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장 이식 수술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16초

신생아의 복잡심장기형에서 심장이식을 위한 동물실험 (Animal Experiments of Heart Transplantation for Complicated Congenital Heart Disease in Neonate)

  • 박영환;윤치순;정원석;김명옥;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04-509
    • /
    • 1999
  • 배경: 복잡심장기형의 경우 완전교정술식의 높은 난이도와 사망율로 말미암아 심장이식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심장을 이식하기에 곤란한 복잡기형의 경우 수술전 자세한 계획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신생아의 복잡심장기형에서 심장이식을 고안하기위한 동물실험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마리 신생돼지를 사용하여 4차례 심장이식실험을 하였다. 실험 1: 성인에서의 심장이식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실험 2: 좌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의 경우를 모의실험하기 위하여 공여돈의 대동맥궁을 이용한 성형수술을 하였다. 실험 3: 폐동맥성형술을 동반한 심장이식을 하였다. 실험 4: 이식후 장기 생존을 위한 실험을 시도하였다. 결과: 신생돈에서의 심장이식수술은 큰 어려움없이 시행할 수 있었다. 실험후 인공심폐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나 2마리는 폐동맥연결부위와 좌심방연결부위의 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이상의 실험으로 대혈관의 위치에 따라 세심한 수술계획을 한다면 거의 실행하지 못할 복잡심장기형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신생아의 경우는 특히 출혈에 대해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여호와의 증인의 심장이식 - 1례 보고 - (Cardiac Transplantation in a Jehovah's Wittness A Case Report)

  • 박국양;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37-539
    • /
    • 1997
  • 40세된 한 여호와의 증인 환자에게 혈액제제의 사용없이 심장이식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다. 환자는 수술 전 심방세동을 보여 항응고제를 사용중이었는데 프로트롬빈치가 Hm기준으로 2.4의 상태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환자의 수술후 총 출혈양은 860cc 였으며 최소 헤모글로빈치는 12.2gm/이전로 수술전의 13.8 glen에 비해 불과 1.6 gm/이밖에 감소 하지 않았다. 환자는 수술후 12시간 만에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수술후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경과는 매우 양호한 상태이다. 본 환자에 있어서 성공적인 무혈 수술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중 cell saver의 사용, 정맥내 aprotinin의 처치, 그리고 수술중 지혈의 세밀함이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 PDF

심장-폐이식 1례보고 (The First Successful Heart-Lung Transplantation in Korea)

  • 박국양;김주이;박철현;김상익;김정철;현성열;심현자;정미진;권진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610-614
    • /
    • 1998
  • 12세된 여자 환자에서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심장-폐 동시이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다. 환아는 심실 중격결손증이 없는 폐동맥 폐쇄증으로 좌폐부전과 함께 우심실의존성 관상동맥혈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심술에 의한 일반적인 심장 수술은 불가능하였다. 장기 제공자는 9세된 남아로 교통사고에 의한 뇌출혈이 사망의 원인이었다. 심장폐이식은 1997년 4월 20일 이루어 졌다. 이식시 수술 방법은 소위 아리조나 방법으로 양측 폐문부를 환아의 횡격막 신경위로 놓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수술시 지혈에 큰도움이 되었다. 수술후 환자는 두가지 큰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하나는 발열이고 둘째는 기관 문합부위 협착을 들수가 있다. 수술후에 계속되었던 발열은 결핵약 투여후 극적으로 소실되었으며 기관 협착에 의한 호흡 곤란은 수술후 제 71일째 실시한 금속성 그물망에 의한 확장으로 치유 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7개월째 호흡 곤란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운동 및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이 양호한 상태로 지내고 있다.

  • PDF

78세 고령에서의 심장이식 (Heart Transplantation in a 78-year-old Patient)

  • 박병준;박표원;최선우;성기익;양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40-642
    • /
    • 2008
  • 고령은 심장이식 후 사망의 위험인자로 상대적 금기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일부 연구에 의하면 젊은 환자에 비교하여 초기 및 중기 생존률의 통계적 차이가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평균 수명의 연장과 보전적 투약 치료의 발전으로 심장이식수술이 유일한 치료로서 합당한 고령의 말기 심질환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저자들은 78세의 고령의 환자에게 성공적으로 심장이식수술을 시행하였기에 그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환자에서 양심실 순환보조를 중개로 한 후 발생한 급성신부전 환자에서의 심장 이식수술 치험 1예 (A Case Report of Heart Transplantation Bridged by Bi-ventricular Assist Device in a Pediatric Patient of Prerenal Type ARF)

  • 나용준;곽재건;김진현;오세진;이재항;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54-857
    • /
    • 2006
  • 환자는 8세 여자 환자로 확장성 심근병증을 진단 받은 환자이다. 환자는 심부전으로 인하여 양심실 순환보조를 15일간 시행하였다. 15일 중 후반기 7일은 급성 신부전증이 발생하여 지속적 정맥-정맥간 혈액투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뇌사상태의 A형 혈액형을 가진 심장 공여자에게서 심장을 이식받아 심장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면역 억제제는 급성 신부전증을 고려하여 사용하였다. 신부전 상해는 2주간 지속되었고, 심장 이식술 후 약 14일 후 배뇨가 시작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12일째에 시행한 우심실 조직검사에서 특별한 거부반응의 증거가 없었으며, 면역요법 후 수술 후 52일째에 특별한 문제 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술 후 약 14개월간 조직검사에서 면역 거부반응 없이 외래 경과관찰 중이다.

심장-폐 이식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Heart-Lung Transplantation)

  • 노준량;허재학;오삼세;김영태;이정렬;이기봉;오병희;한성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1004-1008
    • /
    • 1998
  • 본 논문은 동맥관개존증으로 인한 Eisenmenger 증후군 환자에서 시행된 심장-폐이식 수술에 대한 증례 보고이다. 동맥관 개존증으로 인한 Eisenmenger 증후군인 32세의 여자 수혜자는 1996년 6월 이후 심부전으로 심한 호흡곤란을 겪고 있었으며, 1997년 7월초에 빈맥, 호흡곤란, 하지부종을 주소로 응급실을 통하여 입원한 후 호흡곤란, 저산소증, 상심실성 빈맥, 전해질 이상 등으로 치료받으면서 퇴원하지 못하고 심장-폐 이식 대상자로 등록되었다. 수술전에 시행한 심초음파검사에서 우-좌단락의 동맥관개존증, 우심실 및 우심방의 심한 확장, 100 mmHg의 우심실 수축기압 소견을 보였다. 폐동맥압이 체동맥압보다 높게 역전되어 있었고 심한 이산화탄소 정체 및 저산소증의 소견을 보여서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로 호흡기능을 보조받고 있었다. 공여자는 교통사고로 두부손상을 입고 뇌사판정을 받은 1 8세 남자였다. 공여자 및 수헤자의 혈액형은 모두 AB(+)형이었다. 1997년 10월 26일 심장-폐이식을 시행하였다. 심장 -폐분절은 공여자가 있던 타병원에서 구득하여 냉장보존 상태로 본원으로 이송하였다. 이식된 심장 및 폐의 총 허혈 시간은 각각 249분 및 270분이었다. 면역억제요법은 cyclosporine, azathioprine을 수술전부터 투여하였으며 steroid 는 기관 문합부위의 치유와 감염예방을 위하여 수술후 3주 이후부터 사용하였다. 환자는 수술후 31일째에 특별한 합 병증없이 퇴원하였으며 심장-폐이식후 4개월이 지난 현재, 심폐기능의 이상소견과 거부반응의 증거없이 NYHA funct ional class I의 상태로 지내고 있으며 면역억제제와 예방적 항생제, 소량의 이뇨제 및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다.

  • PDF

심장 이식 수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단일 사례 연구 (Treatment of Dysphagia in a Cardiac Transplantation Patient: A Case Study)

  • 이수정;김두규;서상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3호
    • /
    • pp.85-100
    • /
    • 2024
  • 목적 : 사례연구를 통해 심장이식 수술 후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의 증상을 알아보고 작업치료실에서 적용한 연하장애 재활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심장 이식 수술 후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 1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통해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와 침습-흡인 척도, 삼킴 곤란 결과 및 증증도 척도를 2주 간격으로 총 3회 실시하였다. 치료 기간은 2023년 7월 19일부터 8월 21일까지 회기당 30분씩 총 8회 실시하였다. 후두 상승과 상부식도조임근의 충분한 열림 및 잔여물의 감소를 위한 교정적 치료(혀-유지 기법, 저항성 턱 당기기 운동, 멘델슨 기법, 노력 삼킴, 호흠근육 운동)와 기도보호를 위한 보상적 치료(턱 당기기 자세, 여러 번 삼키기, 음식 양과 점도 변경) 및 보호자 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 검사의 점수가 50점에서 30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침습-흡인 척도의 단계는 5단계에서 3단계로 향상되었다. 삼킴 곤란 결과 및 중증도 척도에서는 2단계에서 4단계로 향상되었다. 결론 : 심장 이식 수술 후 연하장애를 보이는 경우 연하재활치료가 환자의 삼킴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심장 이식 수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의 효과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분만 후 발생한 심근병증 및 만신신부전 환자의 심장-신장 동시이식 수술 체험 1예 (Combined Heart and Kidney Transplantation in Patient with Postpartum Cardiomyopathy and Renal Failure)

  • 이승철;함시영;김재중;한덕종;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714-717
    • /
    • 2006
  • 심장과 신장의 경우 현대의학에서 이식이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만성신부전은 심장이식의 금기였으며, 심부전도 신장이식의 금기로 심장과 신장의 동시이식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았다. 하지만 심부전과 신부전에 대한 치료의 발달로 심장-신장 동시이식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면역학의 발달과 수술 기술 등의 발달로 그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69년과 1992년에 신장이식과 심장이식이 각각 성공하였으나 그동안 동시이식은 없었다. 본 증례는 분만 후 발생한 심근병증으로 심부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던 33세의 여자환자에 대해 본원에서 1년 전 시행한 '심장-신장 동시이식'에 대한 보고이다. 현재 환자는 정상 심장기능에 투석 없이 건강하게 생활하고 있으며 이에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더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