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두이노 시스템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Arduino Automobil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Phone (모바일 폰을 이용한 아두이노 자동차 제어 시스템의 설계)

  • Park, Hung-bog;Seo, J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290-291
    • /
    • 2018
  • This paper suggests a design for an embedded system to control automobiles using mobile phones and applies the design on Arduino automobile models. Simulation of accidents that can happen in real life were conducted using Arduino automobile with attached sensors. The design includes algorithms for an automatic control that responds to events by detecting potential obstacles that maybe appear in the vehicle's surrounding and by measuring the distances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vehicle.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system is also reviewed.

  • PDF

An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student ID App and Arduino board (모바일 학생증을 이용한 아두이노 기반의 출입통제 시스템)

  • Yang, Seong-Min;Hwang, Kyung-Ha;Keum, Jin-Soo;Lee, Ji-Su;Jeon, Jo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346-348
    • /
    • 2014
  • 본 시스템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아두이노 보드, 웹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교내 건물에 출입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개발하였다. 학생들이 플라스틱 카드로 만들어진 학생증 없이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교내 건물에 출입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플라스틱 카드를 대체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카드를 따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학생증 분실 위험도 막을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카드 제작을 줄여 친환경의 Green IT를 실현할 수 있다. 학생인증 방법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종합정보시스템 상의 학번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서버에서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로그인 승인을 해준다. 이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아두이노 보드에 출입 요청을 보내면 아두이노 보드에 연결된 모터로 문을 개폐한다. 이외에 학생증의 본래 기능인 학생 증명 기능과 학생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휴업체의 정보도 제공한다.

An Electric Power Mete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전력 검침 시스템)

  • Baek, Deuk-Hwa;Kim, Ho-Seung;Jang, Su-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343-3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전력 소모 측정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전력 검침 시스템을 제안한다. 디지털 전력량계의 전력 소모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두이노 보드와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수집된 전력량을 환산하는 서버와 소비전력을 스마트폰에 모니터링하는 앱으로 구성된다. 전력미터기는 Zigbee를 이용한 Sensor Network를 구성하여 전력데이터를 전송하며 아두이노 보드를 통해 서버에서 소모전력량과 요금을 계산하고, 무선 LAN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력 검침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시간으로 집안의 소모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력절감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Wireless Fine Dust Sensor System Based on Arduino (아두이노 기반의 미세먼지정보 무선전송 시스템 구현)

  • Kim, Jin-Gyeong;Ra, Sang-Yong;Kim, Min-Seok;Kim, Jung-Hoon;Lee, J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34-23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R.Box와 연결되어 미세먼지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아두이노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R.Box는 라즈베리파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로 구성된 일반목적의 IoT 허브이다. 아두이노와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해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WiFi를 통해 R.Box로 전송한다. 아두이노와 R.Box는 TCP 소켓 방식으로 통신하며 이 시스템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의 미세먼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Multi-level Certification System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이용한 다중 레벨 인증 시스템)

  • Yoo, Ho-weon;Kim,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87-88
    • /
    • 2015
  • 최근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Pin Number, Password, Pattern Recognition 등 인증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위와 같은 One-factor 인증 시스템에는 "Shoulder Attack"과 같은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공격에 취약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oogle E-mail' 등 일부 강화된 보안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추가 모듈을 이용한 Two-factor 인증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안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복잡성으로 인해 고도의 보안 기술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등 많은 제약사항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와 같은 One-factor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보안 인증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해 암호화와 인증 방법으로 지문인식을 사용하여 Multi-level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Send 디비이스를 구현한 아두이노를 통해 M2M 서비스를 수행하며, 암호와 지문 정보를 아두이노 디바이스에 저장하여 두 가지의 신뢰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분리를 통한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을 강하고 지문인식을 통해 불편함과 복잡성을 간소화하였다.

  • PDF

Design of Ac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rduino Sensors and LEDs (아두이노 센서와 LED를 활용한 움직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Park, Kyeongseok;Hwang, S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81-83
    • /
    • 2017
  • 우리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ICT 기술을 적용하여 편의성과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양한 응용에 활용되고 있는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Accelerometer와 FSR 센서를 사용하여 RGB LED Strip을 제어하고 여러가지 색상을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나게 하며, 해당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사람의 움직임 또는 동작을 취하는 다양한 신체부위에 적용해 볼 수 있다.

  • PDF

Smart Sola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Low-Power Control of Arduino Board (지능형 태양광 전력 관리 시스템 (아두이노 저전력 제어를 중심으로))

  • Kwon, Oh-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5
    • /
    • pp.461-467
    • /
    • 2019
  • As the convergence solutions become more common, the use of Arduino and Raspberry Pi boards has been increasing. These control boards has to be executed under power blackout. In this environment, we take advantage of solar power system to overcome the power out. In this paper, we poposed a effficient power control strategy. Our experimental device is a DSLR shooting device executed based a predesigned interval time. The control module of our experimental device is the compound system of Raspberry Pi and Arduino boards. Arduino board send the force signals to wake up Raspberry Pi. We developed a new control strategy algorithm for the efficient use of solar power energy. In this paper, we mesured the efficiency of solar enery consuming of our system. We programmed a control system to send DSLR shooting signals. In experimentals, we ensured a stable consuming of electricity during 10 days.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Raspberry was reduced by about 81% when the Aduino was combined to save power.

The Implementation of a Door-Lock System using a smart phone on Near Field Communication environments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

  • Kim, Sung Nam;Kim, Ji Hyun;Lee, Jeong Su;Kim, Do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405-408
    • /
    • 2014
  • 오늘날 사람들은 편리함을 추구함으로써 대부분의 현관문에는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는 전자키 시스템, 기계식 조합키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을 인증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가 직접 도어락을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에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과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여 NFC 및 개인 스마트폰 인증 방식으로 원격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A Study on the Embedded System of Snow Removal System for Drone Using Wireless Control Method (무선제어방식을 적용한 드론용제설장치의 임베디드 시스템)

  • Kyu-Jun Yu;Byung-Guk Kwon;Sung-Jong Lee;Myung-Seob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01-103
    • /
    • 2023
  • 기존의 제설작업은 인력에 의존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제설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 그리고 신속성을 높이기 위해 임베디드시스템을 활용한 드론용 제설장치의 설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임베디드시스템은 RF모듈을 구성하고 무선으로 제어조종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드론에 장착되는 제설장치의 임베디드시스템으로는 아두이노메가2560을 채택하였다. 아두이노메가2560은 제설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수집, 처리, 응답을 처리와 RF모듈에서 오는 데이터에 대한 연산 및 제어 수행을 할 수 있다. 제설장치를 장착한 드론은 기존의 제설작업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Green Hou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스마트 온실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Jung-Woong;Choe, Young-Min;Park, Hee-D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2
    • /
    • pp.259-264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rduino-based smart green house management system model and implemented it.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control unit composed of sensors and arduino, agent program controlling the green house, and web applications providing user interfaces. The control unit transmits data of sens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moisture, etc. to the agent program, and then the agent saves the data in its database. In reverse, control data are transmitted from agent program to control unit. Users can monitor sensed data of green houses and control actuators remotely using web. Plus, smart green house management is available by context awareness and autonomous control functions of the propose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