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내폭력 피해여성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09초

아내폭력 피해여성의 위험 음주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Hazardous Drinking of Women who Experienced Intimate Partner Violence)

  • 김재엽;이지현;송향주;한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275-296
    • /
    • 2010
  • 본 연구는 피해여성의 건강한 적응과 안전을 도모하고자 위험수준의 음주를 하는 피해여성의 실태와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6년도 8월부터 2007년도 8월까지 실시한 여성가족부 과제용역 "가정폭력행위자 교정 치료프로그램효과성 분석" 데이터 중 행위자의 배우자 12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전화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빈도량법에 의한 위험음주 기준을 적용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15.7%가 위험음주자로 분류되었다.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가계소득과 폭력책임에 대한 귀인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위험수준의 음주를 하는 아내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임상실천적 개입 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Impacts of Repeated Victimization from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 Focusing on Wives Whose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 김재엽;정윤경;이근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85-95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revictimization of wives from repeated husband violence and how that affected their depression. It also explored whether social support networks can have moderating effects. Sixty-four wiv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group, 72.3% of whom had experienced repeated verbal violence, and 29.2% experienced repeated physical violence since their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Revictimization from repeated husband-to-wife violence was proven to significantly influence wife depression. To moderate the harmful effects of repeated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networks were observed to provide protective reinforcements.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d not support the notion that social support networks have moderating effects on wife depression, whil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professional networks of social support ne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scussion here advocates for an intervention that promotes psychological health to wives who are exposed to repeated domestic violence.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s Depression)

  • 김재엽;양혜원;이근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68-99
    • /
    • 1999
  • 이 연구는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실태와 피해여성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우울증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10명)의 우울증이 비교집단(18명)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우울증 하위차원 중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증상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쉼터에 거주하는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한 임상 개입프로그램은 정신건강관리 영역과 함께 폭력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훈련, 사회적 지지망 구축, 경제적 독립성, 자녀양육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 PDF

가정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자 아내의 능동적 대처가 재폭력에 미치는 영향 : 아내의 문제해결과 도움요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ctive Coping of Spouses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 who Completed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and Recidivism: Study of Follow-up Evaluation for Domestic Violence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 김재엽;정윤경;송아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217-238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해자 프로그램 이수 후 가해자들의 재폭력에 피해 여성의 능동적 대처방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8년에서 2009년에 걸쳐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 프로그램 장기 효과 연구에서 수집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피해 여성을 3차에 걸쳐 추적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1, 2차 시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표본의 수적 한계와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폭력의 경우 1차와 2차 각각 발생률이 77.6%, 41.3%로 나타났으며 신체 폭력의 경우 시점 각각 43.1%, 18.4%의 발생률을 보였다. 모형 분석 결과 남편의 정서적 재폭력에 대해서는 여성의 문제해결의 능동적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신체 재폭력에 있어서는 문제해결이 아닌 도움요청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재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