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쌀 전분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1초

다수성, 고품질 찰성 쌀보리 '누리찰' 개발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Naked Waxy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Nulichal' with High Yield and Good Quality)

  • 이미자;김양길;최진경;최인덕;강현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16-521
    • /
    • 2018
  • 신품종 '누리찰'은 찰성 쌀보리 신품종으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3개 지역에서 답리작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답리작 적응성이 높으며, 쓰러짐에 강하고 수량이 7-16% 증가된 보리밥 특성이 좋은 계통임이 입증되었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답리작에서 새찰쌀보리보다 각각 1일 늦었다. 간장은 82 cm로 중장간, 수장 4.0 cm, $m^2$당 수수는 774개로 새찰쌀보리와 많았으며 천립중은 25.0 g으로 새찰쌀보리보다 가벼웠고 도복에 강하고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보였다. 단백질 함량은 새찰쌀보리보다 적었고, ${\beta}-glucan$, 전분, 아밀로스 함량은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다. 흡수율은 비슷하였고 퍼짐성은 다소 높았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높고 치반점도가 낮았으며, 보리밥 물성은 경도, 탄력성, 저작성이 새찰쌀보리보다 낮아 보리밥이 다소 부드러운 특성을 보였다. 평균수량성은 답리작에서 4.00 MT/ha로 새찰쌀보리보다 10% 증가하였다.

재래누룩에서 분리한 곰팡이를 이용한 탁주의 성분분석

  • 민경찬;이선희;박영심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2-122
    • /
    • 2001
  • 쌀과 같은 곡류는 전분질을 당분으로 전환시켜 술을 제조하여야 하므로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가 필요한데 그 효소원이 누룩이며 누룩은 주류의 품질이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국44개 지역의 누룩에서 순수 분리된 89종의 곰팡이 중 효소역가와 당화력이 비교적 뛰어난 10종(Aspergillus sp. SH-412 Heunghae, Aspergillus sp. SH-422 Ulsan, Rhizopis sp. SH-606 Imdeok, Aspergillus sp. SH-607 Yhesan, Aspergilus sp. SH-613 Wolseong, Rhizopus sp. SH-654 Uncheon, Aspergillus sp. SH-660 Jeonkok, Aspergillus sp. SH-667 Dongseong, Aspergillus sp. SH-669 Uncheon, Aspergillus sp. SH-696 Daecheon)과 대조균주로 Aspergillus kawachii CF1002 그리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셨으며 탁주제조 중 균주별 술덧의 산도, 환원당, 아미노산도와 제조된 완성주의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유리당, 휴젤유 및 색도를 HPLC, GC Mass, 색차계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균주별 술덧의 주정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Aspergillus kawachii보다 높았으며 특히 Aspergillus sp. SH-422는 14.9%로 가장 수율이 좋았다. 환원당은 Aspergillus sp. SH-613이 0.49%로 가장 높았고 Aspergillus sp. SH-422는 0.37%로 가장 낮았으며 산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했으며 술덧 발효중 아미노산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상승 후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균주별 술덧의 유기산은 ta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lactic acid 함량이 2.0∼3.2g/100ml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Aspergillus sp. SH-669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Aspergillus sp. SH-607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술덧의 주 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tryptophan순으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alanine은 주류에 단맛을 주는 성분으로 모든 실험구에서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각 균주별 술덧의 유리당은 glucose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Fusel oil은 iso-butyl alcohol과 iso-pentyl alcohol 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균주별 술덧의 색차를 측정한 결과 L값은 63.33∼41.98, a값은 0.09∼-3.47, b값은 17.41∼4.90으로 나타났다.

  • PDF

팽화 처리한 나락의 결정화도, 당화효율,농약잔류량 비교 (Comparison of Relative Crystallinities, Saccharification Effeciency and Diazinon Residue of Varietal Puffed Paddy)

  • 김중만;김동한;백승화;백덕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87-491
    • /
    • 1994
  • 나락을 열풍팽화기로 팽화시켜 현미와 왕겨의 결정화도, 당화율, 농약잔류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나락의 팽화처리로 쌀전분의 결정화도가 감소하였으나 왕겨의 결정화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찰벼의 팽화처리는 자숙처리에 비하여 엿기름 amylase에 의한 당화율이 높았으며 왕겨의 cellulase에 의한 가수분해율은 팽화처리시 $14{\sim}30%$ 상승되었다. 나락의 팽화처리로 왕겨와 현미 중의 농약(diazinon)의 잔류량 감소는 메벼에서 현저하였고, 팽화전에 비하여 현미와 왕겨에서 각각 42.7%, 47.6% 잔류되었다.

  • PDF

청주박을 이용한 저식염 고추장의 양조 (Effect of Sake Cake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Kochuzang)

  • 이갑상;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9-115
    • /
    • 1991
  • 전분질원의 일부로 청주박을 이용하고 식염의 일부를 알코올과 마늘로 대체한 저식염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숙성 중의 amylase 활성도는 청주박의 배합비가 증가할 수록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protease의 경우는 25% 배합구에서 높았다. 청주박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고추장 숙성 중의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수는 감소하였다. 또 숙성 중의 pH 변화와 환원당량의 증가는 적었으나 적정산도와 알코올 및 아미노태 질소량은 증가하였다. 70일 숙성시킨 고추장의 맛과 향기는 쌀 대신 청주박을 25% 배합한 구에서 우수하여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청주박을 일부 배합함으로써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 김옥선;박성순;성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93-1700
    • /
    • 2012
  •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발효 3일째,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낮았다. 환원당과 유리당은 1일째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발효 초기에 당화 효소 활성으로 쌀의 전분이 glucose와 maltose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기산은 발효 동안 증가하였으며 lactic acid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발효 동안 흑미 첨가 막걸리의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 초기 젖산균수가 증가하여 3일째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는 lactic acid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또한 흑미 첨가량이 많을수록 젖산균수가 높았다. 색도는 흑미의 붉은색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의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흑미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적으로 단맛과 신맛의 영향을 받아 대조구와 2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할수록 항산화 성분은 증가하나 관능평가 결과로 보았을 때 흑미는 20% 수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조건, 쌀, 조리기구와 유지 종류가 밥의 저항전분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Rice, Cooker and Oil Types on the Changes of Resistant Starch Contents of Cooked Rice)

  • 임전순;김지명;박사라;정온빛;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5
    • /
    • 2016
  • The changes of resistant starch (RS) contents of cooked rice with soybean and coconut oil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nd RS cont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rice and cooker types. The japonica (Hopyeong) and the indica (Thailand) type rice were cooked (washed rice: water = 100: 130) using an electric cooker and a saucepan. The coconut oil and soybean oil (3%, based on rice, w/w) were added into cooking water before heating. The RS contents of freeze-dried cooked rice powders (newly-cooked rice, stored for 12 h in the refrigerator, microwave heating after storage for 12 h in the refrigerator) were measured by the AOAC method. The RS contents of cooked rice using a saucepan were higher than those using an electric cooker. The indica type cooked rice had a higher RS content than the japonica type cooked rice,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s. However, addition of oil before cooking rice resulted in increased RS content on storage in the refrigerator. The highest RS content of the cooked indica type rice with soybean oil ($5.89{\pm}0.22%$) that was stored for 12 h in the refrigerator was analyz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oked rice formed retrograded (RS3) and amylose-lipid complex (RS5) type RS; furthermore, the RS content i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rice, cooker and oil types.

타피오카전분의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pioca Starch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 이준경;오성훈;임재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69-478
    • /
    • 2013
  • The effects of tapioca starch (TS) and tapioca modified starch (TMS) as additiv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mounts of TS and TMS replaced were 5, 10 and 15%(w/w) based on 100 g of rice flour. At the result of rapid viscosity analyser (RVA) properties of rice flour added with starches,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y of rice flour added with TMS decreased significantly(p<0.05). Hardness of dough and cookies as measured by Texture analyzer (TA)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addition of TMS, and hardness of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addition of TS, hardness of cookies TMS lower than TS. L value of dough and cookies increased upon addition of TMS, whereas a value decreased upon addition of TMS. Spreadability of cookies increased upon addition of TMS, 10% TMS is the highest. Bulk density of dough decreased upon addition of TMS, bulk density of cookies decreased upon addition of TS and TMS, and bulk density of TMS cookie lower than TS cookie. In sensory evaluation, 10% TS added rice cookie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hardness, brittleness, color, softness, taste and flavor, and 15% TS added rice cookie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appearance. And 15% TMS added rice cookie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taste, brittleness, flavor, and 10% TMS added rice cookie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hardness, flavor, taste and color. It is indicated tha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ookie can be improved by adding TS and TMS.

미생물(微生物) Tannase를 이용한 도토리주(酒)의 실험적(實驗的) 제조(製造) (Experimental Manufacture of Acorn Wine by Fungal Tannase)

  • 채수규;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6-332
    • /
    • 1983
  • 미생물 tannase를 식품가공에 응용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로 도토리 tannin 분해력이 강한 Aspergillus sp. AN-11 균주를 접종하여 만든 곡자를 이용하여 도토리주(酒)의 실험적 제조를 시도하였다. 도토리의 전분가(澱粉價)는 72.84 로서 탄수화물(炭水化物) 식품(食品)으로서 개발(開發) 이용(利用) 가치가 있었다. 도토리 주조용(酒造用)으로 적합한 곡자로서 발효에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tannin 성분을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쌀과 도토리를 50 : 50 으로 혼합하고 여기에 당화력(糖化力)이 강한 Aspergillus oryzae 균주와 tannase 활성도(活性度)가 우수한 Aspergillus sp. AN-11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혼합 절충곡자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도토리분(粉)을 전처리로서 하룻밤 침수시켜 여분의 물을 제거한 후 증자한 것을 담금 시료로 하여 선정된 혼합 절충곡자들 사용하여 발효시킨 시험구(試驗區)가 전체 발효과정을 통하여 알코올 생성 속도 및 당의 발효율이 무처리한 도토리분(粉)에 보통 곡자를 사용한 시험구에 비하여 약 2배정도 우세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의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making Properties)

  • 이영택;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18-923
    • /
    • 2003
  •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을 밀가루에 $10{\sim}30$ 대체한 복합분에 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제빵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Amylograph 호화특성에서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은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set back 역시 현저히 낮아 전분의 노화가 느리게 진행됨을 제시해 주었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 특성은 찰성 쌀보리가루 복합분의 peak height가 메성에 비해 높은 반면 mixing time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쌀보리가루의 첨가는 빵의 체적을 떨어뜨리고 주간적인 관능평가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찰성 및 메성 쌀보리가루 10% 첨가수준에서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로 품질이 떨어졌으며 메성이 기호도에 있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20%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저장중 성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찰성 쌀보리가루를 첨가한 빵의 경도가 메성에 비해 낮았으며 빵의 staling이 보다 완만히 진행됨을 나타내 주었다.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 이나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39-745
    • /
    • 2020
  • 막걸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류로 전분질을 원료로 하며 누룩과 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술이다.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은 6.76~14.56%였으며, 환원당의 경우 1.17~1.68g/L이 측정되었고, M5번과 M6번의 실험군의 경우 1.68g/L와 2.43g/L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M1~M9 실험군의 평균 pH는 3.56±0.02였고, 총산의 경우 0.45~0.83%의 값을 보였다. 막걸리의 총 페놀 함량은 평균 966.38mg/L이고 ABTS는 0.77mM TEAC의 값을 보였다. FRAP 및 ABTS의 항산화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막걸리는 r GAE / PRequiv=0.8582와 r GAE / TEAC=0.9769 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막걸리의 전통적 방식을 바탕으로 쌀과 누룩, 양조용수, 발효기간을 달리하여 이화학적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진행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막걸리제조의 발효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기초자료 활용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