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부 시추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groundwater affected by reclamation (해안가 매립으로 인한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 서정율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4 no.1
    • /
    • pp.1-20
    • /
    • 2004
  • This study focuses on the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goundwater affected by reclamation at 2000 Sydney Olympic Games site, Sydney, Australia. The Olympic Games site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i.e. reclaimed areas; landfill areas and non-infilled areas. In the current work, 'reclaimed areas' were previously estuarine, and were filled with waste materials and are now above present high tide level, whereas 'landfill areas' are areas where deposition of waste materials occurred above sea level. No deposition of waste took place in 'non-infilled areas'. This study was also evaluated by three different types such as deep boreholes, shallow boreholes and standpipes. The hydrochemishy of groundwaters in reclaimed and non-in-filled areas is characterized by Mg- and Ca-enrichment, whereas groundwaters in landfill areas are elevated in K and NO₃. Na, K and Mg are the dominant cations in groundwater from reclaimed areas and Na and K are the dominant cations in groundwater in landfill areas. Na and Mg are the dominant cations in groundwater in deep boreholes, whereas Na and K are the dominant cations in groundwater in shallow boreholes and standpipes. There is no distinct trend in heavy metals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groundwater between the re-claimed, landfill and non-infilled areas. Fe and Mn in landfill areas with respect to reclaimed areas and non-infilled areas show a distinct increase in concentration with declining pH. Mean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in the deep and shallow boreholes are higher than that of standpipes, but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groundwater in standpipes shows remarkably different value, probably due to perched p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Cu, Pb, Zn, Cr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with pH, from deep boreholes, shallow boreholes and standpipes, except for Fe and Mn, which demonstrate increasing concentrations with declining pH. The results revealed a close association between elevated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and the presence of fill materials at the site. Trace metals teachability from re-claimed soils adjacent to estua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potential environmental risk to surrounding environment.

시추공지하수의 지화학 파라미터 측정방법 고찰

  • Yu Si-Won;Park Gyeong-U;Go Yong-Gwon;Jeong Cha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80-283
    • /
    • 2005
  • 한국원자력연구소 내 심부시추공(YS-01, 500m)에 설치된 다중패커시스템(multi-packer system)을 이용하여 양수(pumping) 시 GL. $-457.5{\sim}-500m$ 구간의 지하수에 대한 중요한 지화학 파라미터인 pH, 산화-환원전위, 용존산소 및 전기전도도 등을 장기간 측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현장측정자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되며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 안정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산화-환원전위의 경우는 10일이 경과되었음에도 계속 변화하고 있다. 심부지하수 뿐만 아니라 일반 지하수의 경우에도 이러한 파라미터 측정 시 안정화시간에 대하여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PDF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Coastal Sediments along Moonamni, K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동해안 문암리 해안지층의 제4기 후기 퇴적층서화 환경)

  • 박용안;김수정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1
    • /
    • pp.29-35
    • /
    • 2001
  • The coastal deposits along Moonamni, Kangwon Province,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deeply cored sediments(down to the basement rocks :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nd granitic rocks) in order to understand and propose the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related major unconformities. Three major stratigraphic -depositional units are proposed. The neolithic cultural sites in the Moonamni area are considered as middle Holocene coastal dunes, which were developed due to active supply of beach sands from Unit I(Holocene transgressive deposit). Such coastal dune sediments are characteristic in the upper part of Unit I(Holocene in age). So far, Unit II and Unit III are considered as continental deposits, such as fluvial-swamp and alluvial deposit, respectively.

  • PDF

A magnetotelluric suvey result for exploration geothermal resources in Jeju Island (제주도 지열자원부존 여부 파악을 위한 MT탐사 결과)

  • Lee, Tae Jong;Lee, Seong Kon;Park, In Hwa;Song, Yoo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21.2-121.2
    • /
    • 2010
  • 제주도는 지질학적으로 제4기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지금까지 고온의 지열징후는 보고된 바 없으나, 남한에서 가장 최근까지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화산활동과 관련된 심부 지열자원 부존 가능성은 아직 열려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지열부존 가능성을 타진하고 제주도 심부 지질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2차원 및 3차원 자기지전류 (MT)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는 중산간지역에서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 서, 남, 북의 4방향 4측선과 제주 서부지역에 남북방향의 1측선을의 총 5개 측선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MT 탐사자료의 2차원 및 3차원 역산을 통하여 한라산 하부 및 주변의 심부 지질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역산 해석 결과는 천부 구조는 기존 시추조사 결과 밝혀진 층서구조의 형태를 잘 나타내어 획득된 자료의 신뢰도가 높음을 지시하였다. 즉, 제주도 최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현무암 등의 화산암류는 고비저항(수백 ohm-m)으로, 그 하부의 해성 미고결퇴적층(U층 및 서귀포층)은 저비저항으로, 그리고 최하부의 응회암이나 화강암으로 구성된 기반암은 1,000 ohm-m 이상의 고비저항 층으로 잘 구분되어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에서 특징적으로 해수면 하부 수십 ~ 수백 m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고결퇴적층이 10 ohm-m 내외로 측선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시추결과에서 미고결 퇴적층이 제주도 전역에 걸쳐 해수면 하부 100 m 내외의 심도에서 관찰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기반암 하부에서는 특징적으로 모든 측선의 중앙부에서 저비저항 이상대가 영상화되었으며 이는 2차원 역산과 3차원 역산해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3차원 해석에서는 이러한 저비저항 이상대가 한라산 정상에서 서북쪽 부근에 나타나는데 이는 과거의 화산활동과 관련된 지질학적인 구조에 의한 영향일 가능성과 측선의 양단과 중앙에서 주변 바다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일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 즉, 전자는 심부에 발단된 각각의 파쇄대가 모든 측선의 중앙부에서 교차하거나 이를 통한 한라산의 생성과정과 연관된 지질학적인 구조일 가능성을 의미한다. 만약 한라산을 형성한 화성활동의 영향이 아직 지하 심부에 남아있다면 지열수의 부존 혹은 마그마의 통로가 되었을 단층의 영향으로 한라산 하부에 저비저항 이상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후자에 의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향후 주변바다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3차원 역산해석이나 심부시추 등을 통한 상세한 지질조사 등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Novel Joint Device for a Disposal Canister in Deep Borehole Disposal (고준위폐기물 심부시추공 처분을 위한 처분용기 접속장치의 개발)

  • LEE, Minsoo;LEE, Jongyoul;JI, Sung-Ho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6 no.2
    • /
    • pp.261-270
    • /
    • 2018
  • In this study, to replace the 'J-slot joint', a joint device between a disposal canister and an emplacement jig in Deep Borehole Disposal process, a novel joint device was designed and tested. The novel joint device was composed of a wedge on top of a disposal canister and a hook box at the end of a winch system. The designed joint device had merits in that it can recombine an emplaced canister freely without the replacement of the joint component. Moreover,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mplacement jigs such as drill pipes, wire-lines, and coiled tubing. To demonstrate the designed joint device, the joint device (${\Phi}110mm$, H 148 mm), a twin canister string (${\Phi}140mm$, H 1,105 mm), and a water tube (${\Phi}150mm$, H 1,500 mm) as a borehole model were manufactured at 1/3 scale. As deployment muds, Na-type bentonite (MX-80) and Ca-type (GJ II) bentonite muds were prepared at solid contents of 7wt% and 28wt%, respectively. The manufactured joint device showed good performance in pure water and viscous muds, with an operation speed of $10m{\cdot}min^{-1}$. It was concluded that the newly developed joint device can be used for the emplacement and retrieval of a deep disposal canister, below 3~5 km, in the future.