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두이노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26초

128duino : ATmega128을 위한 아두이노 플랫폼의 확장 (128duino : An Extension of the Arduino Platform for ATmega128)

  • 최훈;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69-1375
    • /
    • 2020
  • 아두이노는 비전공자를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플랫폼의 하나로 학습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두이노 보드에는 여러 종류의 AVR 시리즈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사용되지만, ATmega128은 사용하지 않는다. ATmega128은 아두이노 보드에 사용되는 ATmega328이나 ATmega2560과 비교했을 때 확장성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이 높아 지금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ATmega128을 아두이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하드웨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아두이노 플랫폼 역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ATmega128과 아두이노 플랫폼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도록 ATmega128을 기반으로 하는 아두이노 호환 보드 설계와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아두이노 플랫폼의 확장은 기존 하드웨어를 활용하면서 아두이노 플랫폼의 장점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마이크로컨트롤러 관련 교육에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유학기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체험 프로그램 개발 사례 (Development of an Arduino programming experience program for free semester students)

  • 이은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47-45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Lee(2020)의 저비용 마이크로컨트롤러 적용 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하여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체험 프로그래밍 2종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아두이노 음악 연주 프로그램'과 '아두이노 자동차 만들기 프로그램'이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각각 7개와 8개의 하위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 중학교의 여건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 중학생들은 매크로, 반복문, 배열, 함수 등의 C 프로그래밍 내용 요소를 체험할 수 있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짧은 시간내에 프로그래밍을 온라인 환경하에서 체험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검증된 설문지와 구체적인 실험 설계를 바탕으로 본 개발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간단한 아두이노 모듈을 이용한 Semantic Segmentation (Semantc Segmentation Using Simple Arduino Module)

  • 하수희;유재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37-3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아두이노 모듈을 이용하여 MATLAB에서 실행되는 semantic segmentation을 조작해보았다. 기존에는 단순히 센서를 통해 감지하거나,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등의 수동적으로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직접 아두이노와 semantic segmentation을 연결하여 semantic segmentation 결과를 조작하여, 아두이노를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쉽게 조립 가능한 실습용 아두이노 자동차 키트 개발 사례 (Development of an Easy-assemble Arduino Car Kit for Practice)

  • 이은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1-37
    • /
    • 2022
  • 이 연구는 실습용 아두이노 자동차 키트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아두이노 자동차 키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반영한 다양한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키트는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최종 실습용 아두이노 자동차 키트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아두이노 자동차 키트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된 2개의 판을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자동차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이나 실습이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판과 하판을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지 않고 쉽고 빠르게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개발된 키트는 단순하며 쉬운 조립 방식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차체 조립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기 때문에 자동차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키트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아두이노 강의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f the Arduino lecture as seen in big data)

  • 이은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35-94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강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 사이트의 블로그, 카페, 뉴스 채널에서 '아두이노+강의'를 검색 키워드로 2012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의 데이터를 텍스톰 사이트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톰 사이트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텍스톰 사이트, Ucinet 6,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빈도 분석, TF-IDF 분석, 연결 중심성 등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교육', '코딩' 등이 상위 키워드임을 확인하였다. 의미 연결망 분석을 위해 CONCOR 분석을 수행한 결과 '아두이노 관련 교육', '피지컬 컴퓨팅 관련 강의', '아두이노 특강', 'GUI 프로그래밍' 등 4개의 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상에서 아두이노 강의와 관련하여 일반 대중들의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사회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두이노 강의를 준비하는 교수자나 해당 주제를 연구하는 연구자, 나아가 소프트웨어 교육이나 코딩 교육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UML을 이용한 아두이노 어플리케이션 설계 (A Software Design Method for Arduino Applications using UML)

  • 박기창;이현철;김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8
    • /
    • 2015
  • 아두이노는 오픈소스 기반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 미디어아트, 시뮬레이션, 인터랙션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아두이노 어플리케이션은 C언어를 기반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설계명세 양식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인 UML의 확장 매커니즘을 이용한 아두이노 어플리케이션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아두이노 어플리케이션의 주 기능인 디지털 입출력, 아날로그 입출력 등을 UML 표기법을 이용하여 명세할 수 있다.

ATmega128 기반 아두이노 호환 보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rduino Compatible Board using ATmega128)

  • 신영재;김혜준;박준영;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6-417
    • /
    • 2021
  • 아두이노는 비전공자들도 쉽게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활용해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교육환경에서 아두이노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보드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두이노 이전에 널리 사용되었던 ATmega128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ATmega128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기반으로 아두이노 호환 보드를 제작하고 아두이노 플랫폼에서의 동작을 확인해 본다.

  • PDF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안드로이드 ADK 소프트웨어의 결합 (Arduino hardware and Android ADK software combination)

  • 이성진;최철길;이경무;최병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6-339
    • /
    • 2013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서, 예술가, 디자이너, 취미 활동가 등 인터랙티브 객체 또는 환경 구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아두이노의 강점은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구성은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 168을 사용하며 아두이노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MATLAB, Processing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이며 하드웨어를 직접 제작할 수 있거나 실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아두이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안드로이드 ADK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사용한다. 그런데 이 안드로이드 ADK에 아두이노 Manifast를 추가하면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브레드보드에 하드웨어를 설계 후 버튼 클릭을 제작하여 서로 연동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ADK를 사용하였고 하드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MegaADK 보드를 사용하였으며 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앱세서리를 제작한 후 검증하였다.

  • PDF

아두이노 장치 프로그래밍을 통한 기초 디지털 논리 회로 실습 교육 과정 (Curriculum for Basic Digital Logic Circuit Practices through Arduino Device Programming)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1-4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초 디지털 논리 회로 실습 교육 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디지털 출력을 갖는 아두이노 프로그래밍을 통한 디지털 논리회로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논리회로와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실습은 국내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공학 계열 학과에서 필수 교육과정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실습에는 디지털 논리회로와 아두이노 프로그래밍이 결합된 예제가 부족하고, 디지털 논리회로를 설계하고 오실로스코프 보다 저가의 비용으로 실험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이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 출력 명령을 통한 아두이노 프로그래밍을 통해, 디지털 논리회로를 제어하고 실습해보는 한 학기 기간의 기초 디지털 논리 회로 실습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아두이노 보드에 대한 소프트웨어 테스트 방법 연구 (Study of Embedded Software Test Method on Arduino Board)

  • 경민기;민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26
    • /
    • 2009
  • 아두이노 보드는 Atmel 8 비트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서 제작된 임베디드 보드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프로그램을 쓸 수 있다는 기능과 하드웨어 설계도가 오픈소스로 제작된다는 점,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서 제공되는 쉬운 개발 언어 및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 위에서 동작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대해 테스트하는 방법과 앞으로의 테스트 방법에 대한 개발방향에 대하여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