 기생충 및 간흡충 감염 실태 (Intestinal parasite and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mong the inhabitants in the upper stream of Taechong Dam, Kumgang (River))

  • 김종환;나영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07-214
    • /
    • 1994
  • 대청댐 상류 금강유역, 옥천 금산, 무주지역 주민의 장내 기생충과 간흡충란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10월까지 743명의 대변 검사를 셀로판후층도말법과 formalin-ether원 심침전법으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충란 및 원충시스트 총양성률은 40.8%(연충 8종. 원충 5종)이었다 각 종별 양성률은 간흡충 30.8%. Metanonim종 14.5%, Fosiola종 0.7%, Toenia종 1.5%, 회충 0.4%, 요충 0.l%, 구충 0.1%, 편충 1.6%, 대장아메바 0.7%. 이질아메바, 왜소아메바, 람블편모충이 각각 0.3%와 요드아메바 0.1%이었다 지역별 총양성률은 충청북도 옥천이 51.1%로 가장 높았고 괴음이 충청남도 금산이 50.8%이었으며 전라 북도 무주는 3개 군지역 중에서 비교적 낮은 양성률(28.6%)을 보였다. 금강 중.상류 지역에서는 간흡충과 Metagonimus종이 아직도 높은 양성률을 보이고 있으며 Taenia종도 크게 감소되지 않았으나 토양 매개성 장내 기생연충과 원충은 대단히 많은 감소를 보였다.

  • PDF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에서 발현되는 항원 단백질을 coding하는 cDNA (cDNAs encoding the antigenic proteins in pathogenic strain of Entamoeba histolytica)

  • 임경일;최종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203-210
    • /
    • 1997
  •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mRNA를 동정하고자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DDRT-PCR)을 수행하여 병원성 특이 증폭산물을 확인하였다. 한국인에서 검출한 이질아메바 병원성 분리주 YS-27과 Entamoeba dispar분리주인 S 16으로부터 정제한 mRAN를 주형으로 11개의 arbitrary primer와 3개의 one base anchored $oligo-dT_{11}M$(M: A, C 또는 G)의 조합을 이용, DDRT-PCR을 실시한 결과 31개의 분획이 YS-27주에서만 증폭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331개 DNA 중 21개는 cysteine proteinase 유전자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YS-27주로부터 제작된 cDNA library를 나머지 DNA를 탐침으로 사용, 검색하여 최종 4개의 clone을 얻었다. 이 4개의 clone을 이용, immunoscreening을 수행한 결과, 이 clone들은 이질아메바 감염자 혈청과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