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 문제행동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9초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Class Obstacle Behavior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 이민정;황순자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75-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동의 행동문제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우울성향 및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Trait an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Mothers and Children′s assesmen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김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6호
    • /
    • pp.67-7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istency between rators(mother report & child self-report) of children's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ve traits and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consistency between rators. Subjects were 434 children attending grades 4, 5, and 6 in Pusan and their mother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on behavior problems than their mothers and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s score on behavior problems was .20 (ex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or .27(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Second, mother's depressive trait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consistency between rators of ex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Third,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consistency between rators of ex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 PDF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전혜인;정평강;이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49-1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정서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48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은 어머니의 연령과 가구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자녀들의 전반적 행동특성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수준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녀가 연령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결혼만족도 역시 자녀의 내면화된 문제와 외현화된 문제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f Working Mother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 이선희;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69-284
    • /
    • 2007
  • A sample of 654 elementary school children(330 boys and 324 girls) and their mothers responded to three questionnaires regarding mother's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working mothers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permissive/neglecting compared with non-working mothers. Children of working mothers perceived themselves as hyperactive, anxious, withdrawn, aggressive, and immature. Parenting of working mother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was more warm/accepting; their daughters perceived themselves as less anxious, withdrawn, and immature than children of mothers with lower job satisfaction. Children of rejecting/restrictive working mothers, especially girls, reported hyperactive, withdrawn, aggressive, and immature behaviors. Children of permissive/neglecting working mothers were immature. Warm/accepting parenting of working mothers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maturity of their daughters' behavior.

  • PDF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 정문자;김문정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1-27
    • /
    • 2004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s was studied in 359 fourth graders. Children reported on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s with the Childrearing Behavior Questionnaire (Park, 1995) and on their own behavior with the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Oh, Lee, Hong, & Hah, 1997).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girls viewed their fathers and mothers as more warm/accepting and their fathers as less rejecting/restricting than boys. Boys had more externalizing (aggressive/delinquent) behavior problems than girls.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paternal and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on-interfering. The relationship was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s sex.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paternal and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and paternal permissive/non-interfering. The relationship was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s sex.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어린 아동의 문제행동 모형 탐색 : 중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The Mediational Role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havior on Child Problem Behavior : Femai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 최형성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7-211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onal role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Mothers wer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from China, Philippines, and Vietnam. The participants were 374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of the children in Busan and Gyungnam, Korea.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Choe and Chung (2001), Shin(1996), Lee (1996), Hong (1995), and Han(199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hild'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parent training programs for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 PDF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 모형 (A Predictive Model of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송희승;신희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영향요인들을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일개 도시의 3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6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chi}^2$-test, ANOVA를 시행하였고, 가설적 모형 검정은 AMO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GFI: .956, AGFI: .927, CFI: .953, RMSEA: .056, SRMR: .023으로 지지되었다. 모형에서 설정된 10개의 경로 중 6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즉, 부모 양육태도에서 자아존중감으로, 부모양육태도에서 스트레스로, 부모 양육태도에서 스트레스 대처로, 부모양육태도에서 문제행동으로, 자아존중감에서 스트레스로, 자아존중감에서 문제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지지되었다.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 것은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며 양육태도는 총 효과를, 자아존중감은 직접효과와 총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문제행동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고취시키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Economic Strain and Family Conflict on Children's Adjustment : Focused on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133-164
    • /
    • 2005
  • 본 연구는 아동이 인지한 가정의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문제행동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였다. 자료는 C도에 거주하는 12세-15세의 아동 1,20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 최종적으로 1,115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에 차이를 가져오는 일반적 특성은 아동의 성, 학년과 성적이 대표적이었고, 가족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 스트레스는 적응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남아는 내 외현화 문제행동에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경제적 곤란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상호작용에서도 남아의 경우 모든 적응문제에 스트레스 변인과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여아의 경우에는 공격성, 비행 및 불안 우울에서만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부적응 예방 프로그램의 한 영역으로서 연구 개발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PDF

아동의 정서 및 행동 문제와 어머니의 우울증,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 이영준;송원영;최의겸;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2호
    • /
    • pp.218-228
    • /
    • 2003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정신과를 방문한 아동들의 정서 및 행동 문제와 어머니의 우울증,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히, 이러한 변인들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DSM-IV 진단 준거에 근거한 정신과 전문의의 소견과 심리학적 평가에 의해 외현화 행동 장애, 내면화 행동 장애, 혼재형 행동 장애로 각각 진단된 73명의 아동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의 어머니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와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및 양육스트레스 척도(PSI)를 작성하였고, 변량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외현화 행동 장애와 내면화 행동 장애, 혼재형 행동 장애를 가진 아동의 각 집단별 어머니들의 우울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육 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한 2요인 변량분석 결과, 외현화 행동장애와 혼재형 행동장애에서 아동 영역 양육 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주의산만/과잉행동 요인이 내현화 행동장애 아동보다 더 심각한 스트레스로 작용하였고, 어머니의 우울 여부의 주효과는 전반적 양육 스트레스 총점, 부모 영역 양육 스트레스 총점, 부모 영역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우울, 부모의 건강, 배우자와의 관계의 요인에서 각각 유의미하였다. 아동의 증상 심각도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아동 영역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아동의 과잉행동과 불안이, 부모 영역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각각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본 결과는 우울한 어머니들의 경우, 아동의 증상 심각도 보다는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전반적인 양육 스트레스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우울한 어머니들에서는, 아동의 증상에 대한 치료와는 별도로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에 개별적인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