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쌀 생산량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Note On the Rice Production Estimation Methods (쌀 예상 생산량 추정방법에 대한 여구)

  • 강창완;김대학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2
    • /
    • pp.329-341
    • /
    • 2000
  • In Korea, rice is the major crop because rice cultivation serves both cultural and socio-economic purpose. For this reason, rice production survey is very important to the J\l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rice production esimation is used for the agricultural policies. Then, we suggest the method of esimating rice production by using statistical model.

  • PDF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 현황)

  • Xiyuan, Liao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1 no.1
    • /
    • pp.5-16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 면적과 생산량의 $20.7\%$$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 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력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정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Rice Yield by Province in South Korea based on Meteorological Variables (기상자료를 이용한 남한지역 도별 쌀 생산량 추정)

  • Hur, Jina;Shim, Kyo-Moon;Kim, Yongseok;Kang, K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6
    • /
    • pp.599-605
    • /
    • 2019
  • Rice yield (kg 10a-1) in South Korea was estimated by meteorological variables that are influential factors in crop grow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nticipating the rice yield variability using a simple but an efficient statistical metho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nnual variation of meteorological variables. Due to heterogeneous environmental conditions by region, the yearly rice yield was assessed and validated for each province in South Korea. The monthly mean meteorological data for the period 1986-2018 (33 years) from 61 weather stations provid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e regression analysis. An 11-fold (leave-three-out) cross-validation was performed to check the accuracy of this method estimating rice yield at each province.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emporal variation of rice yield by province in South Korea can be properly estimated using such concise procedure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0.7,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estimated rice yield well captured spatial features of observation with mean bias of 0.7 kg 10a-1 (0.15%). This method may offer useful information on rice yield by province in advance as long as accurate agro-meteorological forecasts are timely obtained from climate models.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Rice in Japan (일본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현황)

  • Inouchi, Naoyosh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2.08a
    • /
    • pp.32-45
    • /
    • 2002
  • 일본은 기후적으로도 쌀의 생산에 적합하며 쌀은 일본의 주곡이다. 1893년 국립농업연구소가 설치된 이래로 쌀은 품질과 단보당 생산량이 꾸준히 개선되어와 6/1의 노동시간으로 생산량은 2.5배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진전은 재배방법의 개선, 비료, 농약, 재배기술, 기계화, 관개배수, 농지개량 등의 요인들로 볼 수 있다. 현재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는 주요 쌀 품종으로는 코시히카리(35.5%), 히토메보레(9.7%), 히노히카리(9.0%), 아키다코마치(8.5%), 키라라(4.8%) 등 10여 품종이며 최근에는 형질전환 품종의 연구와 함께 생물공학적 연구, 생리, 품질, 곤충과 잡초, 토양, 식품가공 등 기본적인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쌀 품종으로는 냉동조리쌀밥, 초밥, 레토르트룡 쌀 등 가공용으로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밀로오즈의 함량을 5-15%로 낮춘 쌀이나 카레, 필라프, 튀김 쌀 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아밀로오스의 함량을 30%이상으로 높인 쌀 뿐만 아니라 곡립의 크기와 길이 등을 변형시킨 쌀, 유색미, 향미, 단백질 함량 조절 쌀, 거대 배아미, lipoxigenase 활성을 없앤 쌀, 단맛나는 쌀 등이 연구, 생산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쌀이용은 먼저 가공용 쌀을 들 수 있다. 밥, 청주, 스낵, 쌀가루, 미소발효 등 다양하게 이용이 되고 있으며 parboiled rice와 이의 색과 향을 개선한 converted rice, 현미를 이용한 가공쌀, 쌀빵, 현미가루, 세척미, 쌀국수, 쌀스낵, 당과, 죽, ?은 채소아 함께하는 타키코미고한, 초밥, 냉동쌀밥, 무균포장밥, 건조밥, 즉석밥 등 매우 다양하다.

  • PDF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현황)

  • Liao, Xiyu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3-31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면적과 생산량의 20.7%와 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으로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려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징 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TEX>$\times$10cm의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경장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다. 9 경직경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소식일수록 크고 20$\times$10cm의 밀식일수록 작았다 10. 수량구성요소인 주근장과 수량인 건근중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재식주수가 적을수록 높아서 재식주수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1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경직경이 크고 주근장이 길어서 10a당 건근중이 많은 30$\times$10cm(33주/$m^2$)가 알맞은 재식거리였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농약취급시의 건강장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대두 단백질로 코팅된 golden delicious는 상온에서60일 동안 보관하였을 경우, 사과표피의 색도 변화를 현저히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ontrol과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사과에 코팅하였으며, 상온에서 보관하여을 때 사과의 품질을 30일 이상 연장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대두단백질 필름이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

  • PDF

쌀과잉섭취로 인한 영양상 문제점 - 성장부진 활동감퇴 현상

  • 한인규
    • Food Industry
    • /
    • s.15
    • /
    • pp.42-46
    • /
    • 1973
  • 우리나라는 지난 10년동안의 농림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쌀의 생산량은 년간 400만톤 내외로써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인구증가로 인한 쌀의 소비량은 계속 늘어나서 쌀의 도입량은 해마다 늘고 있는 실정이다. 1971년에는 그 수입량이 무려 100만톤에 이르렀다.

  • PDF

Development of Rice noodles with lotus leaf (연잎을 이용한 쌀국수 개발)

  • Woo, Na-Ri-Yah;Chung, Hae-Kyung;Kim, Ji-Hyun;Lee, Tae-R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14-1016
    • /
    • 2010
  • 우리나라 쌀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되고 있으나, 1인당 쌀 소비량은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수급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충청남도는 최근 6년간 전국 쌀 생산량 1위를 차지해 오고 있어서 쌀 소비의 확대방안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취반용 쌀 소비량 확대만으로는 쌀 소비량 증대에 한계점이 있으므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고 기능성, 간편식으로 다양한 기호성을 지닌 쌀 가공식품 형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제품개발로 쌀을 이용한 쌀국수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쌀국수 제품개발은 쌀을 이용한 제품개발은 또다른 시도가 되어 쌀 소비촉진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능성 쌀국수 개발을 위하여 천연물 중 연잎 소재를 첨가하였다. 연잎은 차와 사찰음식을 대표하는 소재중 하나이다. 연잎에는 비타민 C와 섬유소가 매우 풍부하다. 이러한 성분은 미용식품으로써의 응용이 가능하며, 식이 섬유소는 배변작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quercetin은 플라보이드 배당체이며, 우리 몸의 세포의 노화를 유발하는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연잎을 이용하여 고 기능성 쌀가공품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쌀가루 50%를 기준으로하여 연잎가루는 3% 첨가하였으며, 전분의 종류를 달리하여 최종 제품을 개발한 결과, texture analyser로 물성을 측정한 결과 타피오카 전분과 쌀가루 혼한 쌀국수의 물성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도 타피오카 전분과 쌀가루 혼합 쌀국수가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감자전분과 밀가루는 다소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쌀제품 개발시 쌀의 가공적성 및 기능성 소재의 첨가 비율 확립하고, 연잎과 같은 쌀국수에 첨가 가능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첨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meta analysis of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rice yield in South Korea (기후변화가 국내 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Shin, Deok Ha;Lee, Mun Su;Park, Ju-Hyun;Lee, Yung-Seop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2
    • /
    • pp.355-365
    • /
    • 2015
  • As the global climate has dramatically changed over the past decades,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evaluating its effects on food security,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iel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agriculture using meta-analysis methods. Especially, our research focus is on estimating the effect of CO2 concentration and two adaptations (planting-date and cultivar adjustments)on rice that accounts for a larger proportion of the Korean domestic agriculture. Unlike traditional general meta-analysis methods that use summary statistics of effects of interest, meta analysis specific to the agriculture literature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the data on rice yield that were generated under various CO2 emission scenarios and general circulating models of the 6 collected individual studies. As a modeling approach, the rice yield change ratio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CO2 concentration and adaptation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CO2 is estimated to have opposite effects on rice yield depending on whether any of the two adaptations is applied or not; decreasing effect without adaptation and increasing effect with adaptation. 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the cultivar adjustment has a higher increasing effect on rice yield than the planting-date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quantitative data for establishing responsive polices to the future climate changes.

연을 이용한 새로운 차 및 식품의 개발

  • Gwon, Ju-Chan;Jo, Jin-Hui;Seo, Seung-Y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Conference
    • /
    • 2003.10a
    • /
    • pp.81-84
    • /
    • 2003
  • TWO 협상의 결과로 농산물개방이 조만간 이루어지게 되면 쌀 생산을 중심으로 한 농업생산은 중국과 미국 등의 경쟁을 이기기가 상당히 어려워 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 쌀의 과잉생산으로 정부에서는 쌀 이외의 작물을 논에서 기르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재배 경제성과 재배된 연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와 식품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먼저 연을 품종을 선별하였다. 본사에서 소유한 100여종의 연을 재배하여 식품으로 개발하기에 최적인 연을 선별하였다. 여러 가지 관능적인 미각 테스트와 생산량의 검정을 통해서 선별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은 연들이 아린 기운이 많아서 식품으로 개발하기 어려웠다. 색깔이 진하면 진할 수록 아린 맛이 진하였다. 그러나 백련만은 맛도 우수하였고 생산성도 우수하였다. 식품으로 개발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를 조사하였다. 백련의 향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다가 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향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전 후가 가장 좋은 시기였다. 생산량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지만 이 추석 후에는 잎이 누렇게 변하기 시작하여 실제적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생산량이 떨어 졌다. 수확된 제품을 연차와 연식품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Survey on Current Status of Head-rice Processing Facilities (완전미 가공시설 실태조사 연구)

  • 최희석;박회만;정성근;홍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131-136
    • /
    • 2003
  • 쌀은 우리 국민의 주식이자 단일 작물로써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105-110만㏊ 수준에 연간 생산량도 500만톤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중요한 식량작물이자 농가의 주 소득원이다. 그러나 이렇게 쌀의 생산량은 꾸준한데 비해 국민의 식생활이 점차 인스턴트 화되고 육류소비가 증가하면서 연간 쌀 소비량이 1990년 119.6kg에서 2002년 87.0kg으로 급격히 감소추세를 보임으로써 2002년도 기준으로 약 1,190만석의 재고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WTO출범이후 MMA 물량이 2002년 125만석에 이르렀고, 2005년 이후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국내 쌀 시장은 이제 과잉공급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