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의 사회성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26초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 분석 : 잠재계층성장분석(LCGM)을 활용하여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Computer Game Use among School Age Children: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

  • 김동하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03-3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동발달의 변화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의 변화궤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1패널의 2차년도에서 6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자는 총 1959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 유형화를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예측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령기 아동의 게임 사용시간 변화궤적은 '게임 저사용 증가집단', '게임 초기 고사용-변동 집단', '게임 고사용 증가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성별, 공격성, 주의집중, 방과후 보호자 부재, 주양육자의 교육수준, 형제자매, 방임, 가구소득, 연간 가족여행 횟수, 학교성적, 또래관계가 각 유형의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초기 아동의 게임 과다사용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유용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Influence of Accessibility, Subject Norm, and Social Norm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 옥경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43-450
    • /
    • 2013
  • 본 연구는 아동의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또는 사회적 규범이 인터넷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물리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가설 1-1은 지지 되었다. 지적 접근성은 한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지적 접근성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과 2-2는 모두 지지되었다. 주관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지지되었으나 사회적 규범은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아동들의 물리적 또는 지적 접근성과 주관적 규범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아동들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정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의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Social Welf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local child care center-)

  • 문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0-188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인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소재의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0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 향상 방안으로 첫째,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들의 업무 표준화와 전문교육의 지지 강화, 둘째, 우수지역아동센터의 가산점 부여, 셋째, 동료 및 지역사회간 네트워크 협력 체계 구축을 제언으로 한다.

초등수학교육에서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 김규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7-105
    • /
    • 2002
  • 최근 들어, 갈수록 다양화 ${\cdot}$ 다기화 되어 가는 사회 상황은 우리로 하여금 끊임없는 선택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그것은 다시 깊고 넓은 생각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사회 변화의 가속화와 경쟁의 첨예화는 우리로 하여금 그 선택과 그에 따른 생각을 보다 신중하고 현명하게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등수학교육에서도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방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아동들이 수학수업에서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을 탐색해 봄으로써, 아동의 능력을 강화하고, 아동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며, 개인의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o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 김영선;이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3-185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 total of 416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their social competence,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well as their own self-control ability.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best explained their social competence.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motivational self-control had the greatest effect on social competence, followed by cognitive self-regulation, behavioral self-regulation, economic level, gender and grades, in that order. The results for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ighlighted the important roles played by the mother and the child's self-control ability in improving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fundamental insights into children's higher quality of life.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문제와 개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Clin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 김재엽;조학래;양혜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27-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대전지역의 초등학교, 사회복지관, 그리고 쉼터를 통하여 가정폭력 노출아동 문제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 아동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폭력 노출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정서문제와 공격성이 심하고, 사회성이 떨어지며,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및 대처가 부적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기존 가정폭력 노출아동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쉼터와 일반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은 참여 아동에 대한 개별사례분석과 솔로몬4집단설계(Solomon four group design)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대다수의 사례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초기의 위축되고 소극적인 행동에서 변화하여 점차 자기표현이 증가하고 다른 구성원들을 적극적으로 지지, 격려하는 등의 긍정적인 행동이 나타났다. 솔로몬4집단설계의 공식에 따라 본 프로그램의 순수실험효과를 산정한 결과, 정서문제, 공격성, 사회기술,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및 대처에 상당한 정도의 순수실험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ADHD관련문제의 직렬다중매개효과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Smart-media Addiction and ADHD-related Behavior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백성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29-235
    • /
    • 2023
  • 본 연구는 자녀의 역기능적 특성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아동의 스마트미디어 중독 및 ADHD관련문제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 차년 자료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에 모두 응답한 537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살펴보았고, 본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version 4.2(Model 6)로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태도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ADHD관련문제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사이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ADHD관련문제의 직렬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행동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ADHD 관련문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섭식장애: 문헌 고찰 (Feeding Disorder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민경철;신진용;김은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102
    • /
    • 2023
  • 목적 :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s, 이하 ASD)는 비전형적 감각 적응, 의사소통 문제, 상동 행동 등이 특징인 발달 장애로 섭식장애가 흔하게 동반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감각, 구강운동, 행동, 인지, 사회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까다로운 먹기, 선택적 먹기, 음식 거부, 새로운 음식 거부, 음식 다양성 제한, 음식 혐오 등 다양하다. 또한 건강 및 영양 섭취 문제, 섭식 발달, 섭식 관련 사회성, 가족과 보호자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기도 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출생 후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는 3세 이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중재 제공 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섭식장애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증상 자체는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기 평가 및 중재,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의 섭식장애 특성과 영향을 주는 요인, 중재법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로는 감각 기반 중재와 행동 기반 중재가 일반적이다. 감각 기반 중재는 음식 민감성, 행동 기반 중재는 음식 선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ASD 아동의 섭식장애 증상이 다양한 만큼 감각 및 행동 기반 중재를 기본으로 놀이와 참여, 구강운동, 식이와 일상생활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를 위한 적절한 평가와 중재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사 등 연하재활 전문가는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섭식장애 해결을 위한 적절한 평가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 박애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225-247
    • /
    • 2012
  •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Double ABCX 모델을 적용하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 2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성,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유아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 연구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 분석 (Preschooler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 조은진
    • 아동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7-147
    • /
    • 1993
  • 감정이입은 친사회적 행동의 잠재적 동기요인으로서 발달심리학자들 (e.g., Feshbach, 1978 ; Hoffman, 1975)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아왔다. 어려움에 처한 다른 사람에 대해 감정이입적으로 자극된 사람은 상호 체험하는 심적 고통(distress)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기대에 의해서, 또는 지원적 행위 후에 대리체험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기대에 의해서, 그 사람을 지원하도록 동기유발 되어질 수 있다(Barnett & Thompson, 1985; Hoffman, 1975).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그 관련성을 실증하는데 실패한 많은 연구들에서 나타난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들이 본 논문에서 분석되었다. 성인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상당히 일관된 긍정적 결과를 제시해온 반면, 아동들, 특히 어린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 명백하거나 쉽게 해석할 수 있는 패턴의 관련성이 확립되지 못했다. 이러한 종전 연구에서의 문제점은 감정이입에 대한 개념적 논쟁 및 측정방법의 어려움에 기인할 수 있다.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실험적인 관련성의 강도는 이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들의 특성과 제한성에 다분히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친사회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어지는 다양한 상황적, 동기적 요소들을 감안하여,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이 구체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작용되는 과정이 보다 면밀하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