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장 기능

검색결과 751건 처리시간 0.025초

급성심근경색 쥐 모델의 심정지 후 조기 저체온 치료가 심폐소생술 결과에 미치는 효과 (Early hypothermia improves outcom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fter cardiac arrest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at models)

  • 박정현;임희경;김지희;이영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9
    • /
    • 2016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쥐 모델에서 심장정지를 유발시킨 후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조기 저체온 치료를 적용하여 심장근육의 기능회복과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체중 450-550g의 수컷 Sprague Dawley 쥐 10 마리에 개흉을 실시하였다. 왼내림심장동맥을 묶어서 심근경색을 유발시켰다. 왼내림심장동맥을 묶은 후 90분 동안 심실세동을 유도하고,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정상체온군)은 회복과정에 정상체온으로 유지한 군이며, 실험군(저체온군)은 회복과정에 $32^{\circ}C$ 4시간 저체온을 유지한 군이다. 연구 결과: 심박출량, 좌심실박출률, 심근수행지수는 심폐소생술 후 첫 4시간 동안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의 생존시간은 대조군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p<.050).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조기 저체온 치료의 적용이 급성심근경색의 심폐소생술 후 심장 기능을 개선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치료법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다.

관상동맥우회술 중의 경식도 초음파에 의해 발생한 심부감염을 동반한 Pyriform Sinus 천공 - 치험 1예 - (Pyriform Sinus Perforation with Deep Neck Infection Caused by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A case report -)

  • 장형우;유재석;황호영;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528-531
    • /
    • 2009
  • 경식도 초음파는 심장수술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 중 심장의 기능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경식도 초음파 관련 합병증은 드물지만 하인두 손상이나 식도 천공 등 위험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폐부종을 동반한 심근경색으로 진단받은 77세 남자환자에서 심폐 바이패스를 사용하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후, 수술 중 경식도 초음파 시술과 관련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pyriform sinus 천공 및 이에 동반된 경부 심부감염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심장기능 평가를 위한 견 적출심장 관류장치의 설계 (Isolated Working Canine Heart Perfusion Apparatus for Evaluation of Myocardial Protection Methods)

  • 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246-253
    • /
    • 1988
  • An in vitro model providing with a recirculating perfusion apparatus using an isolated canine heart and its autogenous blood, which was prepared for study of myocardial protection method. This apparatus was easily used by quick connect system and maintained well heart function for about 2 hours. The Langendorff perfusion was initiated for a 10 minute period by introducing perfusate at 37` into the aorta from aortic reservoir located 100 cm above the heart. The isolated perfused working canine heart model was a left heart preparation in which oxygenated perfusion medium [at 37K] entered the cannulated left atrium at a constant flow rate [900ml/ min] under 20 mmHg overflow system and was spontaneously ejected[no electrical pacing] via an cannula against a hydrostatic pressure of 80 cm H2O. During this working period, various indices of cardiac function were measured. The cardiac functions were stable for over 2 hours with perfusion of Krebs-Henseleit solution and autologous blood[1:1] mixture in volume and maintained heart rate ]]3-122/bpm peak systolic pressure 109-113 mmHg, cardiac output 900 ml / min and left atrial mean pressure 8-9 mmHg. In this model, the efficiency of myocardia] protection could be easily measured by means of functional, enzymatic, bi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ssessment. And also, we believe this model to be a useful assessment screening model of recovery state after long duration of myocardial preservation of donor heart without difficult transplantation procedures.

  • PDF

인공심장판막에 대한 재치환술 (Reoperations on Heart Valve Prostheses)

  • 김재현;최세영;유영선;이광숙;윤경찬;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65-1171
    • /
    • 1998
  • 배경 : 인공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인공판막의 기능부전이나 합병증으로 재치환술의 빈도가 증가하고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인공심장판막에 대한 재치환술시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수술성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계명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인공심장판막질환에 대한 재치환술을 받은 124예에 대하여 술전 임상적 소견 및 수술성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3예는 2차로 재치환술은 받은 경우였다. 심장판막재치환술의 원인으로 조직판막자체의 구조적 실패가 96례(77.4%)로 가장 많았고 판막혈전증 16례(12.9%), 심내막염 7례(5.6%), 판막주위누출 5례(4.1%)가 있었다. 결과: 심장판막재치환술의 병원사망률은 8.9%였고, 술후 사망원인으로는 저심박출증이 가장 많았다(70.6%).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서는 NYHA functional class,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LVSD, 체외순환시간이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재치환술후 병원사망의 술전 위험인자들로는 LVSD, NYHA functional class IV,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등이었으며( p < 0.05), 연령이나 성별, 흉부 엑스선상 심흉곽의 비 등은 위험인자가 되지 못하였다. 결론: 술전의 임상적 소견중 LVSD, NYHA functional class,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등이 재치환술후의 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술전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심장판막재치환술은 심장 및 신기능이 악화되기 이전에 가능한한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허혈전처치의 허혈심장 보호과정에서 Adenosine 및 Protein Kinase C의 역할 (Role of Adenosine and Protein Kinase C in the Anti-ischemic Proces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in Rat Heart)

  • 유호진;박종완;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7
    • /
    • 1996
  • 허혈전처치(IP)의 히혈-재관류손상에 대한 심근 보호작용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denosine에 의한 PKC자극이 허혈전처치의 주요 기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흰쥐 적출심장의 Langendorff 관류 표본에서 실험적인 허혈(30분)-재관류(20분)손상을 유도하였고, 허혈전처치는 허혈-재관류 손상 유도 전에 5분 허혈-5분 재관류를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심근 손상의 지표로 심수축기능, 세포질효소 유출을 측정하였다. Adenosine이 허혈전처치의 심보호 효과에 관여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adenosine수용체 억제제인 8-(p-sulfophenyl)-theophylline(SPT), Xanthine amine congener(XAC) 및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 (DPCPX)을 허혈전처치 유도 전에 투여하였다. 또한 PKC가 허혈전처치의 세포내 매개인자로 관여 할 가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PKC활성 억제제인 polymyxin B 및 chelerythrine과 PKC translocation 억제제인 colchicine을 허혈전처치 유도 전에 투여하였다. 연구성적은 다음과 같다. 1) 허혈전처치는 허혈재관류 심장의 심기능의 저하를 현저히 회복시켜 심기능 회복률은 75%에 달하였다. 2) 허혈-재관류 심장에서 lactate dehydrogenase유출증가는 허혈전처치에 의해 현저히 저하되었다. 3) Adenosine 비선택적 차단제인 SPT와 Al 선택적 차단제인 DPCPX 및 XAC의 투여가 허혈전처치에 의한 심기능회복 및 LDH 유출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PKC활성 억제제인 polymyxin B 와 chelerythrine을 처치시 히혈전처치 심장의 심기능 회복률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LHD 유출 역시 대조군 심장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5) PKC translocation을 방해하는 colchicine도 허혈전처치의 심보호 효과를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adenosine은 흰쥐 심장에서 허혈전처치의 심보호효과에 중요한 세포외 매개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희박하며, PKC는 흰쥐 심장에서 허혈전처치시 세포내 매개 인자로 관여하여 허혈전처치에 의한 심보호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Swan-Ganz Catheter를 이용한 심폐기능 이상자의 지속적 심박출량 측정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ntinuous cardiac output measurement module development of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patient of using the Swan-Ganz Catheter)

  • 한승환;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4-19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심폐기능에 이상이 있는 중환자의 상태를 감시 및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Swan-Ganz Catheter를 체내에 삽입하여, 지속적인 심박출량 데이터를 기존 장비들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전에 차가운 수액을 심장 내에 주입하여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지속적인 환자의 감시 및 진단이 힘들다는 점을 보완하여 지속적인 심박출량 측정을 통해 심폐기능 문제를 가진 중환자를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 PDF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한 외과적 치료: 승모판막재건술과 승모판막치환술의 비교 (Comparison of Repair and Replacement for Mitral Valve Regurgitation)

  • 안지섭;최세영;박남희;유영선;이광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18-124
    • /
    • 2001
  • 배경: 승모판막재건술이 승모판막치환술보다 술후 좌심실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수술사망율과 인공판막에 관련된 합병즈인 혈전색전증, 심내막염 및 항응고제사용에 따른 출혈빈도는 낮다고 하였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승모판막폐쇄부전으로 진단된 환자 87례를 대상으로 재건술군 59례, 치환술군 28례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환자들의 NYHA 기능분류, 흉부 X-선상 심흉곽의 비, 심초음파상 좌심실박출계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인질환은 양군에서 퇴행성 병변이 가장 많았다. 체외순환시간은 재건술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나 수술사망은 양군에서 없었다. 술후 NYHA 기능분류, 흉부 X-선상 심흉곽의 비는 향상되었으나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술후 좌심실박출계수는 두 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하여 재건술이 치환술처럼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심폐기능의 이상을 초래한 만성 결핵성 농흉의 치료 -1예 보고- (Treatment of Huge Chronic Tuberculous Empyema with Cardiopulmonary Dysfunction -1 case report-)

  • 박준석;최용수;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88-192
    • /
    • 2004
  • 만성 결핵성 농흉의 치료에 있어서 흉관삽입은 empyema necessitatis 및 상행성 감염의 위험성으로 인해 금기로 간주되어왔다. 하지만 심폐기능의 장애가 존재할 경우 농흉의 배농 및 감압이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만성 결핵성 농흉이 너무 커져 종격동의 편위 및 심폐기능의 이상을 초래한 경우를 경험하였다. 즉각적인 감압을 위해 흉관삽입술을 시행하였고, 한 달간 주기적인 흉강세척을 시행한 후, 전폐늑막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성공적으로 치유되었으며, 합병증 및 감염의 재발은 없었다.

'어디가 피로한가에 따라 건강 확인하기'<1>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환경기술인
    • /
    • 제22권통권230호
    • /
    • pp.98-99
    • /
    • 2005
  • 아침에 일어날 때 피로하다면 신경계 이상에 의한 피로일 수 있다. 과로도 안했는데 오후만 되면 움직이지 못하게 피곤하다면 질병일 수 있다. 이렇듯 피로한 부위가 어딘가에 따라 건강을 확인해볼 수 있다. 눈이 피곤하다면 간이 약한 것이다. 또 눈 주위에 붉은 핏줄이 선다면 심장이 약한 것이다. 눈꺼풀이 붓고 눈물이 많아지며 집중력이 떨어진다면 비장에 이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래 눈꺼풀이 붓고 눈이 침침하며 어지럽다면 신장기능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이가 들뜨고 시큰거리며 피로하다면 위가 나쁜 것이고, 손발이 나른하며 붓고 움직이기 싫다면 비장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또 팔 다리 관절 및 허리와 무릎 관절이 쑤시고 피로하다면 비장과 신장이 약한 것이다. 목소리에 힘이 없으면 기가 허한 것이고 방광기능도 살펴야 한다. 목소리가 자주 가라앉고 잘 쉬면 신장기능을 점검해야 한다. 또 목소리가 몹시 조급한 느낌이 들면 폐기능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 PDF

골수단핵세포 이식에 의한 심장근육 조직 재생

  • 류주희;김일권;조승우;임상현;유경종;홍유선;최차용;김병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95-9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심근의 재생을 위하여 골수단핵세포를 SD 래트에 이식하였고 5주 후에 심근의 재생, 신생혈관의 형성과 더불어 심장의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수단핵세포를 손상된 심근경색 부위에 넣어주는 것은 추가 보완 실험을 통하여 심근경색의 치료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