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쑥분말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쑥 분말과 어유의 첨가가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gwort Powder and Fish Oil Addition on the Fatty Acid of Chicken Meat)

  • 박창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3
    • /
    • 2006
  • 쑥 분말 3 %, 정어리유 4 %, 쑥 분말 3 %와 정어리유 4 %를 처리구에 따라 5주간 급여한 후 도계하여, 가슴살과 다리살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면서 지방산 조성, TBARS가, 보수성, 육즙 손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산은 근육의 부위 및 쑥과 어유의 급여 수준에 관계없이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또한 T3 처리구에서는 palmitoleic acid와 EPA, DHA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많았다. TBARS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전반적으로 다리살 부위가 가슴살부위의 TBARS가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보수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슴살과 다리살의 보수력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p<0.05), 처리구간에서는 서로 비슷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가슴살이 다리살 부위보다 보수력이 높았다. 육즙 손실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처리구에서 점차 증가하였고(p<0.05), 처리구간에서는 T1구와 T3구가 상대적으로 육즙 손실이 적었다.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 조사 (A Study on the Safety of Powdered Agricultural Products in Incheon)

  • 박병규;김선회;여은영;이한정;서순재;권성희;송성민;주광식;허명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6-1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인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확보를 위하여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에서 수거한 104건을 대상으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잔류농약 373종 및 금속성 이물을 검사하였다. 품목별 수거현황은 향신식물 33건(31.7%), 과일류 31건(29.8%), 채소류 25건(24.0%), 서류 5건(4.8%) 순이었다. 잔류농약은 전체 104건 중 7건에서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검출되어 6.7%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제품은 없었다. 깔라만시분말에서 chlorpyrifos, malathion, permethrin, 노니분말에서 fenoxanil, 쑥분말에서 tebuconazole, 파프리카분말에서 tetraconazole, 신선초분말에서 etofenprox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농산물중의 잔류농약이 가공품으로 이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금속성 이물은 22.1%(23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제품은 계피분말, 강황분말, 새싹보리분말, 쑥분말 등 16건이 발생하여 분말 농산물가공품에서는 금속성이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성 이물(쇳가루)은 단단한 건조 농산물을 분말로 만드는 분쇄과정에서 금속성 재질의 롤밀, 칼날 등의 마찰로 인해 미세한 쇳가루가 발생하면서 분말 농산물가공품에 섞여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원재료인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기본으로 건조원료의 분쇄과정 중 발생하는 금속성 이물의 최소화, 금속성 이물 제거 장치의 설치,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쑥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 패티(Patty)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 문윤희;강세주;김영길;양종범;정인철;현재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7-102
    • /
    • 2003
  • 본 연구는 쑥의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 patty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쑥을 첨가하지 않은 B등급육 patty(A patty), 쑥을 첨가한 B등급육 patty(B patty), 쑥을 첨가하지 않은 E등급육 patty(C patty) 및 쑥을 첨가한 E등급육 patty(D patty)를 제조하고 일반성분, 열량, 아질산 잔류량, 표면색도, 조직감, 보수력 및 관능성을 실험하였다. 수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과 열량은 B등급육 patty가 E등급육 patty보다 높았다. 조회분은 patty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질산 잔류량은 쑥을 첨가한 patty가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명도(L)및 황색도(b)는 B등급육 patty가 높았으며, 적색도(a)는 E등급육 patty가 높았다.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B등급육이 E등급육 patty보다 낮았다. 돈육 patty의 향기, 맛, 조직감, 다즙성, 색깔 및 종합적인 기호성은 patty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의(優占雜草)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 검색(檢索) (Determination of Allelopathic Activity in Dominant Upland Weeds)

  • 전재철;한강완;장병춘;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6-164
    • /
    • 1987
  •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優占雜草)의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수추출물(水抽出物)과 methanol 추출물(抽出物) 및 잡초건조분말(雜草乾燥粉沫)에 의해서 조사(調査)하였다. 2%(w/v) 수추출물(水抽出物)로 가장 큰 발아(發芽) 및 생장억제(生長抑制)를 보인 잡초(雜草)는 무우에 대해서는 쑥, 참깨에 대해서는 쇠비름이었다. 냉이의 2%(w/v) 수추출물(水抽出物)은 두 검정식물(檢定植物) 모두에 대하여 저해효과(沮害效果)가 컸다. 쑥의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무우의 발아(發芽) 및 조묘생장(助苗生長)을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하였다. 참깨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약 90% 이상 저해(沮害)한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쑥, 쇠비름 및 토끼풀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추출용매(抽出溶媒), 잡초초종(雜草草種) 및 검정식물(檢定植物)에 따라 다르며, 이는 잡초종내(雜草種內)에 함유(含有)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에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생장억제효과(生長抑制效果)는 추출물(抽出物)의 pH 및 수분(水分)포텐샬의 차이(差異)에서 기인(基因)되지는 않았다.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와 생장억제(生長抑制)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이 있는 4종(種)의 잡초추출물(雜草抽出物)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증가(增加)와 함께 증대(增大)되었다. 토양(土壤)에 혼화(混和)된 쑥과 쇠비름의 건조분말(乾燥粉沫)은 냉이와 토끼풀보다 무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대하여 더 큰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쑥 분말의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 안종호;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20
    • /
    • 2003
  • 본 연구는 쑥 분말을 돼지 사료에 첨가하여 0, 1, 3%의 비율로 비육후기 30일간 급여한 후 도축하여 4$^{\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T1, T2)에서 조지방 함량이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pH와 TBARS는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 TBARS, VBN와 보수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돈육의 주된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와 stearic acid이었다.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흑마늘과 쑥 추출물이 구속스트레스를 가한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Garlic and Mugwort Extracts on Lipids Profile during Restraint Stress)

  • 이수정;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77-586
    • /
    • 2013
  • In vitro에서 흑마늘과 쑥 추출분말 및 이들의 비율별 혼합물 3종(MPA, 95:5; MPB, 90:10; MPC, 85:15, w/w%)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7 brix 흑마늘 추출물(BE), 0.7 brix 쑥 추출물(ME), 이들을 부피비로 95:5(MA), 90:10(MB) 및 90.25:4.75 혼합물에 사과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각각 2%와 3%를 첨가한 음료(MC)를 흰쥐에게 4주간 급이한 후 24시간 구속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생체내 지질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In vitro에서 흑마늘 추출물과 쑥 추출물의 혼합물(MPA, MPB, MPC)은 쑥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흑마늘 추출물(RS1), 쑥 추출물(RS2), 혼합물 MA(RS3), MB(RS4) 및 MC(RS5)를 각각 1%씩 흰쥐의 식이에 첨가 급이한 결과 식이섭취량은 RS1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구속 대조군(RSC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으며, RS3~RS5군 간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중성지질의 함량은 RS3~RS5군이 RS1과 RS2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HDL-C 및 LDL-C 함량, 동맥경 화지수(AI), 심혈관질환 위험지수(CRF)는 RS3~RS5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AST 및 ALP 활성은 RSC군에 비해 실험군들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RSC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중성지방 함량은 RS1군만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간 글리코겐 함량은 RSC군에 비해 RS2와 RS3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그 외 실험군에서는 유의차가 적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RSC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RS3과 RS5군이 유사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흑마늘 추출물, 쑥 추출물, 혼합물 및 개발 음료의 급이는 스트레스 부과로 증가될 수 있는 체내 지질 수준의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각 물질의 단독 급이보다 혼합물의 급이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혼합물을 이용한 개발음료는 현대인의 복잡하고 다양한 스트레스 발생 시 생체대사 조절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개똥쑥 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prepared with Artemisia annua L. powder)

  • 문은우;박헌조;박정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4-64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 jeonbyeong. Contents of crude ash increased as the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tal amino ac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Hunter's L value increased as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total free sugar contents decreased.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 jeonbyeong increased dietary fiber contents. The sensory score of jeonbyeong containing 100 g of Artemisia annua L. powder was the highest of all jeonbyeong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인진쑥 첨가 비육돈의 식육 성분 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Mugwort Powder on Meat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Gilt)

  • 김일석;진상근;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의 건조 분말을 육성기 암퇘지 ($LY{\times}D$)에 평균체중이 75 kg일 때부터 출하시까지 50일간 처리하였을 때 식육의 이화학성분(일반성분, 식육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일반사료에 인진쑥 분말을 급여사료 기준으로 CON(0%), T1(0.5%), T2 (1.0%), T3(1.5%)처리하였다. 수분, 단백질, 회분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구간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함량은 T2 및 T3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모든 시험구에서 처리구간별 아미노산 조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포화지방산(SFA) 및 불포화지방산(UFA)의 합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T3의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필수지방산(EFA) 및 다가불포화지방산(PUFA) 함량은 시험구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0.05), T2의 arachidonic acid, EFA, PUFA의 함량은 시험구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적 특성의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육색,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비육말기 암퇘지에 인진쑥의 급여가 지방성분의 감소 및 지방산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아미노산의 함량 및 관능적특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