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해역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방조제 주변 설계파의 추정

  • 유동훈;원유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38-41
    • /
    • 1996
  • 심해에서 풍파의 형성은 주로 바람에 의한 마찰력과 파와 파간의 상호간섭 그리고 white capping 현상등에 의한 1차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파의 변이는 주로 이상의 세 가지 물리현상에 좌우된다. 이러한 심해역에서의 파의 변이를 해석할 때 굴절, 회절 및 마찰손실 등에 의한 천해역 현상은 무시할 수 있으며 풍파의 형성은 주로 바람 조건에 좌우된다. 그러나 파도가 일단 심해역에서 천해역으로 들어오게 되면, 천수, 굴절, 회절 및 마찰손실 등에 의하여 급격하게 변이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ipwaves in shallow water (천해역에서의 항주파의 특성에 관한 연구)

  • Gang Song-Jin;Kim Sun-Kyu;Son Chang-Bae;Kim Jong-Sung;Hong Jeong-Hyeok;Kim Cha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185-190
    • /
    • 2006
  • Damages such as beach erosion, seawall destruction and difficulty of cargo working due to rolling of ship result from shipwave. In addition, high speed operations of motor boat and passenger ship respectively jeopardize sea bathers and anglers' safety. In general, shipwaves in shallow water have worse effect on coastal facilities and working people there than those in deepwat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hipwaves which occurred and propagated in shallowwater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 PDF

천수역에서의 교차파의 비선형거동에 관한 연구

  • 강윤구;암전호일랑;류청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91-94
    • /
    • 1995
  • 비선형인 다방향파의 기본특성을 구명하는 기초적 인 연구단계로서, 2방향파 또는 3방향파 등의 유한진폭의 기본구성파 사이의 비선형간섭에 관한 연구가 50년 이전부터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비선형간섭에 관한 연구는, 처음에 심해역을 중심으로 행해졌으며(Phillips, 1960; Longuet-Higgins, 1962; Su, 1982). 천해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경사입사파와 반사파 간의 비선형간섭(Hsu et al., 1979) 그리고 동일지상와 파고의 2방향파간의 비선형간섭(She.1991;Moriya &Mizuguchi,1994) 등이 있다. (중략)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ort Wave Propagation by the Combination of Parabolic Model and Hybrid Element Model (PARA-FEM) (포물형 광역모형과 혼합요소모형의 결합을 통한 단주기 파랑전파 수치모의)

  • 이우영;성상봉;전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58-62
    • /
    • 2003
  • 기존의 혼합요소모형(박 등, 1994; Demirbilek and Panchang, 1998)은 반원형태의 정합경계에 파고와 파향을 일정하게 입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계산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합경계가 되도록이면 심해파 해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국내의 남ㆍ서해안과 같은 지역은 심해역이 육지로부터 상당거리 떨어져 있으므로, 정합경계가 심해파 해역조건에 위치하게 되면 계산 Mesh의 수가 막대하게 되어 계산기 용량초과 및 계산속도 저하가 초래된다. (중략)

  • PDF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Long Period Waves by Field Observation (현장관측에 의한 장주기파의 천이특성)

  • 김규한;김덕중;류형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1
    • /
    • pp.34-40
    • /
    • 2002
  • In order to estimate the height of long period wave from character of deep water wave, field observation is carried out three wave gauge are arranged by a straight line from the seashore to offshore direction and the result is analyzed. In addition, the existing theory of the mechanism for long period wave producer is verified by field observ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deep water wave and long period wave of shallow area is examined. Observed long period wave is coincided with the existing theory for the most part. In order to add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of long period wave, the height of long period wave is calculated by the composition of long period wave in each position. As a result, the relation of long period wave and deep water wave is presented more clear. Estimate formula is drew through them.

Wave Distribution with Reflection In Dongbaek Island Area (반사율을 고려한 동백섬 해역의 파랑 분포)

  • 유동훈;신수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254-258
    • /
    • 2003
  • 파도가 심해역에서 천해역으로 들어오게 되면 천수, 굴절, 회절 및 마찰손실 등에 의하여 급격하게 변이한다. 따라서 수치모형의 격자는 해저지형 및 파의 변이 정도에 따라 상당히 작은 크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대개 100 m 내외가 되며 때로는 10 m까지 상당히 작은 크기의 격자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중략)

  • PDF

바람장을 이용한 파랑산출시 연안에서의 SWAN(phase-averaged)모델과 SWASH(phase-resolving)모델의 파랑전파양상 비교

  • Ha, Chang-Sik;Kim, Maeng-Jin;Kim, Tae-Hyeon;Kim, Tak-Gyeom;Yu, Ha-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53-1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일본 기상청(JMA)에서 제공하는 JMA-MSM (Meso-Scale Model) 바람장을 SWAN 모델에 입력자료로 적용하여 파랑전파를 모의하였다. 영역은 심해역·중간역·연안역으로 설정하였다. 산출된 모델링의 결과는 관측자료와 비교·검증하여 모델 구축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연안역에서 SWAN모델의 파랑스펙트럼정보를 입력조건으로 하는 SWASH모델의 영역을 구축하여 두 모델간 파랑전파양상을 비교하였다. SWAN(phase-averaged) 모델과 SWASH(phase-resolving) 모델은 지배방정식의 차이에 따라 파랑의 위상처리 방식 등의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한 연안역에서의 파랑전파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어항소식

  • 한국어항협회
    • Monthly Newsletter
    • /
    • no.2
    • /
    • pp.1-4
    • /
    • 1988
  • 수협중앙회 본회 가입 - 전해역 심해파 추정 - '어항, 인식 대전환을'

  • PDF

A Study on the Extension of WAM for Shallow Water (WAM모형의 천해역 확장에 관한 연구)

  • Chun, Je-Ho;Ahn, Kyung-Mo;Yoon,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2
    • /
    • pp.148-156
    • /
    • 2008
  • WAM(WAve Model), deep water wave model has been extended to the region of shallow water, incorporating wave breaking, and triad wave interaction. To verify this model, two numerical simulations for hydraulic experiments of Chawla et al.(1998) and Beji and Battjes(1993) are performed. The compu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with measured ones. To identify its applicability to real sea, it is applied to storm wave modelling for typhoon Maemi. Numerical results compared with measured ones at Geoje, Busan and Ulsan show reasonable wave height estimations.

Directional Irregular Wave Generation with Side Wall Reflection (측면 반사를 고려한 다방향 불규칙파 생성)

  • 양찬규;홍기용;홍석원;최학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3-57
    • /
    • 1997
  • 해양파는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주된 외력이고, 쇄파와 물질의 확산등 해양의 역학적 현상을 유발하며, 표사와 누유의 이동등 물질유동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확한 해양파의 역학적 특성 및 재현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Longet-Hggins(1975)와 Barber(1963)가 파의 방향분산성을 나타내는 방향스텍트럼 해석법을 제안한 이래 Mtsuyasu(1970)는 실해역 측정을 통해 Mitsuyasu형 방향분포함수 및 주파수 스펙트럼을 얻는 등 많은 심해역 파랑의 해석기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